In [1]:
## 01_형택소분석 명사 조사 등등 종류별로 구분하기
## 02_TXT파일 불러서 형태서 분석
## 03_append()와 +의 차이점
Mounted at /gdrive
In [ ]:
# 텍스트를 형태소 단위로 나눈다.
okt.morphs(df)
# 텍스트에 어절을 추출
okt.phrases(df)
# 텍스트에서 명사만 추출
okt.nouns(df)
#오타를 고쳐서 분석해준다.
# norm = True : 품사 태깅(기본값 False)
okt.pos("이것도 되나욬ㅋㅋㅋㅋ",norm = True)
#stem=True : 원형 글자로 바꿔준다. (기본값 False)
okt.pos("이것도 되나욬ㅋㅋㅋㅋ",norm = True,stem=True)
In [ ]:
# +는 1차원리스트를 유지시키면서 원소를 추가한다,
nouns_list_2=[]
for i in range(len(str_1)):
nouns_str=okt.nouns(str_1[i])
nouns_list_2=nouns_list_2+nouns_str # 리스트에 원소만 붙이기
print(nouns_list_2)
#>>> [[ , , , ],[ , , , , ],[ , , , , ,]]
# append는 1차원리스트에 리스트를 넣으면서 2차원리스트로 만든다.
nouns_list=[]
for i in range(len(str_1)):
nouns_str=okt.nouns(str_1[i]) #nouns_str는 리스트이다.
nouns_list.append(nouns_str) #리스트에 리스트 붙이기
print(nouns_list)
#>>> [ , , , , , ,]
In [2]:
!sudo apt-get install -y fonts-nanum
!sudo fc-cache -fv
!rm -/.cache/matplotlib -rf
Reading package lists... Done
Building dependency tree
Reading state information... Done
The following package was automatically installed and is no longer required:
libnvidia-common-460
Use 'sudo apt autoremove' to remove it.
The following NEW packages will be installed:
fonts-nanum
0 upgraded, 1 newly installed, 0 to remove and 27 not upgraded.
Need to get 9,604 kB of archives.
After this operation, 29.5 MB of additional disk space will be used.
Get:1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universe amd64 fonts-nanum all 20170925-1 [9,604 kB]
Fetched 9,604 kB in 1s (15.6 MB/s)
debconf: unable to initialize frontend: Dialog
debconf: (No usable dialog-like program is installed, so the dialog based frontend cannot be used. at /usr/share/perl5/Debconf/FrontEnd/Dialog.pm line 76, <> line 1.)
debconf: falling back to frontend: Readline
debconf: unable to initialize frontend: Readline
debconf: (This frontend requires a controlling tty.)
debconf: falling back to frontend: Teletype
dpkg-preconfigure: unable to re-open stdin:
Selecting previously unselected package fonts-nanum.
(Reading database ... 123942 files and directories currently installed.)
Preparing to unpack .../fonts-nanum_20170925-1_all.deb ...
Unpacking fonts-nanum (20170925-1) ...
Setting up fonts-nanum (20170925-1) ...
Processing triggers for fontconfig (2.12.6-0ubuntu2) ...
/usr/share/fonts: caching, new cache contents: 0 fonts, 1 dirs
/usr/share/fonts/truetype: caching, new cache contents: 0 fonts, 3 dirs
/usr/share/fonts/truetype/humor-sans: caching, new cache contents: 1 fonts, 0 dirs
/usr/share/fonts/truetype/liberation: caching, new cache contents: 16 fonts, 0 dirs
/usr/share/fonts/truetype/nanum: caching, new cache contents: 10 fonts, 0 dirs
/usr/local/share/fonts: caching, new cache contents: 0 fonts, 0 dirs
/root/.local/share/fonts: skipping, no such directory
/root/.fonts: skipping, no such directory
/var/cache/fontconfig: cleaning cache directory
/root/.cache/fontconfig: not cleaning non-existent cache directory
/root/.fontconfig: not cleaning non-existent cache directory
fc-cache: succeeded
rm: invalid option -- '/'
Try 'rm --help' for more information.
In [3]:
from google.colab import drive
drive.mount('/gdrive', force_remount=True)
Mounted at /gdrive
In [4]:
!pip install konlpy wordcloud
Looking in indexes: https://pypi.org/simple, https://us-python.pkg.dev/colab-wheels/public/simple/
Collecting konlpy
Downloading konlpy-0.6.0-py2.py3-none-any.whl (19.4 MB)
|████████████████████████████████| 19.4 MB 1.2 MB/s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wordcloud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1.8.2.2)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numpy>=1.6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konlpy) (1.21.6)
Collecting JPype1>=0.7.0
Downloading JPype1-1.4.0-cp37-cp37m-manylinux_2_5_x86_64.manylinux1_x86_64.whl (453 kB)
|████████████████████████████████| 453 kB 49.9 MB/s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lxml>=4.1.0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konlpy) (4.9.1)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typing-extensions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JPype1>=0.7.0->konlpy) (4.1.1)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pillow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wordcloud) (7.1.2)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matplotlib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wordcloud) (3.2.2)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kiwisolver>=1.0.1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matplotlib->wordcloud) (1.4.4)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cycler>=0.10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matplotlib->wordcloud) (0.11.0)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pyparsing!=2.0.4,!=2.1.2,!=2.1.6,>=2.0.1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matplotlib->wordcloud) (3.0.9)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python-dateutil>=2.1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matplotlib->wordcloud) (2.8.2)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six>=1.5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python-dateutil>=2.1->matplotlib->wordcloud) (1.15.0)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JPype1, konlpy
Successfully installed JPype1-1.4.0 konlpy-0.6.0
In [6]:
from konlpy.tag import *
hannanum = Hannanum()
kormmoran = Komoran()
kot = Okt()
In [9]:
import nltk
from konlpy.tag import Okt
stentence = '한글 문장을 분석하여 워드 클라우드 만들기'
t = Okt()
tokens_ko = t.nouns(stentence)
tokens_ko
Out[9]:
['한글', '문장', '분석', '워드', '클라우드', '만들기']
In [10]:
sonagi = open('/gdrive/MyDrive/Colab Notebooks/소나기.txt','r')
strings = sonagi.readlines()
print(strings)
sonagi.close()
['난층운에서 내리는 일반적인 비와 달리 웅대적운, 적란운에서 내리며,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밑으로 파고드는 한랭전선 역시 적란운을 만들기 때문에 소나기를 일으킨다. 천둥과 번개, 우박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뇌우이라고 부른다. 지형적인 이유나 소나기 또는 뇌우가 심해져서 심한 뇌우가 된다면 용오름이나 토네이도가 발생하기도 한다. 심지어 대규모 폭풍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In [11]:
t.nouns(strings[0])
Out[11]:
['난층운',
'일반',
'비',
'달리',
'웅대적운',
'적란운',
'찬',
'공기',
'공기',
'밑',
'한랭전선',
'역시',
'적란운',
'만들기',
'때문',
'소나기',
'천둥',
'번개',
'우박',
'동반',
'수',
'이',
'경우',
'뇌우',
'지형',
'이유나',
'소나기',
'뇌우',
'뇌우',
'용오름',
'토네이도',
'발생',
'심지어',
'대규모',
'폭풍',
'발전',
'경우']
In [13]:
n = []
for i in range(len(strings)):
n.append(t.nouns(strings[0]))
n
Out[13]:
[['난층운',
'일반',
'비',
'달리',
'웅대적운',
'적란운',
'찬',
'공기',
'공기',
'밑',
'한랭전선',
'역시',
'적란운',
'만들기',
'때문',
'소나기',
'천둥',
'번개',
'우박',
'동반',
'수',
'이',
'경우',
'뇌우',
'지형',
'이유나',
'소나기',
'뇌우',
'뇌우',
'용오름',
'토네이도',
'발생',
'심지어',
'대규모',
'폭풍',
'발전',
'경우']]
In [15]:
n = []
for i in t.nouns(strings[0]):
n.append(i)
print(n)
['난층운', '일반', '비', '달리', '웅대적운', '적란운', '찬', '공기', '공기', '밑', '한랭전선', '역시', '적란운', '만들기', '때문', '소나기', '천둥', '번개', '우박', '동반', '수', '이', '경우', '뇌우', '지형', '이유나', '소나기', '뇌우', '뇌우', '용오름', '토네이도', '발생', '심지어', '대규모', '폭풍', '발전', '경우']
In [17]:
pip install html5lib
Looking in indexes: https://pypi.org/simple, https://us-python.pkg.dev/colab-wheels/public/simple/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html5lib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1.0.1)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six>=1.9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html5lib) (1.15.0)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webencodings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from html5lib) (0.5.1)
In [22]:
pip install lxml
response = rq.get('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271790?sid=101', headers=header)
soup = bs(response.text, 'html.parser')
article_raw = soup.select('#dic_area')
Looking in indexes: https://pypi.org/simple, https://us-python.pkg.dev/colab-wheels/public/simple/
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lxml in /usr/local/lib/python3.7/dist-packages (4.9.1)
네이버 뉴스 메인 4페이지 헤드라인과 링크 크롤링¶
In [43]:
import requests as rq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as bs
import pandas as pd
header = {'User-agent' : 'Mozila/5.0'}
titles=[]
links = []
for i in range(1,4):
response = rq.get('https://news.naver.com/main/main.naver?mode=LSD&mid=shm&sid1=101#&date=%2000:00:00&page='+str(i),headers=header)
soup = bs(response.text, 'html.parser')
head = soup.select('div.cluster_text')
for h in head:
titles.append(h.text.replace("\n", "").replace('\t',''))
links.append(h.find("a")['href'])
df = pd.DataFrame({'제목':titles, '링크':links})
df
Out[43]:
제목 | 링크 | |
---|---|---|
0 | 348만원 vs 188만원…정규직 비정규직 월급격차 역대최대올해 국내 정규직과 비정...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 |
1 | JTBC348만원 vs 188만원…정규-비정규직 임금 격차 최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 |
2 | 세계일보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160만원 ‘역대 최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 |
3 | 뉴시스통계청, 제주 전체 고용인원 늘었지만, 43%가 비정규직 근로자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 |
4 | 기아 목표가 줄하향…"일회성 비용·북미 자동차금융 업황 둔화"26일 증권가가 기대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 |
... | ... | ... |
97 | 외식 식재료 원가 또 최고치…자장면 가격 1년새 14%↑식재료가 상승에 제품가 상승...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 |
98 | 은퇴 후 남은 건 집 한 채? 나이 들어 돈 걱정 안 하려면… [더 머니이스트-김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 |
99 | 한국경제"취직 못한 아들 건물 사주면서 2억 세금 냈는데…" 날벼락 [더 머니이스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 |
100 | 한국경제아들에게 창업자금 덜컥 줬다간 '증여세'…청년창업을 위한 절세전략 [더 머니...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 |
101 | 한국경제지금은 주택공급을 챙겨야 할 때 입니다[더 머니이스트-심형석의 부동산정석]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 |
102 rows × 2 columns
클롤링한 링크로 들어가 해당 기사 본문 내용 전부 크롤링¶
In [45]:
articles = ''
for link in links:
article =''
res = rq.get(link, headers=header)
soup = bs(res.text, 'html.parser')
article_raw = soup.select('#dic_area')
for st in article_raw:
article = article + '' + st.text.replace("\n", "").replace('\t','')
articles = articles + '' + article
articles
Out[45]: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이 2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올해 국내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가 역대 최대인 160만원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25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비정규직 근로자는 815만6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만명 늘었다. 정규직 근로자(1356만8000명)도 1년 전보다 64만1000명 늘어나면서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37.5%로 0.9%포인트 낮아졌다. 비정규직 증가폭은 50대 이상에서 두드러졌다. 40대(-9만6000명), 30대(-3만3000명)에서는 줄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59만9000원으로 벌어져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임금 증가폭이 정규직을 따라잡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올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가 역대 가장 많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6월부터 8월 정규직 근로자 임금은 월 평균 348만원으로, 1년 전보다 14만원가량 늘어났습니다.반면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은 188만 1천원으로 11만원 가량만 늘어, 정규직보다 160만원 적었습니다.정규직 348만원, 비정규직 188만원비정규직 815만… 1년 새 9만 ↑50∼60대 늘고 30∼40대 줄어 비정규직과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 차가 160만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임금보다 정규직 임금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격차는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비정규직 근로자 수도 1년 전보다 9만명 늘어 815만명을 넘어섰다.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통한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추진하는 윤석열정부 앞에 커다란 숙제가 놓였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 근로 형태별 부가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6∼8월 월평균 정규직 근로자 임금은 348만원으로, 1년 전보다 14만4000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정규직 근로자 임금은 같은 기간 176만9000원에서 188만1000원으로, 11만2000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59만9000원까지 벌어졌다. 임금 격차는 2016년 130만1000원에서 2017년 128만2000원으로 소폭 축소된 이후 올해까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임금 인상 비율로 살펴봐도 정규직 임금은 최근 8년 새 28.7% 오른 데 비해, 비정규직은 27.6%에 그쳤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비정규직 통계를 2003년부터 작성했는데 그때는 시간제 근로자의 비중이 6.5%였으나 올해는 거의 3배인 17%로 뛰었다”며 “시간제는 근로시간이 적다 보니 임금도 낮아서 시간제를 포함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차이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한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261만원으로 1년 전보다 18만3000원 늘었다. 하지만 여전히 정규직 평균 임금보다는 87만원 적은 수준이다. 올해 8월 비정규직 근로자는 815만6000명으로 지난해보다 9만명 늘었다. 다만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37.5%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정규직 근로자 수(1356만8000명)가 64만1000명 늘었기 때문이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근로 형태별(중복 집계)로 보면 한시적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가 각각 17만7000명, 17만5000명 늘고 비전형 근로자는 건설업 일용근로자를 중심으로 14만7000명 줄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15만1000명), 50대(5만8000명) 등에서 비정규직 근로자가 늘었고, 40대(-9만6000명), 30대(-3만3000명)에서는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7만7000명), 보건복지업(3만1000명), 제조업(2만9000명) 등에서 늘고, 건설업(-4만5000명) 등에서 줄었다. 김 과장은 “올해는 상용직 위주로 취업자가 증가해 정규직 증가 속도가 더 빨랐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임시 근로자(temporary workers)’ 비중은 지난해 8월 기준 28.3%로 네덜란드(27.4%), 스페인(25.1%), 폴란드(15.1%), 일본(15.0%), 캐나다(12.1%), 독일(11.4%), 영국(5.6%) 등 주요국보다 높았다. OECD 임시 근로자는 비정규직 중 반복 갱신 근로자, 시간제 근로자, 용역근로자, 특수형태근로 종사자, 가정 내 근로자를 제외하고 집계한다. 올해 8월 우리나라의 임시 근로자 비중은 27.3%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낮아졌다.기사내용 요약강원(46.8%), 전북(44.0%) 이어 3번째로 높아[제주=뉴시스] 제주시 전경. (뉴시스DB)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제주지역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43%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2.16%p 증가한 것으로 고용의 질이 하락하고 있다.통계청이 25일 발표한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제주도 임금근로자(정규직+비정규직)는 총 26만9000명으로 전년대비(24만9000명) 8.03%p 늘었다.이는 같은 기간 전국의 임근근로자 상승률 3.5%(73만2000명)보다 4%p 이상 높은 것이다. 전체 고용은 늘었지만, 상대적으로 근로수준이 열악한 비정규직 증가가 눈에 띤다. 정규직은 전년대비 4.08%p(7000명) 증가했고, 비정규직은 13.72%p(1만4000명)나 증가했다.임금근로자 대비 비정규직 비율은 43.12%로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도 강원(46.8%), 전북(44.0%)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전국 평균은 37.5%이다.거리두기 해제 이후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호조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양질의 일자리 보다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최근 3개월(지난 6~8월)간 전국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88만1000원으로 정규직(348만원)보다 159만9000원 낮았다. 이는 역대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것으로 지난해 8월 양 측 간 격차는 156만7000원이었다.사진=기아26일 증권가가 기대치를 밑돈 실적을 기록한 기아를 두고 목표주가를 내렸다.앞서 전일 기아는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5% 증가한 23조2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42.1% 줄어든 7682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장 추정치(컨센서스)를 소폭 밑돈 수준이다. 원재료 부담과 인센티브 감소에 따른 증익 효과가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이날 증권가 애널리스트들은 일제히 목표주가를 기존보다 하향했다. 신영증권은 12만원에서 11만원으로, 신한투자증권은 11만5000원에서 9만5000원으로, 키움증권은 10만원에서 9만원으로 내렸다.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고질적인 일회성 비용 발생과 북미 자동차 금융 사업의 업황 둔화를 감안해 목표 주가수익비율(PER)을 하단으로 조정했다"면서 "연말에는 미국 IRA 대응을 위한 해외투자 계획이나 전동화 관련한 로드맵이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방향성 확인 시 주가 상승의 트리거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했다.문용권 신영증권 연구원은 "품질 비용을 반영해 올해 이익 추정치를 22% 내린다"며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의 신차 수요 불확실성도 존재한다"고 했다.3분기 품질비용 반영으로 컨센서스 하회 IBK투자증권은 기아에 대해 26일 품질비용 반영으로 3분기 실적이 시장기대치를 밑돌았지만, 아직 수요 우위 상황이어서 인센티브 비용 확대에 대한 우려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0만원을 제시했다.2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기아자동차 사옥 외벽에 기아차의 새로운 로고가 걸려 있다. 2021.1.28/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이상현 연구원은 “기아의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23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42% 감소한 7700억원을 기록했다”며 “평균판매단가(ASP), 환율 상승으 사상 최고 매출액을 경신했지만, 세타2 엔진 관련 품질비용 추가 반영으로 영업이익은 시장기대치를 밑돌았다”고 분석했다.이 연구원은 “품질비용을 제외한 조정 영업이익은 2조3100억원으로, 조정 영업이익률 10%를 기록했다”며 “일회성 비용이 없었다면 사상최고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2분기 영업이익(2조2300억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보이고, 품질비용 반영 발표 전 영업이익 컨센서스(2조3200억원)에도 부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그는 “기아(밀려있는 주문량)의 글로벌 백오더는 현재 120만대 이상으로 국내 60만대, 해외 60만대 이상으로 언급되고 있다”며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책으로 전기차 현지 생산에 대해 신설공장, 기존공장 활용 방법 등 다각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26일 기아에 대해 4분기에 10%대 수익성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3분기 고질적인 일회성 비용 발생과 북미 자동차 금융 사업의 업황 둔화를 감안해 목표 주가수익비율(PER)을 하단으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9만5000원으로 기존 11만5000원에서 하향 조정했다.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아(000270)의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3조8000억원, 영업이익 2조400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8.7%, 105.2% 증가한 규모다. 매출과 이익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상회한 상황에서 4분기가 시작했다”며 “수출 수익성 개선이 명백하다. 3분기말 기준 글로벌 미출고대수가 120만대를 넘어 고수익성 차종을 중심으로 한 판촉 없는 판매 상황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했다고 평가했다. 매출액 23조2000억원, 영업이익 768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30.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42.1% 감소했다. 갑작스러운 품질 비용(1조5400억원) 반영으로 컨센서스(OP 1.96조원)를 61% 하회했다.그는 “품질 비용을 제외한 조정 영업이익은 2조3100억원으로 기존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본업의 실적은 탄탄했다고 판단했다. 조정 영업이익률(OPM) 10%를 기록해 2분기 연속 10%를 기록했다. 평균판매단가(ASP) 상승과 레저용 차량(RV) 믹스 개선이 지속됐기 때문이다. 그는 “연결 ASP는 대당 3290만원을 기록했고, 판매량 중 RV 비중도 66.5%로 사상 최고치”라고 설명했다.그는 목표주가를 하향했지만 절대적인 저평가 상태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말에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을 위한 해외 투자 계획이나 전동화 관련된 로드맵이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방향성 확인시 주가 상승의 트리거로 작동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기아 \'The 2023 K9\' 모습[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3분기 양호한 실적을 낸 기아에 대해 증권가는 엇갈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앞서 지난 25일 기아는 3분기 매출이 23조1616억원, 영업이익은 7682억원이라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엔진 관련 품질비용 반영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1% 크게 감소했다.매출액은 시장 컨센서스를 소폭 웃돌았으며 영업이익은 품질 비용이 없었다면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성적이다.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품질비용을 제외한 조정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74% 늘어난 2조3100억원"이라며 "일회성 비용이 없었다면 사상 최고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2분기 영업이익을 넘어섰을 것"이라고 평가했다.다만 기아의 앞날에 대해선 긍정과 부정 전망이 혼재하다.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인한 전방 수요 둔화, 완성차의 가격 결정권 약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펀더멘탈은 여전히 견고하다"며 "환율 조건과 세그멘트 경쟁력, 차량 상품성을 감안할 때 경쟁력은 2023년 돋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반면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기아의 기업가치가 높아지려면 "내년 산업수요가 개선되고 기아의 점유율도 상승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러시아 영업이 정상화돼 1조2000억원 규모의 현지 자산에 대한 손망실 발생 우려가 없어지고 중국 법인의 영업 정상화로 연결 손익 적자 요인이 제거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서울경제] 우리금융그룹은 올해 3분기 순이익이 8998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누적 순이익은 2조6617억원을 기록하며 이미 지난해 연간 실적을 넘어섰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포함한 순영업수익은 3분기 누적 7조263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5% 증가했다. 기업대출이 증가하면서 이자이익 규모가 확대됐다. 신탁, 리스 등 수수료이익이 14.9% 증가하면서 비이자이익도 탄탄한 모습을 보였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의 대출 성장과 적극적인 조달 비용 관리를 바탕으로 개선세를 이어나갔다"며 "지속적으로 추진된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로 수익기반이 다변화돼 비이자이익도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29%, 연체율은 0.22%로 건전성 면에서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주요 자회사별로 우리은행의 올해 누적 순이익은 2조3735억원을 기록했으며 우리카드는 1792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673억원, 우리종합금융은 683억원을 기록했다. ◆…우리금융그룹 3분기 실적 개요.우리금융그룹은 25일 실적발표를 통해 지난 3분기 중 8998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당기순이익이 2조6617억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3분기까지의 누적 순이익(2조1979억원)보다 21.1% 늘어난 것이며 작년 연간 실적도 넘어선 규모다 우리금융의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합한 순영업수익은 3분기 누적 7조 2,63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5%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의 대출 성장과 적극적인 조달 비용 관리를 바탕으로 개선세를 이어나갔다. 비이자이익은 신탁, 리스관련 수수료 등의 호조로 수수료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14.9% 증가하며,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다. 이는 지속적으로 추진된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로 수익기반이 다변화된 결과다. 또한, 자산건전성 부문은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29%, 연체율 0.22%로 지난 분기에 이어 안정적 수준을 유지했으며, 우량자산비율과 NPL커버리지비율도 각각 89.3%, 223.5%를 기록하며 미래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 여력을 확보했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선제적 비용관리 노력으로 전년동기 대비 4.7%p 개선된 40.5%을 기록하며 경영효율성이 제고됐다. 주요 자회사별 연결 당기순이익은 우리은행 2조 3735억원, 우리카드 1792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673억원 및 우리종합금융 683억원을 기록했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역대 최대 3분기 실적을 올려 탄탄해진 펀더멘털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며 "2019년 지주사 전환 이후, 완전민영화라는 성과와 함께 포트폴리오 확충 노력으로 순영업수익이 연평균 11.3%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금번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인사말을 통해 "2023년에도 국내외 불확실한 경제여건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내년 경영계획은 내실경영 및 리스크관리 역량 강화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수립 중에 있다"고 밝혔다.2022년 누적 당기순이익 2조8494억원이자이익·수수료이익 합산 7조8564억원사진=연합뉴스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분기 1조121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9287억원) 대비 20.8% 증가한 수치다. 올 3분기까지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2조8494억원에 달한다. 전년 동기(2조6816억원) 대비 6.3% 증가한 수치다.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 증가가 실적 호조를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나금융의 3분기 이자이익(6조4872억원)과 수수료이익(1조3691억원)을 합한 누적 핵심이익은 7조856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6조8742억원)과 비교해 9822억원 늘었다.건전성 관리 중심의 자산관리 전략과 리스크 대응체계로 안정적인 자산건전성 지표 유지에 힘썼다는 것이 그룹 측 설명이다. 하나금융의 3분기 고정이하여신(NPL)비율(연체 기간 3개월 이상의 부실채권)은 0.02%포인트 내린 0.35%, 누적 대손비용률은 전 분기 대비 0.01%포인트 하락한 0.21%를 기록했다. 대손비용률이 낮을수록 손실흡수능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정이하여신 잔액 대비 충당금 수준을 보여주는 NPL 커버리지 비율은 직전 분기 대비 11.3%포인트 증가한 175.7%로 나타났다.자기자본이이익률(ROE)는 10.9%, 총자산이익률(ROA)는 0.71%로 집계됐다.핵심 계열사인 하나은행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8702억원을 기록했다. 올 3분기까지의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은 2조2438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9470억원) 대비 15.2% 증가했다.3분기 누적 이자이익(5조5006억원)과 수수료이익(5950억원)을 합한 핵심이익은 같은 기간(6조266억원)보다 21.3% 증가한 6조956억원이었다.하나금융은 3高(고금리‧고물가‧고환율) 현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및 취약계층과의 동반 성장을 위해 맞춤형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주주 가치 향상을 위한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실시 등 주주 환원 정책도 확대할 방침이다.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 [사진 제공 =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은 25일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3분기 누적(1~9월) 기준 2조661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사상 최대를 기록한 전년도 연간 실적(2조5879억원)을 3분기 만에 넘어선 것이다. 3분기(6~9월) 순이익은 8998억원을 나타냈다. 우리금융은 "향상된 이익창출력과 안정적 리스크 관리 역량이 더해지며 이룬 성과"라고 자평했다. 부분별로 보면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합한 순영업수익은 3분기 누적 7조2631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7.5%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7% 늘며 기업대출 중심의 대출 성장과 조달 비용 관리를 바탕으로 개선세를 이어나갔다. 금융시장 불확실성에도 비이자이익은 신탁, 리스 관련 수수료 등의 호조로 수수료 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4.9% 증가했다. 이는 지속적으로 추진된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로 수익기반이 다변화된 결과라고 우리금융은 설명했다. 자산건전성 부문은 금리 상승과 대내외 경기둔화 우려에도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29%, 연체율 0.22%로 지난 분기에 이어 안정적 수준을 유지했다. 우량자산비율과 NPL커버리지비율(대손충당금 적립 비율)도 각각 89.3%, 223.5%를 기록하며 미래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 여력을 확보했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선제적 비용관리 노력으로 40.5%를 기록하져 전년 동기 대비 4.7%포인트 개선되는 성과를 거뒀다.주요 자회사별 연결 순익은 우리은행 2조3735억원, 우리카드 1792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673억원, 우리종합금융 683억원을 시현했다.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이번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도 직접 참석했다. 손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2023년에도 국내외 불확실한 경제 여건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년 경영계획은 내실경영,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수립 중에 있다"고 밝혔다. 대형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뉴욕 증시가 상승 출발했다.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 뉴욕 로이터=연합뉴스 25일(미 동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10시13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9.71포인트(0.38%) 오른 3만1619.33을 나타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73포인트(0.81%) 상승한 3828.07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57.57포인트(1.44%) 오른 1만1110.18을 기록했다.투자자들은 대형 기업들의 실적과 미 국채금리 움직임을 주시했다.3분기 대형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예상치를 웃돌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가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을 발표해 주가가 2% 상승했다. 배송업체 UPS도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을 발표해 주가는 3% 올랐다.이날은 장 마감 후 구글 모기업인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MS)의 실적이 나온다. 26일에는 메타의 실적이, 27일에는 아마존과 애플의 실적이 각각 예정돼 있다.미 국채금리는 다음 주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큰 폭으로 하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보다 17bp가량 떨어진 4.07%를, 2년물 국채금리는 7bp가량 하락한 4.41%를 나타냈다.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독일 DAX지수는 0.40% 올랐고, 영국 FTSE지수는 0.29% 하락했다. 프랑스 CAC 지수는 1.42% 올랐고, 범유럽 지수인 STOXX600 지수는 0.98% 상승하고 있다.[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빅테크 실적 시즌을 맞이한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지수는 25일(현지시간) 국채 금리가 하락하며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주택시장과 소비심리가 다소 얼어붙는 등 미 경제지표가 부진하게 나온 여파다.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37.12포인트(1.07%) 오른 3만1836-74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61.77포인트(1.63%) 높은 3859.1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46.50포인트(2.25%) 상승한 1만1199.12에 장을 마감했다. 종목별로는 실적 시즌을 맞이한 빅테크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은 이날 장 마감 후 실적 공개를 앞두고 전장 대비 각각 1.38%, 1.91% 상승 마감했다. 테슬라는 5.29%, 엔비디아는 5.25% 올랐다. 전날 이른바 시진핑 3기 출범을 둘러싼 우려로 내려앉았던 중국 주식들도 반등했다. 니오는 12.49%, 디디글로벌은 10.81% 올랐다. 에너지 부문을 제외한 S&P500 11개 섹터가 상승세로 마감했다.이밖에 제너럴모터스(GM)와 코카콜라는 예상을 웃돈 실적에 3.61%, 2.41% 뛰었다. 제너럴일렉트릭(GE)은 기대 이상의 실적에도 풍차용 터빈 수요 등이 감소했다는 발표로 소폭 하락 마감했다. 제록스는 주당순이익이 예상치에 훨 못미치면서 14% 내려앉았다.투자자들은 이날 기업 실적 발표와 함께 국채 금리 움직임, 경제지표 등을 주시했다. 3분기 기업들의 실적이 대체로 예상치를 웃돌고 있는 가운데 이날 장 마감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알파벳이 실적을 내놓는다. 26일에는 페이스북 모기업인 메타, 27일에는 아마존과 애플이 실적 발표에 나설 예정이다.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 규모를 고려할때 당분간 증시 움직임은 빅테크 실적에 따라 움직일 전망이다. 국채금리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결정을 앞두고 부진한 경제지표로 고강도 긴축 전망이 다소 완화되면서 하락마감했다. 이날 뉴욕채권시장에서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10%까지 떨어졌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 역시 4.46%로 밀렸다. 코너스톤 웰스의 클리프 호지 최고투자책임자는 "국채 금리와 지수의 움직임은 Fed의 완화 기대에 투자자들이 몰렸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이날 공개된 경제지표는 주택시장과 소비심리 냉각 시그널을 확인시켰다. 글로벌 시장지수 제공업체인 S&P 다우존스 인덱스에 따르면 미 주요 도시들의 평균 집값 추세를 측정하는 8월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이하 계절 조정)는 전월보다 0.9% 떨어졌다. 지난 7월 10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선 이후 두 달 연속 집값이 내려간 것이다. 전년동기로는 상승세를 지속했으나 그 폭은 둔화됐다. 1년 전과 비교한 8월 집값은 13% 상승해 7월(15.6%)보다 오름폭이 축소됐다.같은 날 공개된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10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02.5로 전달의 107.8에서 하락했다. 이는 시장 예상을 하회하는 수준이다.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 심리가 악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부진한 경제지표로 달러도 약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지수)는 전날보다 0.8%가량 하락한 110.951 근방에서 거래됐다.최근 뉴욕증시 랠리를 둘러싼 전문가들의 경고 목소리도 쏟아지고 있다. 브레인베스트의 닉 바론 선임투자전문가는 "현 랠리가 가짜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약세장에서 낙폭 과대에 따른 반등일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크랙스 마켓의 자니 지딘스는 "약세장에서 가장 빠르고 가장 큰 랠리가 일어난다"고 짚었다.달러 약세로 유가는 올랐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74센트(0.87%) 오른 배럴당 85.3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업계 최초로 6400Mbs 속도 지원…DDR5 시대 선제 대응SK하이닉스가 다가올 DDR5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SK하이닉스는 최근 업계 최초로 DDR5 6천400Mbps 속도의 32GB 메모리 모듈인 UDIMM, SODIMM을 개발해 업계에서 가장 먼저 고객사에 샘플을 제공했다고 25일 밝혔다.또 지난 8월과 9월에는 10나노급 4세대(1a) 미세공정이 적용된 DDR5 모듈 제품에 대해 고객사 인증을 완료했다.SK하이닉스의 DDR5 6천400Mbps 속도의 32GB UDIMM(위), SODIMM(아래) [사진=SK하이닉스 ]D램의 차세대 규격인 DDR5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DR4 대비 두 배 가량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30% 개선된 전력효율이 특징이다.SK하이닉스가 개발한 DDR5 6천400 Mbps 모듈 제품은 현존 최고 속도의 PC·클라이언트용 DDR5 제품이다. 6천400 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처리 시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CKD(Clock Driver)라는 신규 소자가 적용됐다.SK하이닉스는 업계 최초로 CKD를 탑재해 해당 샘플을 PC SoC(System on Chip) 업체인 고객사에 가장 먼저 제공해 시스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DDR5 시대 도래에 앞서 기술력을 확보해 시장 수요에 적기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인정받은 셈이다.DDR5를 지원하는 신규 칩셋 출시가 지연되고 시장 수요가 위축되는 등 업계의 우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SK하이닉스는 발 빠르게 대형 고객 인증을 완료하고 양산을 시작해 향후 전개될 DDR5 시장을 미리 선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DDR5 제품은 고용량 ·고성능 스펙을 기반으로 기존 D램 제품을 대체하며 시장의 주력 제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깝게는 신규 중앙처리장치(CPU) 등 칩셋과 호환하며 최신 컴퓨팅 시스템을 지원할 예정이며, 향후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물론 인공지능(AI), 머신러닝과 같은 빅데이터 처리와 메타버스 구현 등의 용도로 고성능 서버에도 활용될 전망이다.SK하이닉스 관계자는 "글로벌 고객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DDR5를 기반으로 PC 시장은 물론 프리미엄 서버 시장을 공략하겠다"며 "미래 ICT 분야의 중추가 될 DDR5 선도 업체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SK하이닉스 이천 M16공장 전경. (사진제공=SK하이닉스)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동효정 기자 = SK하이닉스가 26일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이전 다운턴 대비 크게 강화된 낸드 및 SSD사업 경쟁력 통해 선두업체와 경쟁력 좁혀가고 솔리다임 협업을 통한 사업 시너지 창출에 집중하며 다가오는 시황 악화에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2023년은 생태계 및 시장 경쟁환경 측면에서 DDR5시장 본격 전개 전망된다"면서 "중앙처리장치(CPU) 출시 지연으로 도입 시기 지연됐으나 그만큼 관련 생태계 준비가 갖춰지고 고객 대기 수요도 형성됐다"고 진단했다.SK하이닉스는 "최근 시황으로 인해 가격 부담이 낮아지고 있어 내년 서버 고객의 DDR5전환 자극할 것"이라며 "첨단 공정인 1a(4세대) 공정을 기반으로 3DS 등 고용량 풀라인업을 통해 시장에서 차별화된 리더십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50대 이상 20.9% 늘고 청년 비중 \'반토막\'…"인건비 부담 커져, 직무·직능급제 전환해야"한국 제조업의 고령 근로자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청년 근로자 비중이 20년 새 절반으로 줄어든 반면, 50대 이상 고령 근로자는 3배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고령화 속도도 미국, 일본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올해는 일본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제조업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한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에서 제조업 근로자의 급격한 고령화는 우리 경제의 노동생산성 저하 및 수익 구조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한국 제조업의 고령 근로자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포스코]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 2001부터 2021년까지 한국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청년 근로자(15~29세)의 비중은 2001년 29.7%에서 2021년 14.8%로 14.9%p 감소했다. 반면 고령 근로자(50세 이상)의 비중은 2001년 11%에서 2021년 31.9%로 20.9%p 증가했다.한국의 2001년 대비 2021년 연령별 근로자 수 비중을 보면 ▲15~29세는 29.7%에서 14.8%로 비중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30대는 근로자 비중이 33.9%에서 26.4%로 감소했으나 하락 폭은 15~29세 근로자보다 적었다. ▲40대 근로자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다. ▲50대 근로자 비중은 9.0%에서 23.9%로 상승해 전 연령대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60세 이상 근로자의 비중은 2%에서 8%로 증가했다.[그래프=전경련]대표적인 제조업 국가인 미국·일본과 비교했을 때 한국은 제조업 근로자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돼 올해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2011년부터 최근까지 10년간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은 3.8세 상승해 일본(1.5세↑)과 미국(0.1세↑)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21년 현재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한국이 43.0세, 일본은 43.1세, 미국은 44.2세다.전경련 관계자는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해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일본 제조업 근로자의 평균연령을 추월할 것"이라며 "2025년에는 미국의 근로자 평균연령마저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2021년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사업체노동력조사 부가조사\'에 따르면 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 중 호봉급을 시행 중인 기업의 비중은 57.6%에 달했다. 직능급과 직무급을 시행 중인 기업은 각각 29.0%, 37.6%로 나타났다.전경련 관계자는 "호봉급은 노동생산성과 업무효율과는 상관없이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자동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근로자 고령화는 곧 기업의 인건비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 가중은 신규 채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청년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그래프=전경련]더 큰 문제는 인건비 등 노동비용 증가 속도가 노동생산성 증가 속도보다 빠르다는 점이다. 전경련이 고용노동부와 OECD의 자료를 바탕으로 2011년과 2020년의 제조업 노동비용총액 및 노동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의 노동비용 총액은 약 489만원에서 약 604만원으로 23.5% 증가했다. 그러나 노동생산성 지표는 99.5에서 115.6으로 16.2% 늘었다.이에 대해 전경련 관계자는 "노동생산성에 비해 과도한 노동비용 증가는 장기적으로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근로자 고령화가 심해지는 상황에서는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상승하는 호봉제가 아니라, 직무능력 또는 직무 가치에 따라 임금을 정하는 직무급·직능급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청년 근로자 고용 확대를 위해서 대학 교육 제도를 혁신하여 산업 수요에 맞는 인재를 육성함은 물론, 경직된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통해 진입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전경련, 최근 20년간 韓 제조업 근로자 분석50대 이상 20.9% 늘고…청년 비중 \'반토막\'10년새 평균연령 3.8세↑, 美 0.1세↑·日 1.5세↑"인건비 부담 커져…직무·직능급제로 전환 필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6일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청년 근로자 비중이 20년 새 절반으로 줄어든 반면, 50대 이상 고령 근로자는 3배 가까이 급증하면서 제조업의 노동력이 급속히 고령화되고 있다"고 밝혔다.(사진 클립아트코리아) 한국 제조업의 고령 근로자 비중이 급격하게 증하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속도는 미국, 일본과 비교해 훨씬 빠르다. 제조업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한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에서, 제조업 근로자의 급격한 고령화는 한국 경제의 노동생산성 저하·수익 구조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20년(2001~2021년)간 한국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청년 근로자(15~29세) 비중은 절반으로 줄어든 반면, 50대 이상 고령 근로자는 3배 가까이 급증했다. 구체적으로 청년 근로자 비중은 2001년 29.7%에서 2021년 14.8%로 감소했고, 고령 근로자는 같은 기간 11%에서 31.9%로 증가했다. 연령대 근로자 수 비중(2001년 대비 2021년)을 보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건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청년(15~29세)이었다. 30대 근로자 비중은 33.9%에서 26.4%로 줄었으나, 하락 폭은 15~29세 근로자보다 적었다. 40대 근로자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다. 전 연령대에서 50대 근로자 비중의 증가율(9.0→23.9%)은 가장 컸다. 60세 이상 근로자 비중은 2%에서 8%로 증가했다. ◆…(자료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표적인 제조업 국가인 미국·일본과 비교했을 때, 한국은 제조업 근로자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3개국의 비교가 가능한 최근 10년(2011~2021년)간 변화를 보면,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3.8세 상승해서 일본(1.5세)가 미국(0.1세)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한경연은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해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이 일본 제조업 근로자의 평균연령을 추월하고, 2025년에는 미국의 근로자 평균연령마저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1년 현재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한국이 43.0세, 일본은 43.1세, 미국은 44.2세다. 근로자 고령화는 기업의 인건비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 중 호봉급을 시행 중인 기업의 비중은 57.6%에 달한다. 호봉급은 노동생산성과 업무효율과는 상관없이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자동으로 상승하는 구조다. 게다가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면 신규 채용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전경련은 "청년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더 큰 문제는 노동비용(인건비 등) 증가 속도가 노동생산성 증가 속도보다 빠른데 있다. 전경련이 노동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료를 바탕으로 2011년과 2020년의 제조업 노동비용 총액·노동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제조업의 노동비용 총액은 23.5% 증가(489→604만원)했으나, 노동생산성 지표는 99.5에서 115.6으로 16.2% 증가했다. 노동생산성에 비해 과도한 노동비용 증가는 장기적으로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게 전경련의 지적이다. 전경련 추광호 경제본부장은 "근로자 고령화가 심해지는 상황에서는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상승하는 호봉제가 아니라, 직무능력 또는 직무 가치에 따라 임금을 정하는 직무급·직능급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청년 근로자 고용 확대를 위해서 대학 교육 제도를 혁신하여 산업 수요에 맞는 인재를 육성함은 물론, 경직된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통해 진입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했다. 2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이문석 우리은행 부행장(왼쪽에서 두 번째), 최광진 중소기업은행 부행장(왼쪽 첫 번째), 허태준 ㈜케이티 본부장(오른쪽에서 두 번째), 김장섭 농협생명보험㈜ 부사장(오른쪽 첫 번째)이 차기 국방광대역통합망 구축 금융 약정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우리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우리은행은 첨단 과학기술발전과 미래전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부가 추진하는 차기 국방광대역통합망 구축사업의 금융주선과 PF 약정 체결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PF 사업 규모는 6000억원으로 25일 금융약정 체결을 완료했다. 우리은행이 대표주선사, NH농협생명·IBK기업은행이 공동주선사, ㈜케이티가 건설출자자, 템플턴하나자산운용이 재무출자자로 참여했다. 한국비티엘인프라투융자회사, IBK연금보험, DGB생명보험, 하나손해보험, NH농협손해보험이 대주단으로 참여했다.우리은행은 지난해 8월 KT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국 2322개의 부대에 네트워크 인프라 설치하고 전송망·교환망 설치와 통합망관리센터 등의 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의 금융주선권을 획득했다.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으로 국방부는 전·평시에 안정적인 통신지원과 초고속·초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반 통신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우리은행 관계자는 "급격한 금리상승과 위축된 시장 분위기 등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축적된 주선 노하우와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대규모의 금융주선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이번 사업은 한국기업평가로부터 최고등급(S1)의 ESG등급 인증을 받은 사회적금융으로 앞으로도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민간투자사업 금융주선과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NH농협생명은 25일 사업주간사인 케이티와 롯데호텔 서울에서 국방광대역통합망 구축사업(BTL) 금융약정 체결을 진행했다.국방광대역통합망 구축사업은 최신 기술 도입을 통한 네트워크 개선과 보안성 강화를 위해 전군 2,300여 부대에 대한 군 통신 자가망 구축 및 운용을 목표로 한다. 총 길이 1만1,588km에 이르는 신규 케이블 설치, 전송망 장비 교체, 통합망 시스템 및 관리센터 구축 등이 사업 내용에 포함된다.이번 사업 규모는 총 6천억원으로서 NH농협생명을 비롯하여 우리은행, IBK기업은행이 금융주선하고, 은행 ? 보험사 등 총 7개 금융기관이 투자에 참여한다. 본 사업의 추진 방식은 BTL(Build-Transfer-Lease)로서 사업주간사인 케이티에서 시설물 공사와 10년간의 운영까지 맡을 예정이다.NH농협생명은 금융주선기관인 3개사 중 유일한 보험회사다. 국내 PF의 경우 주로 은행에서 주선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본 사업에서는 NH농협생명이 입찰 시점부터 참여하여 금융구조 협상, 투자자 유치 등 실질적인 주선업무를 공동으로 진행했다.이번 체결식에 참석한 NH농협생명 자산운용부문 김장섭 부사장은 "본 건은 핵심 군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국방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투자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ESG 대상사업이나 인프라 시설 등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기사내용 요약3분기 영업익 1조6556억…전년비 60.5%↓"메모리, 전례 없는 시황 악화 직면" 판단당분간 감산 기조…내년 투자 50% 이상 축소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이인준 기자 = SK하이닉스의 3분기(7~9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반토막 났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전례 없는 시황 악화에 직면한 것으로 보고, 수익성 낮은 제품을 중심으로 감산에 들어가는 한편 내년 투자 규모를 올해의 절반 이하로 줄이기로 했다. 26일 SK하이닉스는 경영실적 발표회를 열고, 올 3분기 매출 10조9829억원, 영업이익 1조6556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매출액은 전년 같은 기간 11조8053억원 대비 7% 감소했다.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던 지난 2분기(4~6월) 13조8110억원보다는 20.5% 낮은 수준이다.영업이익은 지난 3분기 4조1718억원보다 60.5% 급감했다. 영업이익률도 35%에서 15%로 주저앉았다. 순이익은 1조1027억원으로, 전년(3조3153억원) 대비 66.7% 줄었다.SK하이닉스는 전년 대비 실적 감소가 나타난 데 대해 "전세계적으로 거시경제 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D램과 낸드 제품 수요가 부진해지면서 판매량과 가격이 모두 하락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최신 공정인 10나노 4세대 D램(1a)과 176단 4D 낸드의 판매 비중과 수율을 높여 원가경쟁력이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원가 절감 폭보다 가격 하락 폭이 커서 영업이익도 크게 줄었다"고 덧붙였다.SK하이닉스는 이날 실적발표를 통해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전례 없는 시황 악화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메모리 주요 공급처인 PC,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기업들의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SK하이닉스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투자 축소와 감산(減産) 기조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내년 투자 규모는 대폭 감소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10조원대 후반으로 예상되는 올해 투자액 대비 내년 투자 규모를 50% 이상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제품을 중심으로 생산량을 줄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시장의 수급 밸런스가 정상화되도록 하겠다는 설명이다.SK하이닉스는 다만 데이터센터 서버에 들어가는 메모리 수요는 단기적으로 감소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꾸준히 성장세를 탈 것으로 내다봤다.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메타버스(확장 가상 세계) 등 새로운 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대형 데이터센터 업체(Hyperscaler)들이 이 분야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또 "고대역폭 제품인 HBM3와 DDR5·LPDDR5 등 D램 최신 기술을 선도하고 있어 장기 성장성 측면에서 회사의 입지가 확고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올해 3분기 업계 최초로 238단 4D 낸드를 개발했고, 내년에 양산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원가경쟁력을 확보해 수익성을 지속 높여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노종원 사업담당 사장은 "당사는 지난 역사 동안 항상 위기를 기회로 바꿔왔던 저력을 바탕으로 이번 다운턴(하강 전환)을 이겨내면서 진정한 메모리 반도체 리더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매출 10조9829억원, 영업이익 1조6556억원, 순이익 1조1027억원내년 투자 규모 올해 대비 50% 이상 감축수익성 낮은 제품 중심으로 감산(減産)도 추진SK하이닉스 청주 사업장 전경 일부 / 제공=SK하이닉스SK하이닉스가 메모리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업황 부진에 3분기 역성장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와 전분기보다 각각 60% 이상 줄어든 1조6556억원이다. SK하이닉스는 선제 기술 확보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높이면서 내년 투자 규모를 50% 이상 줄이고 생산량도 조절, 시장 수급 균형을 맞추며 시장 부진을 타개하겠다고 밝혔다.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 10조9829억원, 영업이익 1조6556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7%, 60% 감소했다. 전분기보다는 20.5%, 60.5% 줄어든 결과다. 영업이익률은 15%, 순이익률은 10%다.SK하이닉스는 세계적으로 거시경제 환경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D램과 낸드 제품 수요가 부진하다 보니 판매량과 가격이 모두 하락해 전분기보다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최신 공정인 10나노 4세대 D램(1a)과 176단 4D 낸드의 판매 비중과 수율을 높여 원가 경쟁력을 개선했음에도 원가 절감폭보다 가격 하락폭이 크다 보니 영업이익도 크게 줄었다는 설명이다.SK하이닉스는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전례 없는 시황 악화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메모리 주요 공급처인 PC,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기업의 출하량이 줄면서 이같은 시장 상황을 촉진하고 있다.다만 데이터센터 서버에 들어가는 메모리 수요는 단기적으로 감소하더라도 중장기적으로는 꾸준히 성장세를 탈 수 있다는 게 SK하이닉스 전망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새로운 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대형 데이터센터 업체들이 이 분야 투자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SK하이닉스는 “당사가 고대역폭 제품인 HBM3와 DDR5/LPDDR5 등 D램 최신 기술을 선도하고 있어, 장기 성장성 측면에서 회사의 입지가 확고해질 것”며 “올해 3분기 업계 최초로 238단 4D 낸드를 개발했고, 내년에 양산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수익성을 지속 높여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SK하이닉스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당분간 지속하는 만큼 올해 10조원대 후반으로 예상되는 투자액 대비 내년 투자 규모를 50% 이상 줄이기로 했다.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제품을 중심으로 생산량도 줄인다. 일정 기간에 투자 축소와 감산(減産) 기조를 유지하면서 시장의 수급 밸런스가 정상화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노종원 SK하이닉스 사업담당 사장은 “당사는 지난 역사 동안 항상 위기를 기회로 바꿔왔던 저력을 바탕으로 이번 다운 턴을 이겨내면서 진정한 메모리 반도체 리더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미래에셋 그룹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트위터 인수에 참여한다고 로이터 통신이 2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미래에셋증권 본사가 위치한 서울 중구 수하동 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2016.12.30/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로이터는 이날 해당 사안에 정통한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래에셋그룹이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자금 조달과 관련 약 3000억원을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머스크 CEO와 미래에셋 측은 이번 투자와 관련 공식 입장은 내놓지 않고 있다.로이터에 따르면 이 소식통은 “미래에셋과의 거래는 오는 28일 트위터 인수 마감 시한을 며칠 앞두고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미래에셋이 앞서 머스크 CEO의 우주 탐사 기업인 스페이스X에도 투자한 이력이 있다고 강조했다.미래에셋은 펀드 조성으로 트위터 인수에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래에셋은 지난 7월 ‘미래에셋 글로벌 스페이스 투자조합 1호’를 결성해 스페이스X에 1억 달러(약 1442억원)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머스크는 트위터 인수에 필요한 전체 자금 440억 달러 가운데 150억 달러를 테슬라 주식을 팔아 현금으로 마련한 상태다. 나머지 금액 중 130억 달러는 은행 대출로 충당할 예정이다. 하지만 최근 은행들이 트위터 등 사회연결망서비스(SNS)의 미래가 불투명하다며 대출 중단을 선언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와 관련 시장 전문가들은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자금 마련을 위해 테슬라 주식을 대량 매각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미국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지난 21일 투자 메모에서 머스크 CEO가 트위터 인수 자금을 마련하고자 이번 주 50억~100억 달러 상당의 테슬라 주식을 매도해야 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한편 머스크는 지난 4월 트위터 인수 계획 발표 후 3개월 만인 지난 7월 트위터의 가짜 계정 문제를 지적하며 인수 계획을 철회했다. 이에 트위터는 인수 강제 이행 관련 소송을 제기했고, 소송이 시작되기 전 머스크가 돌연 트위터를 다시 인수하겠다며 입장을 바꿨다. 머스크는 법원 명령에 따라 오는 28일까지 트위터 인수 작업을 완료해야 한다.블룸버그 "인수자금 대출약정서 완료…거래 마지막 단계"트위터 로고와 일론 머스크[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정윤섭 특파원 =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 자금을 빌려주기로 한 대출 은행들을 상대로 28일까지 트위터 인수 계약을 완료할 것을 약속했다고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가 전날 은행들과의 화상 전화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모건스탠리와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은행들은 트위터 인수자금 440억 달러(63조여 원) 가운데 약 130억 달러(18조6천억여 원)를 머스크에 빌려줄 예정이다. 은행들은 현재 대출약정서 작성을 마무리하고 서명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출금은 27일 에스크로 계좌에 보관될 예정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블룸버그는 "최근 상황은 머스크가 28일까지 트위터 인수 거래를 마치기 위해 마지막 단계에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 5일 트위터 인수 계약 파기를 철회하고 원래 계약대로 이 소셜미디어를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업 간 분쟁 사건을 다루는 미국 델라웨어주 형평법 법원은 최근 머스크와 트위터 간 소송전을 일시 중단시키면서 28일까지 트위터 인수를 완료하라고 머스크에 명령했다. jamin74@yna.co.kr와인 매출, 전년 대비 35.4% 신장총 120억원 규모, 다채로운 상품 준비[신세계백화점 제공][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신세계백화점이 120억원 규모로 올해 마지막 역대급 와인 행사를 펼친다고 26일 밝혔다.이번 하반기 와인 창고대전은 총 60만병·10개 수입사가 참여하며, 오는 28일부터 11월 6일까지 최대 90% 할인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 다가오는 연말 파티 수요를 겨냥해 돈 멜초, 키슬러 등 평소 쉽게 접할 수 없는 와인은 물론 세계적인 와인 유투버 ‘와인킹’이 추천하는 가성비 와인까지 다양하게 준비했다.실제 국내 와인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올해 1~9월 신세계백화점 와인 장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4% 신장했다. 그 중 30만원 이상 프리미엄 와인 역시 21.7% 매출이 늘었다.이번 하반기 와인창고전에서는 프리미엄 와인을 지난해보다 20.3% 늘려 판매한다. 특히 칠레 대표 프리미엄 와인 ‘돈 멜초’의 신규 빈티지를 업계 최다 물량을 확보해 단독 특가로 선보일 예정이다.소량으로 공급되어 구하기 어려운 희귀 와인도 한정 수량으로 판매한다. 와이너리 자체 회원들에게만 판매하는 ‘키슬러 옥시덴탈 보데가 헤드랜즈 뀌베 엘리자베스 피노 누아 19’를 비롯해 ‘아르망 드 브리냑 브륏 골드’, ‘샤또 무똥 로칠드 18’ 등 평소 만나기 어려웠던 와인들을 대거 준비했다.세계적인 와인 유투버 ‘와인킹’이 추천한 와인의 특가 행사도 진행한다. 27일 오전 11시에는 강남점을 방문해 가성비 와인을 소개하며 고객과 직접 만나는 시간을 가진다. 와인킹이 방문하는 기간동안 추천한 와인에 한해 10% 추가 할인한다.SSG닷컴 신세계백화점몰 와인하우스에서는 이달 24일부터 11월 11일까지 역대급 물량인 780개 품목을 최대 83% 할인해 판매한다. SSG머니 결제 시 일부 품목에 한하여 10% 추가 할인도 가능하다.최원준 신세계백화점 식품담당은 "올해 신세계가 마지막으로 선보이는 와인 창고전에서는 프리미엄 와인, 가성비 와인 등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이 보장된 제품을 다양하게 선보인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소비 트렌드에 맞춘 상품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말했다.올해 1~9월 와인 매출, 전년 대비 35.4% 신장신세계백화점이 120억원 규모의 역대급 와인 행사를 펼친다.ⓒ신세계백화점[데일리안 = 최승근 기자] 신세계백화점이 120억원 규모의 역대급 와인 행사를 펼친다.총 60만병, 10개 수입사가 참여하는 이번 하반기 와인 창고대전은 오는 28일부터 11월 6일까지 최대 90% 할인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다가오는 연말 파티 수요를 겨냥해 돈 멜초, 키슬러 등 평소 쉽게 접할 수 없는 와인은 물론 세계적인 와인 유투버 ‘와인킹’이 추천하는 가성비 와인까지 다양하게 준비했다.국내 와인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올해 1~9월 신세계백화점 와인 장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4% 신장했다. 그 중 30만원 이상 프리미엄 와인 역시 21.7% 매출이 늘었다.이번 하반기 와인창고전에서는 프리미엄 와인을 지난해보다 20.3% 늘려 판매한다. 특히 칠레 대표 프리미엄 와인 ‘돈 멜초’의 신규 빈티지를 업계 최다 물량을 확보해 단독 특가로 선보일 예정이다. 가격은 21만원.신세계는 ‘돈 멜초 2020 빈지티’가 생산되기 전부터 칠레의 유명 와이너리 ‘콘 차이 토로’와 협업했다.돈 멜초는 와인 평론 잡지 와인스펙데이터로부터 세계 TOP 100 와인 리스트에 9개 빈티지가 선정됐으며 이 중 3개 빈티지는 TOP 10 에 이름을 올리면서 칠레 대표 와인으로 자리매김했다.소량으로 공급돼 구하기 어려운 희귀 와인도 한정 수량으로 판매한다.와이너리 자체 회원들에게만 판매하는 ‘키슬러 옥시덴탈 보데가 헤드랜즈 뀌베 엘리자베스 피노 누아 19’ 28만8000원을 비롯해 ‘아르망 드 브리냑 브륏 골드’ 69만원, ‘샤또 무똥 로칠드 18’ 115만원, ‘샤또 오 브리옹 17’ 100만원 등 평소 만나기 어려웠던 와인들을 대거 준비했다.세계적인 와인 유투버 ‘와인킹’이 추천한 와인의 특가 행사도 진행한다.27일 오전 11시에는 강남점을 방문해 가성비 와인을 소개하며 고객과 직접 만나는 시간을 가진다. 와인킹이 방문하는 기간동안 추천한 와인에 한해 10% 추가 할인한다.SSG닷컴 신세계백화점몰 와인하우스에서는 이달 24일부터 11월 11일까지 역대급 물량인 780개 품목을 최대 83% 할인해 판매한다. SSG머니 결제 시 일부 품목에 한해 10% 추가 할인도 가능하다.최원준 신세계백화점 식품담당은 "올해 신세계가 마지막으로 선보이는 와인 창고전에서는 프리미엄 와인, 가성비 와인 등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이 보장된 제품을 다양하게 선보인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소비 트렌드에 맞춘 상품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말했다.식재료가 상승에 제품가 상승…소비자 부담 가중 불가피aT,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 보고서…"물가·환율 상승, 부정적 영향"외식물가 상승 (PG)[백수진 제작] 일러스트(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올해 3분기 외식업 경기가 추석 명절 등의 영향으로 개선돼 4분기 연속 회복세가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식업계의 식재료 원가 수준이 또 역대 최고치를 경신해 외식업체 부담이 커졌다. 식재료 가격 상승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결국에는 소비자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다. 실제로 서울 지역 자장면 가격은 1년 전 대비 14% 가까이 올랐고 칼국수와 김밥 등도 10% 넘게 상승했다. 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2 3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는 89.84로 전 분기보다 4.28포인트(p) 올랐다. 이로써 지난해 4분기부터 4분기 연속 상승세가 이어졌다. 이 수치는 올해 1분기 70.84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분기 85.56으로 껑충 뛰었고 3분기 소폭 더 올랐다. 업종별로는 출장 음식 서비스업이 104.21로 가장 높고 이어 기관 구내식당업(97.96), 주점업(95.08), 비알코올 음료점업(90.13), 한식 음식점업(89.80), 외국식 음식점업(87.86), 기타 간이 음식점업(85.23) 등의 순이었다.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최근 3개월간 외식업계의 매출과 경기 체감 현황을 조사해 지수화한 것으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경기 호전을 전망하는 업체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외식물가 상승에 대형마트 \'가성비 초밥\' 찾는다(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외식물가 상승률이 3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소비자들이 배달도 끊고 대형마트에서 초밥과 양장피 등 외식 메뉴를 찾고 있다. 사진은 9일 오후 서울 한 대형마트의 초밥 판매대. 2022.10.9 pdj6635@yna.co.kr하지만 외식 경기 회복세에도 외식업계 식재료 원가 수준은 3분기에 또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워 외식업체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3분기 외식산업 식재료 원가지수는 145.89로 전 분기보다 0.71p 올랐다. 지난해 1분기부터 7분기 연속 상승하고 있고 매 분기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업종별로는 한식 음식점업이 148.41로 가장 높고 이어 외국식 음식점업(147.59), 기관 구내식당업(146.61), 기타 간이 음식점업(146.47), 주점업(144.42), 출장 음식 서비스업(142.04), 비알코올 음료점업(137.21) 등 순이었다. 이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식재료의 원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100을 넘으면 원가가 올랐다는 뜻이다. aT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돼 국제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고 있고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2분기 이후 환율 또한 크게 높아지고 있는 점은 수입 식자재 의존도가 높은 외식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외식업체의 식재료 가격 상승은 향후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소비자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한국소비자원 가격 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을 보면 지난달 서울 기준 자장면 가격은 평균 6천300원으로 1년 전보다 13.8%나 올랐다. 또 칼국수 가격은 8천423원으로 12.9%, 김밥은 3천46원으로 11.5% 상승했다. 삼겹살은 1만8천851원(200g 기준)으로 9.7% 올랐고 냉면 가격은 1만500원으로 9.6%, 삼계탕은 1만5천462원으로 9.2% 각각 상승했다.[그래픽] 외식산업 경기지수 추이(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kaka@yna.co.kr지난 5일 서울의 한 식당가의 메뉴판에 새로 수정된 가격표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식재료 값 상승→제품가 상승 악순환외식·회식 등 소비자 부담 가중 불가피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규제가 풀리면서 외식산업이 활기를 되찾고 있지만, 정작 식재료 원가 상승으로 인해 외식업체와 소비자 모두 부담이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짜장면, 김밥 등 간편한 점심 메뉴는 물론 회식 메뉴로 주로 꼽히는 삼겹살도 전년 대비 10% 안팎으로 상승하고 있다.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2 3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는 89.84로 전 분기보다 4.28포인트 올랐다. 이로써 해당 지수는 지난해 4분기부터 4분기 연속 상승세가 이어졌다.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최근 3개월간 외식업계의 매출과 경기 체감 현황을 조사해 지수화한 것으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경기 호전을 전망하는 업체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이 지수는 올해 1분기 70.84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분기 85.56으로 껑충 뛰었고 3분기 소폭 더 상승했다.이번 보고서에서 업종별 지수는 출장 음식 서비스업이 104.21로 가장 높고 이어 기관 구내식당업(97.96), 주점업(95.08), 비알코올 음료점업(90.13), 한식 음식점업(89.80), 외국식 음식점업(87.86), 기타 간이 음식점업(85.23)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외식 경기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정작 식재료 원가 수준은 3분기에 또 역대 최고치를 경신해 외식업체는 물론 소비자의 부담도 키우고 있다. 3분기 외식산업 식재료 원가지수는 145.89로 전 분기보다 0.71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1분기부터 7분기 연속 상승하고 있고 매 분기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이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식재료의 원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100을 넘으면 원가가 올랐다는 뜻이다.업종별로는 한식 음식점업이 148.41로 가장 높고 이어 외국식 음식점업(147.59), 기관 구내식당업(146.61), 기타 간이 음식점업(146.47), 주점업(144.42), 출장 음식 서비스업(142.04), 비알코올 음료점업(137.21) 등 순이었다. 외식업체의 식재료 가격 상승은 향후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소비자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한국소비자원 가격 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을 보면 지난달 서울 기준 짜장면 가격은 평균 6300원으로 1년 전보다 13.8%나 올랐다. 또 칼국수 가격은 8423원으로 12.9%, 김밥은 3천46원으로 11.5% 각각 상승했다. 삼겹살은 200g 기준 1만8851원으로 9.7% 올랐고 냉면 가격은 1만500원으로 9.6%, 삼계탕은 1만5462원으로 9.2% 각각 올랐다.aT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돼 국제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고 있고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2분기 이후 환율 또한 크게 높아지고 있는 점은 수입 식자재 의존도가 높은 외식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앵커]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로 필리핀 세부에 머물고 있는 승객들을 태우고 올 대체항공편이 오늘 오후 세부로 떠났습니다. 세부 현지에 도착한 우리 정부 관계자들은 필리핀 정부의 사고 조사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한항공의 세부행 대체항공편이 오늘 낮 12시 30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했습니다. 원래 출발 예정 시간은 오전 10시였지만, 필리핀 당국의 착륙허가가 늦어지면서 2시 30분 정도 출발이 지연됐습니다. 대체항공편은 사고 여파로 세부에 발이 묶였던 승객들을 태우고 인천공항에 밤 9시 40분쯤 도착할 예정입니다. 세부 현지에서는 사고 조사를 위해 여객기를 옮기기 위한 사전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사고 항공기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어제 남아있는 연료를 뺐고, 오늘은 승객 수하물 등을 내리는 작업을 시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어젯밤 현지에 도착한 국토부 사고조사관 등은 필리핀 당국과 사고 조사를 위한 협의를 진행 중입니다. 사고 당시 현지 기상이 악화된 상황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중 브레이크 시스템 등이 고장 났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또 항공기가 안전하게 활주로에 착륙할 수 있도록 돕는 세부 공항의 시설이 고장 났던 점도 사고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사고 조사관들은 항공기 블랙박스 조사와 관계자 진술 등을 진행할 예정인데, 원인 조사에만 수개월이 걸릴 전망입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영상편집:강정희세부 남았던 승객들, 25일 밤 인천국제공항 귀국 예정현장대책본부 가동…유관당국 협의 및 국토부 조사관 지원[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대한항공(003490)이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서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로 귀국하지 못한 승객들을 국내로 데려오는 절차에 돌입했다. 대체 항공편이 25일 오후 세부로 향했으며, 이날 밤 인천국제공항으로 돌아올 예정이다.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가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오버런·overrun)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24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세부 막탄 공항으로 향한 A330-300 항공기가 현지 기상 악화로 비정상 착륙했다. (사진=연합뉴스)대한항공은 25일 대체 항공편(보잉 777-300ER)이 오후 12시33분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오후 3시23분(현지시간) 세부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대체 항공편은 오후 4시20분(현지시간)에 세부에서 출발해 오후 9시40분 인천공항에 내릴 예정이다.앞서 인천국제공항에서 지난 23일 오후 6시35분 출발해 막탄 공항으로 향한 A330-300 여객기(KE631)가 현지시간 23일 오후 11시7분쯤 악천 후 속 착륙을 시도하다 활주로를 이탈했다.여객기는 기상 악화에 따라 두 차례 착륙시도 후 복행(고어라운드)하려 했지만 여객기의 비상 메시지가 표출돼 비상 상황 선포 절차에 따라 착륙을 시도했다. 여객기는 착륙했지만 활주로를 벗어나 수풀에서 멈췄다. 해당 여객기엔 승객 162명, 승무원 11명이 탑승했으며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대한항공은 이수근 대한항공 부사장을 단장으로 한 50여 명 규모의 ‘현장대책본부’를 현지에 파견했다. 본부는 현지 상황을 파악하고 수습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필리핀 및 세부공항 등과 사고 수습 관련 사항을 협의하고, 국토교통부의 현지 조사관 활동도 지원할 계획이다.대한항공은 사고 여객기에 탑승했던 승객들을 위해선 투숙 호텔 내 고객 전담 데스크를 마련했다. 고객의 불편사항을 직접 듣고 해결한다는 취지다.이와 함께 대한항공은 이날 오전 3시30분부터 기내 수하물을 고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수하물 200여 개 중 50여 개는 승객들에게 돌아갔다. 나머지 150여 개는 세부공항 내 보관한 후 고객들에게 전달할 계획이다.또 여권을 사고기에 두고 내린 승객 25명을 위해 본부와 현지 출입국사무소 직원이 입국 절차를 지원한다.<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강원도가 빚보증 의무 이행을 거부하면서 촉발된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로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건설사와 증권사를 중심으로 연쇄 부실 우려가 확대되자 정부는 50조 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하는 등 정책 총동원에 나섰는데요. 시장의 불안을 잠재울 수 있을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안녕하세요?<질문 1> 최근 국내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불안 심리가 커지면서 기업들의 자금줄이 막히는 이른바 \'돈맥경화\' 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사태의 배경으로 강원도와 레고랜드가 꼽히고 있는데 정확히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요?<질문 2> 자금시장 경색으로 인한 유동성 위기가 건설사, 증권사를 중심으로 현실화되며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비슷하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채권 시장이 불안해지면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되나요?<질문 3> 추경호 부총리 등 경제와 금융 수장들은 주말인 어제 모여 긴급회의를 열고 50조 이상의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대책의 실효성은 어떻게 평가하세요? <질문 4> 이번 유동성 공급으로 급한 불은 끄겠지만 내년부터 경기가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이면서 시장 경색을 풀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선 어떤 처방이 필요할까요?<질문 5> 정부는 이번 사태와 같은 일을 막기 위해, 지자체가 보증하는 대출에 대해서는 성실히 의무를 이행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자금시장의 불안감을 완전히 씻어낼 수 있을까요? 일각에선 정부의 뒷북 대응으로 시장 불안이 커졌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신뢰를 어떻게 회복해야 할까요?<질문 6> 한편, 정부와 금융당국이 50조 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가동하며 그동안 금리 인상으로 돈줄을 제어해온 한국은행 기조와 엇갈리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한은이 기준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도 있을까요?<질문 7> 레고랜드 사태의 후폭풍은 대출금리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채권 시장의 불확실성이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의 준거금리가 되는 은행채 발행을 늘리고 금리 또한 밀어 올리고 있기 때문인데요. 연내 대출금리가 8%를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도 늘고 있는데 어떻게 전망하세요?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데이터센터 화재로 \'먹통 대란\'을 유발했던 카카오가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국내 메신저 시장에서 지난 1년 반 동안 2조6천억 원에 육박하는 광고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한편 9월 생산자물가지수가 한 달 만에 다시 상승 전환하며 물가 상승 폭이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질문 1> 출시 당시 \'광고는 없다\'고 선언했던 카카오가 지난 1년 반 동안 2조6천억 원 가깝게 광고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떻게 이런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고 보십니까?<질문 2> 공정위는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 이후 커진 온라인 플랫폼의 독과점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강도 높은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기업결합 심사기준을 강화하고 편법적 지배력 유지·강화 행위도 엄단하겠다고 밝혔는데 실효성은 어떨까요?<질문 3> 카카오는 현재 먹통 사태와 관련된 보상 절차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영업에 차질을 빚은 유료 멤버십 택시 기사들을 위한 피해 보상안을 발표했지만, 현장에선 반발이 크다는데 보상 내용이 어떻기에 그런 건가요? 유료 서비스 이용자들도 피해 입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데 무료 서비스 이용자가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질문 4>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가 작년보다 8% 상승했습니다. 생산자물가를 끌어올린 주요 품목은 무엇이었습니까? 당장 걱정되는 건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소비자물가인데 물가 상승 폭이 더 커질 수도 있을까요?<질문 5> 한국은행은 앞으로 민간소비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란 예상을 내놓았는데요. 물가는 오르고 소비가 줄면 경기는 악화될 가능성이 높지 않나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질문 6> 저렴한 가격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해 도입된 알뜰주유소의 기름값이 일반 주유소보다도 비싼 사례가 적발됐습니다. 알뜰주유소는 싼 가격에 기름을 공급받고 저가 유지를 위해 휴지 등 주유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지원하지 않는데 왜 이런 일이 발생한 건가요?<질문 7> 알뜰주유소의 고가 판매뿐만 아니라 품질 미달, 가짜 석유 판매 등 석유사업법 위반 행위도 심각한 만큼 대책이 필요한 상황인데요. 알뜰주유소의 설립 취지와 지원 예산을 고려할 때 어떤 처방이 필요할까요?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데이터센터 화재로 먹통 사태를 빚은 카카오가 대국민 사과에 나섰습니다. 남궁훈 각자대표가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카카오가 유료 서비스 이용자뿐 아니라 이번 장애로 피해를 입은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에 대한 보상을 검토한다고 밝혔는데요.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질문 1> 데이터 센터 화재로 인한 대규모 먹통 사태와 관련해 카카오가 오늘 대국민 사과에 나섰습니다. 남궁훈 카카오 각자대표는 \'먹통사태\'를 책임지고 사퇴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질문 2> 보상안에 대한 언급도 있었습니다. 유료 서비스 이용자뿐 아니라, 이번 장애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와 파트너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보상도 검토하겠다고 했는데 무료 서비스 이용자의 피해보상 길이 열린 걸까요?<질문 3> 올 초 컨트롤타워 교체로 전면 경영 쇄신에 나섰음에도 얼마 지나지 않아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는 점에서 카카오의 리더십 부재가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요. 경쟁자가 없던 카카오가 풀어야 할 과제는 어떤 것들이 남았나요? 신뢰 회복도 중요한 숙제일 것 같은데요?<질문 4> 한편, 이번 사태를 계기로 플랫폼의 독과점 문제도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의 대책이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일각에선 과도한 규제가 자칫 기업 활력을 꺾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 어떤 고민이 필요하다 보십니까?<질문 5> 지난달 HUG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와 대위변제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9월까지 누적 사고 금액이 이미 작년 1년 치를 넘어서며 \'깡통전세\' 경고음이 더 커지고 있는데요. 최근 전세 사고가 급증한 원인은 무엇 때문인가요?<질문 6>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면서 전세 보증금을 갚지 못하는 사고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대출을 못 갚는 세입자 중 절반이 20·30세대인 점도 우려되고 있는데 가계부채 폭탄의 뇌관이 되진 않을까요? 오는 11월 또 한차례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높은데 전·월세 시장에 어떤 변수가 될까요?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지난 주말 카카오 서비스가 마비되며 시민들의 일상도 멈췄습니다. 전국에서 피해사례가 끊임없이 속출했는데 피해보상은 어떻게 이뤄질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카카오 관련 주식들도 영향을 받는 모습인데요.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질문 1> 사상 초유의 카카오 먹통 사태가 발생하며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하나의 데이터센터에서 불이 났다고 서비스 전체가 먹통이 된다는 게 잘 이해되지 않는데 이번 사건 어떻게 보셨습니까?<질문 1-1> 같은 건물에 서버를 두고 있던 네이버의 경우 일부 서비스 장애가 있었지만, 사고 당일 대부분 정상화됐는데 어떤 차이가 있기에 다른 결과가 나온 건가요?<질문 2> 카카오 서비스 먹통으로 단순한 이용 불편을 넘어 소상공인들은 매출 급감 등 금전적 피해까지 벌어졌는데 피해 보상 범위는 어떻게 논의되고 있나요? <질문 3> 업계에서는 피해 보상이 일부 유료 서비스에 국한될 거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이용자들도 큰 불편을 겪었는데 보상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질문 4> 이번 먹통 사태 이후 카카오의 \'대항마\' 격인 라인, 우티, 타다 등 앱의 다운로드 건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메신저 앱 독과점 문제에 개입할 것을 시사했는데요. 카카오가 사실상 독점했던 메신저 시장에 어떤 변화가 예상되고 또 필요하다 보십니까?<질문 5> 먹통 사태 이후 첫 주식 거래일을 맞은 카카오는 \'검은 월요일\'이 될 거라는 시장의 예상대로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증권사들은 이번 화재로 카카오에 하루 매출 200억 원 안팎의 손실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여파가 언제까지 이어질까요?<질문 6>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가 급락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간 미국 기술주가 하락하면 같은 기술주인 카카오와 네이버의 주가가 영향을 받곤 했는데 추가 악재가 될까요?<질문 7> 메타플랫폼 최고경영자인 마크 저커버그가 지난 13일 삼성전자의 고위 경영진을 만났다고 합니다. 최근 공개한 차세대 메타버스 헤드셋을 개선하기 위해 삼성전자에 손을 내밀었다는 분석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미국 백악관이 24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가 진행하는 일부 사업에 대해 국가안보 차원에서 검토를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고 씨넷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사진=씨넷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바이든 행정부 관료들이 머스크가 추진 중인 일부 사업이 국가안보에 부합하는지를 놓고 검토에 들어갔다는 블룸버그의 지난 주 보도에 대해 "그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지난 20일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정부 관료들이 440억 달러(약 63조원) 규모의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계약과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 등을 검토 대상에 올렸다고 보도했다.익명을 요구한 미 행정부 관계자는 블룸버그에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관할 법률을 통한 (머스크의 사업) 검토를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CFIUS는 해외 자본의 미국 자산 투자를 검토하는 기관이다.머스크가 꾸린 트위터 인수 컨소시엄에는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홀딩스, 알왈리드 빈탈랄 사우디아라비아 왕자, 카타르 국부 펀드 등 중국계 자본이 대거 포진해 있기 때문에 CFIUS의 검토를 통과하지 못하면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 인수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최근 일론 머스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대만 위협 등 같은 이슈에 대해 미국 정부를 불편하게 하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으며 화제에 올랐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8일까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 인수 계약을 완료하겠다고 금융사들에 약속했다고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가 전날 은행들과의 화상 전화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트위터 인수자금 440억달러(약 63조원) 중 130억달러를 모건스탠리 등 은행에서 빌리는 과정에서 머스크 CEO가 이렇게 약속한 것이다.은행들은 이날 대출약정서 작성을 마무리하고 서명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출금은 27일 에스크로 계좌에 보관될 예정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블룸버그는 "최근 상황은 머스크가 28일까지 트위터 인수 거래를 마치기 위해 마지막 단계에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앞서 머스크 CEO는 지난 7월 트위터 인수 계약 파기를 선언했다가 석 달 만인 지난 5일 이를 번복, 원래 계약대로 트위터를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업 간 분쟁 사건을 다루는 미국 델라웨어주 형평법 법원은 머스크 CEO와 트위터 간 소송전을 일시 중단시키면서 28일까지 트위터 인수를 완료하라고 명령했다.연합뉴스 미래에셋금융그룹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추진하는 440억달러(63조원) 규모의 트위터 인수에 참여한다.2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래에셋 계열사 등은 머스크의 440억달러 트위터 인수 자금 조달을 돕기 위해 한화 기준 약 3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 이 펀드에는 미래에셋증권과 미래에셋캐피탈 등 계열사가 출자했다.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21일 2300억원 가량을 이 펀드에 출자했다.미래에셋그룹은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를 추진했던 지난 4월부터 투자를 계획했다. 다만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계약 파기 선언과 거래 재개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실제 투자는 늦춰졌다. 로이터에 따르면 머스크는 법원 명령에 따라 오는 28일까지 트위터 인수를 완료해야 한다.앞서 미래에셋은 올해 7월에 머스크의 스페이스X 유상증자에 참여해 1억달러(약 1300억원) 규모로 투자하기도 했다. 한편 약 3000억원 규모 투자 소식에 장 초반 12% 상승 [연합뉴스] 미래에셋벤처투자가 미래에셋그룹이 트위터 인수에 참여한다는 소식에 장 초반 급등했다. 25일 오전 10시 28분 기준 미래에셋벤처투자는 전날보다 4.93%(205원) 오른 4505원에 거래되고 있다. 개장 직후 12% 넘게 오르기도 했다. 미래에셋벤처투자는 미래에셋금융그룹에서 사업기업과 벤처기업 등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탈(VC)이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미래에셋금융그룹이 머스크의 440억 달러(약 63조원) 트위터 인수 자금 조달을 위해 한화 기준 약 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트위터 인수를 위해 24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 머스크와 함께 트위터 지분을 공동 인수하는 구조다. 해당 펀드는 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캐피탈 등 계열사가 유한책임사원(LP)으로 출자하는 형식이다. 앞서 지난 7월 미래에셋은 ‘미래에셋글로벌스페이스투자조합1호’를 결성해 머스크의 우주 탐사 기업 스페이스X에 1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필리핀 세부 공항에서 일어난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발이 묶였던 승객들이 오늘(25일) 밤 귀국할 예정입니다.대한항공은 승객들을 태우고 귀국할 대체항공편이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했다며, 세부 공항에서 승객들을 태우고 오후 9시40분쯤 국내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진에어와 에어부산도 공항 폐쇄로 한국에 돌아오지 못한 승객 300여명을 수송하기 위해 각각 대체항공편을 세부로 보냈습니다.#대한항공 #활주로_이탈 #세부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필리핀 당국 착륙 허가 늦어지며 출발 지연… 밤 늦게 인천공항 도착사고기 탑승객 일부만 대체편 탑승…짐 문제로 상당수 세부 남아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어머니와 함께 손잡고 공항을 빠져나가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23일(현지시간)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악천후 속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오버런·overrun)하는 사고가 발생한 대한항공 여객기가 동체가 파손된 채 멈춰서 있다. (트위터 캡처)2022.10.24/뉴스123일(현지시간)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악천후 속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오버런·overrun)하는 사고가 발생한 대한항공 여객기가 동체가 파손된 채 멈춰서 있다. (트위터 캡처) 2022.10.24/뉴스1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 공항을 빠져나가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취재진에게 당시 상황을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취재진에게 당시 상황을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인천공항=뉴스1) 김진환 기자 = 필리핀 세부 막탄 공항에서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오버런) 여파로 발이 묶였던 승객들과 사고기 탑승객 일부가 귀국했다. 앞서 국토부가 필리핀 항공당국으로부터 운항허가를 얻으면서 진에어와 에어부산, 대한항공 여객기가 이날 오후 필리핀으로 출발했고, 대한항공 632편은 오후 9시58분 인천공항에 착륙했다. 국토교통부 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125명이 탄 대한항공 여객기에는 사고 여객기로 귀국 예정이었던 승객들과 함께 앞서 사고가 난 여객기에 탑승했던 승객 14명이 탑승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고 여객기에서) 짐을 빼지 못한 상황이라 상당수가 호텔에 남아 있다"며 "귀국하는 14명 중 9명은 한국 국적이며 나머지는 환승객"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사고 항공기의 견인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사고기를 운반할 수 있는 대형 크레인이 없어 기체는 활주로 끝 250미터 지점에 있다. 약 8톤가량의 승객 수하물을 기체 바깥으로 내리는 작업을 하고 있으나 안전 문제로 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고는 우리시각으로 전날 오전 0시7분경 발생했다. 대한항공 KE631편이 악천후 속에 세부공항 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를 이탈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이 여객기는 23일 오후 6시35분쯤 인천공항에서 승무원과 승객 173명을 태우고 이륙했다.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취재진에게 당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취재진에게 당시 상황을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취재진에게 당시 상황을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승객들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 공항을 빠져나가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해 어머니와 함께 손잡고 공항을 빠져나가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현지에 머물렀던 한 승객이 25일 대한항공 대체항공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 취재진에게 당시 상황을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2022.10.25./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23일(현지시간)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악천후 속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오버런·overrun)하는 사고가 발생한 대한항공 여객기가 동체가 파손된 채 멈춰서 있다. (트위터 캡처) 2022.10.24/뉴스123일(현지시간)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악천후 속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오버런·overrun)하는 사고가 발생한 대한항공 여객기가 동체가 파손된 채 멈춰서 있다. (트위터 캡처)2022.10.24/뉴스124일(현지시간) 173명이 탑승한 대한항공 여객기(KE631)가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악천후로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한 모습이 보인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대한항공·진에어·에어부산, 보항편 운항…국토부, 필리핀과 사고 조사필리핀 세부 공항 활주로 밖에 처박힌 대한항공 여객기(세부 AP=연합뉴스) 24일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활주로를 이탈한 뒤 멈춘 대한항공 여객기가 바닥에 처박혀 있다. 173명의 승객이 탑승한 문제의 여객기는 기상 악화 탓에 막탄 공항에 착륙한 직후에 활주로를 벗어났다. 당국은 탑승자 전원이 모두 무사하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공항은 잠정 폐쇄됐다. 2022.10.24 jsmoon@yna.co.kr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필리핀 세부 공항에서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발이 묶였던 승객들을 태울 대한항공 대체항공편(보항편)이 25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했다. 대한항공은 이날 낮 12시 33분 승객들을 태우고 귀국할 보항편이 인천국제공항에서 세부 막탄공항으로 출발했다고 밝혔다. 보항편은 세부 공항에서 승객들을 태우고 현지시간 오후 4시 20분 출발해 인천공항에 오후 9시 40분 도착할 예정이다. 보항편은 애초 오전 10시 인천공항 출발 예정이었지만, 필리핀 당국의 착륙 허가가 늦어지면서 출발도 지연됐다. 앞서 23일(현지시간) 오후 11시 7분 필리핀 세부 공항에서 승객 162명(한국인 47명)과 승무원 11명을 태운 대한항공 여객기가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했다.[그래픽] 대한항공 여객기 필리핀 공항 활주로 이탈 사고(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이 사고로 여객기가 파손되고 세부 공항이 폐쇄되면서 전날 해당 여객기의 리턴(복귀) 일정을 통해 귀국할 예정이었던 승객들은 현지에 머물러야 했다. 필리핀 공항 당국이 공항 운영을 재개하면서 보항편 운항이 가능해졌다. 세부 공항은 이날부터 다음달 7일까지 오전 5시부터 오후 4시 59분까지만 운영된다. 대체항공편에는 전날 귀국 예정이었던 승객 120여명이 탑승한다. 활주로를 이탈한 여객기에 탑승했던 승객들도 한국행을 희망할 경우 보항편을 타고 귀국할 수 있다. 진에어와 에어부산도 공항 폐쇄로 한국에 돌아오지 못한 승객 300여명을 수송하기 위해 이날 낮 12시 25분과 12시 9분 각각 대체항공편을 세부로 보냈다. 대한항공은 이날 오전부터 이수근 안전보건총괄 부사장을 단장으로 세부에서 50여명 규모의 현장대책본부를 운영 중이다. 현장탑승자지원팀은 활주로를 이탈한 여객기 탑승객을 직접 방문해 기내 수하물도 전달했다. 이날 오전 2시께 세부에 도착한 국토교통부 감독관과 사고조사위원회 조사관 5명은 현장 수습과 사고 조사 착수를 위해 필리핀 당국과 협의 중이다. 세부 공항에 대형 크레인이 없어 사고 여객기는 현재까지 활주로 끝 250m 지점에서 이동하지 못하고 있다. 필리핀 당국은 여객기 중량을 줄이기 위해 전날 오후 5시 남아있는 연료를 빼는 작업을 마쳤다. 항공기 내 약 8t가량의 승객 수하물을 빼는 작업도 시도하고 있지만, 안전 문제로 작업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pc@yna.co.kr [앵커] 대한항공 여객기의 활주로 이탈 사고로 필리핀 세부에 머물고 있는 승객들을 태우고 올 대체항공편이 오늘 오후 세부로 떠났습니다. 세부 현지에 도착한 우리 정부 관계자들은 필리핀 정부의 사고 조사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한항공의 세부행 대체항공편이 오늘 낮 12시 30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했습니다. 원래 출발 예정 시간은 오전 10시였지만, 필리핀 당국의 착륙허가가 늦어지면서 2시 30분 정도 출발이 지연됐습니다. 대체항공편은 사고 여파로 세부에 발이 묶였던 승객들을 태우고 인천공항에 밤 9시 40분쯤 도착할 예정입니다. 세부 현지에서는 사고 조사를 위해 여객기를 옮기기 위한 사전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사고 항공기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어제 남아있는 연료를 뺐고, 오늘은 승객 수하물 등을 내리는 작업을 시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어젯밤 현지에 도착한 국토부 사고조사관 등은 필리핀 당국과 사고 조사를 위한 협의를 진행 중입니다. 사고 당시 현지 기상이 악화된 상황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중 브레이크 시스템 등이 고장 났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또 항공기가 안전하게 활주로에 착륙할 수 있도록 돕는 세부 공항의 시설이 고장 났던 점도 사고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사고 조사관들은 항공기 블랙박스 조사와 관계자 진술 등을 진행할 예정인데, 원인 조사에만 수개월이 걸릴 전망입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영상편집:강정희서울시 건축 심의 통과…오피스텔 414실·공동주택 634세대 공급내년 상반기 건축 허가 거쳐 2027년 준공[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오는 2027년 서울역 철도 유휴부지에 최고 38층 높이의 복합단지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의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별계획구역 신축 사업` 계획안이 건축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역 북부 개발 사업은 연 면적 34만 126㎡ 규모 부지에 지하 6층~지상 최고 38층의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내년 상반기 건축허가를 거쳐 2027년 준공될 예정이다. 복합단지는 △업무시설 2개동(38층·32층) △오피스텔 1개동(37층) △호텔과 오피스텔로 구성된 2개동(29층·23층)으로 구성된다. 오피스텔은 총 414실이 공급된다. 지하 1층∼지상 3층에는 내·외부가 연계된 복합 소매점 공간이 들어선다.또 서울역 광장부터 공공 보행 통로가 조성돼 철도로 단절된 동·서 구간을 연결하고, 녹지와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 사업 조감도. (사진=서울시)서울역 북부 개발 사업은 2008년부터 논의가 시작됐지만, 민간 사업자가 사업성을 이유로 중도 포기하면서 10년 넘게 표류해왔다. 시는 사업 재개를 위해 2018년 개발 방향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토지 소유자인 코레일에 제시했고, 2020년 4월 코레일과 사업자인 한화 컨소시엄이 서울시에 사전협상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논의가 재개됐다. 이후 작년과 올해 초에 걸쳐 개발 계획이 확정돼 지난 3월 지구단위계획안이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시 관계자는 “건물이 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지도록 타워부에서 차츰 낮아지는 건축물 조형과 리듬감 있는 스카이 라인을 구현할 예정”이라며 “모든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동선을 통해 서울역 주변의 상징물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아울러 건축위원회에서는 `홍제3 주택 재건축 사업`도 통과됐다. 지하철 3호선 무악재과 홍제역 인근 홍제동 104-41 일대(연면적 11만 148.53㎡ )에 지하 6층~지상 23층 규모의 공동주택 634세대(공공주택 78세대, 분양주택 556세대) 11개 동과 부대 복리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서울시, 25일 \'제20차 건축위원회\' 2건 가결2027년 서울역 북부 38층 복합단지 건축오피스텔, 호텔, 판매·문화시설 등 들어서무악재역 인근 \'홍제3\' 2028년 아파트 공급공공주택 78가구 포함 634가구, 23층 규모내년 사업시행계획인가 거치고 착공할 예정2027년에는 서울역 북부 일원에 38층 규모 복합단지가, 이듬해에는 무악재역 인근에 634가구 규모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26일 서울시는 전날 열린 제20차 건축위원회에서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과 \'홍제3 주택재건축사업\' 건축계획안을 통과시켰다고 밝혔다.2027년 서울역 북부 일원 최고 38층 복합단지 만든다\'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 조감도/사진=서울시청\'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을 통해 서울역 북부(중구 봉래동2가 122번지 일원) 연면적 34만126.86㎥ 규모의 대지에 지상 38층 복합단지가 들어설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건축허가를 거쳐 2027년 준공될 예정이다.이번 심의를 통해 지하 6층~지상 38층 높이의 업무시설(사무소·오피스텔 414실), 관광숙박(호텔), 판매, 문화 및 집회 시설 등 복합 건축물이 계획됐다. 각각 38층, 32층 규모의 업무시설(사무소) 2개 동과 오피스텔 1개 동(37층), 호텔과 오피스텔로 구성된 2개 동(29층, 23층), 총 5개 동이 들어선다.\'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 위치도/사진=서울시청특히 서울역 광장에서 이어진 입체적인 공공보행통로 조성을 통해 도시 철도로 단절된 동~서 구간을 연결하고 이와 연계한 공개공지를 조성, 서소문 역사공원까지 연결해 공공성을 강화한 열린 공간으로 계획된 것이 특징이다. 광장과 공공보행로 주변에는 휴식공간을 제공하며, 지하 1층~지상 3층은 내·외부가 연계된 복합 소매점 공간을 제공한다.건물이 주변환경과 잘 어우러지도록 타워부에서부터 차츰 낮아지는 새로운 건축물 조형과 리듬감 있는 스카이라인을 구현할 예정이다. 시는 모든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동선 유도로 서울역 주변의 상징물(랜드마크)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무악재역 인근 \'홍제3\', 634가구 규모 공동주택 2028년 들어선다\'홍제3 주택재건축사업 건축계획안\' 투시도/사진=서울시청서울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 인근 홍제동 104-41일대에는 2028년 지상 23층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선다. 내년 상반기 사업시행계획(변경)인가를 거쳐 같은 해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이번 심의를 통과한 \'홍제3 주택재건축사업\'을 통해 연면적 11만148.53㎡, 지하 6층~지상 23층 규모의 공동주택 634가구(공공주택 78가구 포함) 11개 동과 부대 복리시설(4866.53㎡), 근린생활시설(4975.91㎡)이 들어선다.총 다섯 가지 평형(전용면적 49·51·59·84·114㎡)이 도입되며 이 중 공공주택(78가구)도 포함된다. 시는 1~2인 가구에 적합한 49㎡(26가구) 공공주택뿐만 아니라 3인 이상 가구에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할 59㎡(52가구)를 확보했다. 세대 배치 시 임대·분양 동시 추첨을 통해 적극적인 소셜믹스를 구현할 계획이다.\'홍제3 주택재건축사업\' 위치도/사진=서울시청통일로변에 위치한 \'홍제3 주택재건축사업\' 부지는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과 홍제역 사이에 있어 도심 접근이 유리하다.22m 높이 차이가 있는 구릉지라는 부지 특성을 최대한 활용해 주변 지형에 순응하는 공동주택단지로 계획, 지형을 적극 활용한 \'슬로프가든\'과 통일로~인왕산 방향에 폭 22m의 탁 트인 조망 공간(통경축)을 확보했다. 통일로에 맞닿은 건물 저층부에는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해 가로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홍제3 주택재건축사업 건축계획안\' 조감도/사진=서울시청통경축을 중심으로 열린 공간에는 벽천 등 조경시설물과 부대 복리시설을 배치하고 통일로 변 주동 최상층에 스카이 커뮤니티를 설치, 지역주민에게 개방해 지역주민 간 소통을 유도한다.아울러 세대 내에서 외부 공간을 즐길 수 있는 테라스형 단위 세대와 개방형 발코니를 계획하고 주동 옥상에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지속가능한 친환경 녹색 단지로 운영할 계획이다.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서울 시내 원활한 주택 공급뿐 아니라 서울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창의적인 건축계획이 이뤄질 수 있도록 건축위원회를 앞으로도 착실히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 위치도 /사진=서울시서울역 인근에 사무실과 오피스텔, 호텔 등이 들어서는 복합단지가 최고 38층 규모로 조성된다.서울시는 제20차 건축위원회를 열고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 건축계획안을 통과시켰다고 26일 밝혔다. 이 사업은 중구 봉래동2가 122번지 일대 서울역 북부 34만126.86㎡에 최고 38층 규모의 복합단지를 짓는 내용이다.심의를 통해 지하 6층~지상 38층, 사무실·오피스텔 414실과 관광숙박(호텔), 판매, 문화·집회시설 등 복합건축물이 계획됐다. 업무시설 2개동, 오피스텔 1개동, 호텔과 오피스텔로 구성된 2개동 등 모두 5개동으로 구성된다. 내년 상반기 건축허가를 거쳐 2027년 준공 예정이다.서울역광장에서 이어지는 입체적 공공보행통로를 만들어 도시철도로 단절된 동서 구간을 연결한다. 공개공지를 조성하고 서소문 역사공원까지 연결해 자연 친화적이고 공공성을 강화한 열린 공간을 계획했다. 광장과 공공보행로 주변은 녹지공간과 휴식 공간으로 꾸며진다. 지하 1층~지상 3층은 내·외부가 연계된 복합 소매점(리테일) 공간으로 제공한다.건물 높이는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도록 최고층에서 차츰 낮아지는 스카이라인을 구현할 예정이다. 모든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동선을 유도해 서울역 주변의 상징물이 될 수 있도록 했다.홍제3 주택재건축사업 조감도 /사진=서울시이와 함께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 인근 홍제동 104-41번지 일대에 지상 23층 규모의 아파트가 지어진다. 서울시 심의를 통과한 \'홍제3 주택재건축사업\'은 연면적 11만148.53㎡에 지하 6층~지상 23층, 11개동, 총 634가구와 부대 복리시설, 근린생활시설을 건축하는 내용이다. 전용 49·51·59·84·114㎡ 등 5가지 평형으로 구성된다. 공공주택은 78가구로 1~2인가구에 적합한 49㎡형(26가구)와 3인 이상 가구에게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하는 59㎡형(52가구)를 확보했다. 세대 배치 시 임대·분양 동시 추첨을 통해 소셜믹스를 구현할 방침이다.이곳은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과 홍제역 사이에 위치해 도심 접근이 유리하고, 서울역과 지하철 5·1호선·경의중앙선도 이용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다. 22m 높이 차이가 있는 구릉지 부지 특성을 최대한 활용해 주변 지형에 순응하는 공동주택 단지로 계획했다. 지형을 활용한 \'슬로프 가든\'과 통일로~인왕산 방향에 폭 22m의 통경축을 확보했다. 건물 저층부에는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해 가로 활성화를 유도한다.세대 내부에는 테라스형, 개방향 발코니가 조성된다. 주동 옥상에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친환경 녹색 단지로 운영한다. 홍제3 재건축은 내년 상반기 사업시행계획(변경) 인가를 거쳐 2023년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원활한 주택 공급뿐 아니라 서울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창의적인 건축계획이 이뤄질 수 있도록 건축위원회를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기사내용 요약내년 상반기 건축허가 거쳐 2027년 준공[서울=뉴시스]서울시는 지난 25일 제20차 건축위원회를 열어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별계획구역 신축사업\'을 통과시켰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서울시 제공). 2022.10.26. photo@newsis.com[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서울역 철도 유휴부지에 최고 38층의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서울역 북부 역세권 사업 건축계획안이 서울시 심의를 통과했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제20차 건축위원회를 열어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별계획구역 신축사업\'을 통과시켰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역 북부 역세권 사업은 서울역 북부 연면적 34만126㎡ 규모의 부지에 최고 지상 38층의 복합단지를 건립하는 사업이다. 지난 3월 서울시 심의에서 세부계획안이 통과되면서 13년 넘게 표류했던 사업이 본격화됐다. 내년 상반기 건축허가를 거쳐 오는 2027년 준공될 예정이다.이번 심의를 통해 해당 부지에는 지하 6층~지상 38층 높이의 사무소·오피스텔등 414실, 호텔, 판매, 문화·집회시설 등 복합 건축물이 들어선다. 업무시설 2개동과 오피스텔 1개동, 호텔·오피스텔 2개동 등 총 5개동으로 구성된다. 지하 1층~지상 3층은 내외부가 연계된 복합 소매점으로 조성된다. 서울역광장에서 이어지는 공공보행통로를 통해 도시철도로 단절된 동서 구간이 연결된다. 공개공지를 통해 서소문역사공원까지 연결되는 공간으로 계획됐다.이날 건축위원회에서는 \'홍제3 주택재건축사업\'도 통과됐다. 지하철 3호선 무악재과 홍제역 인근 홍제동 104-41 일대에 2028년 지하 6층~지상 23층 규모의 아파트를 건립하는 계획안이다. 공동주택 634세대, 11개 동과 부대 복리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 1~2인 가구에 적합한 49형(26세대) 공공주택뿐만 아니라 3인이상 가구에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하는 59형(52세대)도 포함됐다. 시는 세대 배치 시 임대.분양 동시 추첨을 통해 적극적인 소셜믹스를 구현한다는 방침이다.세대 내에서 외부 공간을 즐길 수 있는 테라스형 단위 세대와 개방형 발코니도 계획됐다. 주동 옥상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서울 시내 원활한 주택 공급뿐 아니라 서울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창의적인 건축계획이 이뤄질 수 있도록 건축위원회를 앞으로도 착실히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현대차그룹의 미국 전기차 전용 공장이 첫 삽을 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2020년 회장에 취임한 이후 결정한 첫 신설 공장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아이오닉5를 필두로 한 현대차그룹 차세대 전기차들로 미국에서 새롭게 열리는 전기차 시장을 개척한다는 계획이다.25일(현지시각) 현대차그룹은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전기차 전용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기공식을 열었다. 기공식에는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라파엘 워녹·존 오소프 연방 상원의원, 버디 카터 연방 하원의원, 돈 그레이브스 미 상무부 부장관, 조태용 주미대사 등 한·미 양국의 정·관계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현대차그룹에선 정의선 회장을 비롯해 현대차 장재훈 사장과 호세 무뇨스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가 참석했다.정의선 회장은 “‘인류를 위한 진보(Progress for Humanity)’라는 현대차그룹의 비전을 실행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 최적의 파트너를 드디어 찾게 됐다”며 “조지아와 현대차그룹은 신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전 세계가 선망하는 최고 수준의 전기차 생산 시설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카운티에서 25일(현지시간) 열린 현대차그룹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 기공식에서 주요 인사들이 공장 건설을 알리는 첫 삽을 뜨고 있다. 왼쪽부터 윤승규 기아 북미권역본부장(부사장),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 조태용 주미대사,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버디 카터 연방 하원의원, 라파엘 워녹 연방 상원의원, 존 오소프 연방 상원의원, 돈 그레이브스 미 상무부 부장관. /현대차그룹 제공공장은 1183만㎡(약 358만평) 부지에 연간 30만 대의 전기차를 양산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진다.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공장 건설에 착수해 2025년 상반기부터 전기차 양산에 들어간다.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3개 브랜드의 전기차를 생산한다. 다차종의 전기차를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현지 고객의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할 방침이다.미국 내 현대차그룹 생산거점 3곳은 서로 인접해 있어 부품 조달이나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를 기대할 수 있다. 기아 조지아주 공장과 약 420㎞,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약 510㎞ 거리로 각각 차로 4시간, 5시간이면 갈 수 있다.이를 통해 미국에서 2030년 전기차 84만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다. 올 3분기(1~9월)까지 현대차, 기아는 미국에서 전기차 4만7095대를 팔아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212% 증가했다.2030년 글로벌 시장에선 총 323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해 약 12%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현대차(제네시스 포함)는 18종, 기아는 13종의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해 국내에서만 연간 144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이다.현대차그룹은 메타플랜트가 본격 가동되면 판매가 더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터리의 안정적 조달을 위해 글로벌 배터리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배터리 셀 공장을 인근에 설립할 예정이다. 파트너사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현대차그룹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 조감도/현대차그룹 제공현대차그룹은 미국뿐 아니라 국내에도 전기차 전용 생산기지들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울산 공장 내 주행시험장 부지에 신형 전기차 공장을 건설하고, 기아는 화성공장에 PBV(다목적 맞춤형 차량) 전기차 전용공장을 짓기로 했다. 두 곳 모두 미국 공장과 함께 2025년부터 본격 양산에 들어가며, 국내·외 전기차 전용 거점 3곳을 발판삼아 수출을 크게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국내 생산량은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가동 직전인 2004년과 비교해 12%, 완성차 수출액도 같은 기간 79% 증가했다.특히 현대차그룹은 이 공장을 최고 수준의 미래형 혁신 공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서 실증 개발한 제조 혁신 플랫폼을 도입하기로 했다. 제조 혁신 플랫폼에는 ▲수요 중심의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제어 시스템 ▲탄소중립·RE100(재생에너지 사용 100%) 달성을 위한 친환경 저탄소 공법 ▲안전하고 효율적 작업이 가능한 인간 친화적 설비 등이 포함돼 있다. 예를 들어 인간과 로봇의 협업을 통해 근로자 작업 강도를 낮출 수 있고, 공정 내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도 물리적 방문없이 원격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조지아 주 정부는 각종 인센티브를 단계별로 지급할 계획이다. 조지아 주의 인센티브에는 일자리 창출에 따른 소득 공제, 재산세 감면 등이 포함돼 있다. 주정부 산하 지방자치단체에선 발전소 용지 및 도로 건설 비용 중 일부를 지원한다.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전기차 톱 티어’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미국 전용공장 설립을 공식화했다. 현대차그룹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 주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전기차 전용 신공장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이하 HMGMA)’ 기공식을 개최했다.기공식은 HMGMA 부지 현장에서 열렸다. 주요 참석자들이 공장 건설을 알리는 첫 삽을 뜬 직후에는 HMGMA와 차로 약 30분 거리에 있는 서배너 ‘엔마켓 아레나’에서 2부 행사가 열렸다. 지역사회와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2부 행사에는 일반 시민들도 참석했다. 현대차그룹은 참석자들에게 전기차·로보틱스 등 최신 모빌리티 기술과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의 지역 내 사회공헌 활동을 소개했다.HMGMA 기념 행사에는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라파엘 워녹·존 오소프 연방 상원의원, 버디 카터 연방 하원의원, 돈 그레이브스 미 상무부 부장관, 조태용 주미대사 등 한·미 양국의 정·관계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현대차그룹에선 정의선 회장을 비롯해 현대차 장재훈 사장과 호세 무뇨스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 등 최고 경영진이 자리를 함께 했다.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축사에서 “현대차그룹과의 파트너십 그리고 이 혁신적인 공장의 기공식은 조지아 주에서 전례 없는 경제 성과”라며 “조지아 주는 이번 파트너십이 오랜 기간 유지되길 기대하며 현대차그룹의 투자 효과가 양측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기공식에 참석해 “‘인류를 위한 진보’라는 현대차그룹의 비전을 실행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 최적의 파트너를 드디어 찾게 됐다”며 “조지아와 현대차그룹은 신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전 세계가 선망하는 최고 수준의 전기차 생산 시설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메타플랜트’는 메타모빌리티의 가능성을 고객 일상으로 실현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공장’이라는 뜻으로 붙었다.HMGMA는 1183만㎡(약 358만 평) 부지에 연간 30만 대의 전기차를 양산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진다.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공장 건설에 착수해 2025년 상반기부터 전기차 양산에 들어간다.HMGMA 건설에 맞춰 조지아 주 정부 역시 각종 인센티브를 단계별로 지급할 계획이다. 조지아 주의 인센티브에는 일자리 창출에 따른 소득 공제, 재산세 감면 등이 포함돼 있다. 주정부 산하 지방자치단체에선 발전소 용지 및 도로 건설 비용 중 일부를 지원한다.현대차그룹 차원의 첫 공장인 HMGMA에선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등 3개 브랜드의 전기차를 생산한다. 다차종의 전기차를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현지 고객의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할 방침이다.현대차그룹은 HMGMA를 최고 수준의 미래형 혁신 공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서 실증 개발한 제조 혁신 플랫폼을 도입하기로 했다.HMGICS의 제조 혁신 플랫폼에는 △수요 중심의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제어 시스템 △탄소중립·RE100(재생에너지 사용 100%) 달성을 위한 친환경 저탄소 공법 △안전하고 효율적 작업이 가능한 인간 친화적 설비 등이 포함된다.현대차그룹은 HMGMA가 본격 가동을 시작하면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이 더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 글로벌 시장에서 총 323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해 약 12%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할 계획이다. 대표적 선진 시장인 미국에선 2030년 전기차 84만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현대차와 기아는 올 들어 3분기(1~9월)까지 미국에서 전기차 4만7095대를 팔아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212.0% 증가했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5(1만8492대)를 필두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2.3% 증가한 2만2418대를 판매했다. 기아 역시 EV6(1만7564대)를 비롯해 전기차 2만4677대를 팔아 같은 기간 판매량이 322.2% 늘었다.현대차그룹은 완성차뿐 아니라 배터리까지 전기차 제조·판매에 필요한 안정적인 현지 조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글로벌 배터리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배터리 셀 공장을 HMGMA 인근에 설립할 예정이다.합작 배터리 공장에선 현대와 기아, 제네시스 전기차에 최적화한 배터리 제품을 공동 개발해 양산하고, HMGMA에서 고효율·고성능·안전성이 확보된 높은 경쟁력의 전기차를 적시에 생산해 현지 판매할 방침이다.현대차그룹은 미국뿐 아니라 국내에도 전기차 전용 생산기지들을 건설해 전동화 전환에 더욱 속도를 붙일 계획이다. 현대차는 울산 공장 내 주행시험장 부지에 신형 전기차 공장을 건설하고, 기아는 오토랜드 화성에 PBV 전기차 전용공장을 짓기로 했다. 두 곳 모두 HMGMA와 같은 시기인 2025년부터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국내·외 전기차 전용 거점 3곳을 발판삼아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의 입지가 한 차원 올라감으로써 국내 완성차 및 전기차 수출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국내 생산량은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가동 직전인 2004년과 비교해 12%, 완성차 수출액도 같은 기간 79% 증가한 바 있다.2030년까지 현대차(제네시스 포함)는 18종, 기아는 13종의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해 국내에서만 연간 144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앵커>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업황 부진에 3분기 역성장을 하는 어닝쇼크 수준의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시장의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정재홍 기자 자세히 전해 주시죠.<기자> 방금 전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매출 10조 9,829억 원, 영업이익 1조 6,556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 60.3% 감소했습니다.앞서 시장에서는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2조 원을 넘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번 3분기 실적은 전망치 보다 더 떨어지는 결과입니다.<앵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단일 사업이라는 특성에 업황 부진 영향을 더 많이 받았을 거 같은데요.<기자> SK하이닉스 주력 제품인 D램과 낸드플래시 모두 수요는 적은데 공급은 많은 상황입니다.이번 실적 공시에서 제품별 이익은 공개하지 않지만, 가격 하락과 재고 축적으로 두 품목 모두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파악됩니다.특히 증권가에선 SK하이닉스가 낸드플래시 분야에서 약 3,5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합니다.SK하이닉스 낸드플래시 사업이 적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3분기 흑자전환한 뒤 1년 만입니다.특히 모바일용 제품 공급이 많은 사업 특성상 IT세트 수요 부진에 더 큰 타격을 받았을 거란 분석입니다.<앵커> 메모리 업황 부진이 심화되면서 4분기 전망도 좋지 않습니다.<기자> SK하이닉스의 4분기 실적 전망도 부정적입니다.매출은 현재 규모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해도 수익성은 더 악화돼 영업이익이 약 1조 원대 밑으로 하락할 거라는 에상입니다.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빨라야 내후년 살아날 걸라는 예측에 내년까지 실적 부진은 이어질 전망입니다.시장에서는 SK하이닉스가 내년 연간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할 거라는 비관적인 시각도 있습니다.SK하이닉스는 오늘 실적 발표에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내년 투자 규모를 50% 이상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또 수익성이 낮은 제품을 중심으로 생산량을 줄여 나갈 계획이라며 일정기간 투자 축소와 감산 기조를 유지하며 수급 균형을 맞추겠다고 덧붙였습니다.지금까지 뉴스콘텐츠국에서 한국경제TV 정재홍입니다.SK하이닉스의 올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분기와 비교할 때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K하이닉스는 오늘(26일) 경영실적 발표회를 열고 올해 3분기 매출 10조 9829억 원, 영업이익 1조 655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분기와 비교할 때 매출은 20.5%, 영업이익은 60.5% 감소한 것입니다. 또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도 매출은 7%, 영업이익은 60% 가량 각각 감소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전세계적으로 거시경제 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D램과 낸드 제품의 수요가 부진해진 탓에 판매량과 가격이 모두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최신 공정인 \'10나노 4세대 D램\'과 \'176단 4D 낸드\'의 판매 비중과 수율을 높여 원가경쟁력이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가격 하락폭이 더 커서 영업이익도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의 주요 공급처인 PC와 스마트폰 생산 기업들의 출하량이 줄어들면서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전례 없는 시황 악화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했습니다. 또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에 10조 원대 후반으로 예상되는 올해 투자액 대비 내년 투자 규모를 50% 이상 줄이기로 했습니다. 나아가 앞으로는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제품을 중심으로 생산량을 줄여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데이터센터 서버에 들어가는 메모리 수요는 단기적으로 감소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꾸준히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사진 출처 : 연합뉴스]협력사 ESG 역량 향상에 도움 되는 실질 컨설팅 등 맞춤지원지난7월25일 서울 종로구SK서린빌딩에서 열린SK이노베이션의 ‘2022년ESG우수협력사 인증’ 행사에서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가운데 팻말 오른쪽)을 비롯한SK이노베이션,협력사 관계자들이ESG역량 강화를 다짐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데일리안 = 오수진 기자] SK이노베이션이 협력사를 대상으로 각 영역별 평가 및 맞춤 컨설팅과 구매정책, 체계, 시스템 등의 공급망을 적극 지원하는 등 협력사의 ESG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매년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리스크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SK이노베이션은 협력사의 ESG 취약분야를 파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업체별 취약점의 원인을 발굴, 개선하는 과정으로 구성했다. 모든 비용은 SK이노베이션이 부담해 협력사의 자발적인 ESG 역량 향상을 촉진하고 있다.지난해에는 핵심 협력사 204곳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해 자원한 111곳에는 평가결과 검토 및 개선사항 제언에 나섰다. 여기서 각 업체마다 취약한 ESG 영역을 개선하는 ‘심화컨설팅’에는 52개사가 스스로 참여했다. 평가결과는 1등급부터 7등급까지 절대평가로 각각 우수(1·2등급), 보통(3·4등급), 개선필요(5~7등급)로 산출한다.올해 평가에서는 지난해 심화컨설팅에 나선 52개 협력사 중 우수 비중이 20%포인트(p) 상승한 39%에 이르는 등 협력사의 ESG 역량 개선이 지표로 확인됐다. 개선필요 업체 비중은 10%에서 2%로 줄었다.기술 시험과 검사,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A 협력사는 2021년 보통 등급에서 올해 우수로 향상됐다. 컨설팅 전에는 온실가스 배출량 수준을 측정할 역량이 부족했지만, 컨설팅 후 온실가스 배출량 파악은 물론 자체적으로 온실가스양을 산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까지 갖췄다.운송분야 협력사인 B 협력사는 작업현장 내 안전을 위한 법적 기준, 위험사항 파악이 취약해 ESG 중 S(사회)에서 2021년 보통에 머물렀지만, 현장안전 점검 교육, 현장 운영체계 및 관리방안에 대한 컨설팅으로 화재예방, 상하차 작업 시 충돌예방을 위한 매뉴얼 등을 구체적으로 갖춰 올해 이 분야 우수로 올랐다.SK이노베이션의 ESG 상생 노력에 힘입어 SK지오센트릭은 동반성장위원회가 매년 발표하는 ‘동반성장 지수 평가’에서 올해까지 10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는 등 협력사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임금 및 복지증진 등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점을 인정받기도 했다.SK이노베이션은 올해 ‘ESG 우수 협력사 인증제도’를 만들어 지난 7월 25개 협력사를 대상으로 우수 협력사 인증, 포상 행사를 여는 등 협력사의 ESG 역량 강화를 적극 독려하고 있다.김양섭 재무부문장은 “SK이노베이션의 ESG 경영 실천 의지에 협력사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다”며 “협력사를 포함한 SK이노베이션의 이해 관계자들에게 책임 있는 기업의 모습을 보여 주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생태계를 추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지난 7월 25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의 \'2022년 ESG 우수협력사 인증\' 행사.[SK이노베이션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SK이노베이션은 협력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역량을 강화하는 노력이 성과를 내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회사 측은 매년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리스크 평가를 시행해 업체별 취약점의 원인을 발굴하고 개선한다. 올해 평가에서는 지난해 심화 컨설팅에 나선 52개 협력사 중 우수 등급 비중이 39%로 20%포인트 늘고, 개선 필요 등급은 10%에서 2%로 줄었다. 기술 시험·검사·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A협력사는 컨설팅 후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갖춰 작년 보통 등급에서 우수 등급으로 향상됐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ESG 우수 협력사 인증제도를 만들어 우수 협력사를 인증하고 포상 행사를 여는 등 협력사의 ESG 역량 강화를 독려하고 있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은 "협력사를 포함한 SK이노베이션의 이해 관계자들에게 책임 있는 기업의 모습을 보여 주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생태계를 추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ice@yna.co.kr신한은행, NIM 개선 및 기업대출 중심 자산 성장비은행 그룹사, 시장 변동성 확대로 전분기 대비 실적 개선 부진지난 9월 기준 신한금융 플랫폼 MAU 1765만명 신한금융그룹은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2.9% 증가한 1조5946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신한금융 관계자는 “3분기 손익은 급격한 금리 상승에 따른 부진한 비이자이익에도 불구 선제적으로 확보한 손실 흡수 능력 및 증권 사옥매각 등 비영업자산 매각을 통한 자본효율화 노력으로 전분기 대비 증가했다”며 “사옥매각을 제외한 경상 순이익은 지난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서울 중구의 신한금융그룹 본사 모습. /조선DB 올 3분기까지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1.2% 증가한 4조3154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캐피탈 등 비은행 부문의 안정적인 실적 및 글로벌 부문 지속 성장이 견인했다는 게 은행 측의 설명이다.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이익(세전 4438억원)을 제외할 경우 누적 당기순이익은 3조9936억원이다.신한금융의 올 3분기 이자이익은 2조716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2.7% 증가했다. 비은행 부문 조달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은행 순이자마진(NIM) 개선과 기업대출 중심 대출자산 성장이 지속됐다.그룹과 은행의 3분기 NIM은 각각 2.00%, 1.68%를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각각 2bp(1bp=0.01%p)와 5bp가 개선됐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자산 수익률 개선으로 은행 NIM은 5bp 개선됐으나, 카드 부문 조달비용 증가 영향으로 그룹 NIM은 은행 NIM 대비 개선 폭이 감소했다.같은 기간 비이자이익은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모두 감소하며 전분기 대비 28.8%(2461억원) 준 6092억원으로 나타났다. 수수료이익은 신용카드, 증권수탁, 투자금융 수수료가 감소하여 전분기 대비 16.1%(1121억원) 감소했다. 유가증권 관련 손익은 전분기 대비 22.9%(694억원) 감소했다.올 3분기 판매관리비는 전분기 대비 1.2%(164억원) 증가해 1조4084억원을 기록했다. 대손비용은 2분기 중 적립했던 추가 충당금 2245억원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분기 대비 30.0%(1076억원) 감소한 2507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누적 기준 그룹과 신한은행의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포인트(p), 4.2%포인트 개선된 40.1%와 38.8%를 기록했다.신한금융의 3분기 영업외이익은 서울 영등포구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 대금이 더해진 4996억원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손익은 전분기 대비 3.8% 감소한 1487억원을 기록했다. 9월말 그룹 BIS 자기자본비율은 15.9%, 보통주자본비율(CET1비율)은 12.7%로 나타났다.신한은행은 지난 20일 기존 은행 애플리케이션 쏠을 전면 개편한 뉴 쏠 운영에 들어갔다. 뉴 쏠에 추가된 기능을 소개하는 앱 내 화면. /신한은행 제공 또 지난 9월 기준 신한금융 플랫폼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전년 말 대비 240만명이 증가한 1765만명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 애플리케이션(앱) SOL 847만명, 신한카드 pLay 756만명, 신한투자증권 알파 118만명 등이다. 비금융 플랫폼 MAU는 전년 말 대비 161만명이 증가한 350만명으로 파악됐다.아울러 신한금융그룹 이사회는 지난 6일 주당 400원의 분기배당을 결의했으며,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결정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이번 1500억원 자사주 소각을 통해 올해 누적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하게 됐다”면서 “대내외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도 우수한 자본적정성과 안정적 수익창출력에 기반해 차별화된 주주환원정책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주요 금융지주가 3분기 누적 기준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 침체, 환율 급등 등 시장 변동성 확대라는 불안 요인보다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이익 확대 효과가 컸다. 금융지주들은 호실적을 바탕으로 배당 등 주주환원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가 25일 발표한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은 13조854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이익(12조2117억원)과 비교해 1조6427억원(13.45%)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 15조230억원에 근접한 수치로, 올해에도 4대 금융지주는 사상 최대 이익을 낼 전망이다. 3분기 누적 기준 리딩금융은 신한금융이다. 신한금융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4조3154억원으로 나타났다. KB금융은 4조279억원이다. 그 뒤는 △하나금융 2조8494억원 △우리금융 2조6617억원 순이다. 금리 상승기 순이자마진(NIM) 상승 효과를 톡톡히 봤다. 4대 금융 모두 전 분기 대비 NIM이 상승했다. 그룹 기준으로 KB·신한·하나금융은 NIM이 각각 0.02%포인트 올랐다. 우리금융은 0.03%포인트 올랐다. 여기에 기업대출 중심으로 전체 대출 잔액이 커지면서 이자이익이 크게 늘었다. 4대 금융 모두 가계대출은 줄었지만 기업대출 증가가 이를 상쇄했다.비이자이익 부문에선 고전을 면치 못했다. 4대 금융 모두 비이자이익이 감소했다. 주식 등 자산시장 조정 국면이 이어지면서 관련 수수료이익이 감소했고, 환율 급등 영향으로 외환 관련 이익이 줄었다. 시장금리 상승으로 유가증권 손익도 감소했다.최근 레고랜드 사태로 금융권 부동산 대출 부실 우려가 커졌지만,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 4대 금융은 밝혔다. 신한금융은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나 브릿지론(Bridge Loan)을 전수조사한 결과, 고정이하여신(NPL)이 200억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부동산 관련 대출 1조8000억원 중 1조원을 우리은행이 갖고 있는데, 부실 채권은 없다고 설명했다.4대 금융은 호실적을 바탕으로 주주환원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했다. 신한금융은 4분기 분기배당을 확대할 계획이고, KB금융은 올해 배당성향을 지난해보다 늘릴 예정이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 역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4분기 실적 전망도 밝다. 금리 상승 기조가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지속될 전망이고, 은행권 조달 이슈도 없어져서다. 최근 은행들은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정상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신금리 인상 경쟁을 벌였고, 그 결과 조달비용이 늘었다. 하지만 정부는 유동성 공급을 위해 LCR 규제 정상화 조치를 6개월 미루기로 했다.정상혁 신한은행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한국은행이 11월에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연말에 자금 조달이 안정되면 지속적으로 NIM이 상승한다고 본다"며 "내년에는 0.1%포인트 정도 NIM이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재관 KB국민은행 CFO는 "금리 상승이 NIM에 반영되는 속도가 더디기 때문에 4분기에 제대로 반영된다"며 "4분기에 NIM이 0.03~0.04%포인트 확대된다고 본다"고 말했다.미국 금리 인상 속도조절 전망에 증시와 함께 상승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암호화폐(가상자산) 시세가 동반 상승했다.26일 오전 8시 글로벌 암호화폐 평균 가격 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 시세는 지난 24시간 동안 3.6% 상승한 2만 달러 대를 기록하고 있다. 비트코인 시세가 2만 달러를 넘긴 건 지난 7일 이후 약 3주만이다.같은 기간 이더리움은 8.3% 가량 상승하면서 1천400 달러 중반대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15일 합의 알고리즘을 전환하는 &apos머지&apos 업데이트 이후 한 달 이상 시세가 1천200~1천300 달러 대를 오가다 한때 1천500 달러 대까지 오르는 등 시세를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그 외 리플은 0.7% 상승한 0.46 달러, 카르다노는 12.3% 상승한 0.4 달러, 솔라나는 9.2% 상승한 31 달러, 폴리곤은 2.3% 상승한 0.9 달러 대를 기록하고 있다.(출처=이미지투데이)업계는 뉴욕 증시의 상승세가 암호화폐 시장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 다우존스 산업 지수는 1.07% 오른 3만1천836.7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63% 오른 3천859.11,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25% 상승한 1만1천199.12를 기록했다.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 속도를 완화할 것이란 전망도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연준 내 매파적 인사까지도 금리 인상에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고, 지난 20일 월스트리트저널도 12월부터는 75bp보다 낮은 수준으로 금리 인상 수준을 조절할 것으로 봤다. 이에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도 0.15%p 하락한 4.09% 수준까지 떨어졌다.블록체인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미국 달러와 비트코인 시세 간 상관계수가 -0.54라고 지적했다. 상관계수는 1과 -1 사이에서 -1에 가까울수록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뜻한다.블록체인 매체 디크립트는 글로벌 투자사 오안다의 선임 마켓 애널리스트인 에드워드 모야를 인용, 경제 지표가 더욱 약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연준이 내주 예정된 11월 회의에서 긴축 속도를 늦출 것으로 투자자들이 예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우드 아크인베스트 CEO, 한 팟캐스트 출연해 발언"2015년 250달러 하던 비트코인 10만달러 어치 매수""초기 투자 후 하나도 안 팔아"…현재 가치 760만달러"아크 펀드론 못 사"…GBTC 통해 비트코인 간접투자[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국내에선 `돈나무 언니`로 널리 알려져 있고, 현재 자산운용사 아크 인베스트먼트를 이끌고 있는 캐시 우드 최고경영자(CEO)가 지금으로부터 7년 쯤 전에 비트코인이 250달러 수준일 때 10만달러 어치를 샀다고 공개했다. 캐시 우드 CEO25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우드 CEO는 최근 피터 맥코맥이 운영하는 팟캐스트 채널인 ‘왓 비트코인 디드(What Bitcoin Did)’에 출연, “2015년 언젠가에 250달러 쯤 하던 비트코인을 10만달러 정도 샀고, 초기 투자 이후에 지금까지 하나로 팔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7년 전에 비트코인에 투자한 10만달러는 현재 760만달러(원화 약 109억2500만원) 수준까지 불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이 채널에서 그는 “사토시 나카모토가 쓴 비트코인 백서를 읽고 비트코인을 구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혁신적이면서도 업종 파괴적인 기업이나 자산에 주로 투자하고 있는 우드 CEO는 “개인적으로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는 가능했지만, 아크 인베스트가 운용하는 펀드는 (증권법 규제로 인해) 오직 증권에만 투자할 수 있는 만큼 비트코인을 사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아크 인베스트가 운용하는 펀드인 ‘아크 넥스트 제너레이션 인터넷 펀드(ARKW)는 주로 기관투자가들이 투자하는 비트코인 간접투자 상품인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GBTC)를 통해 비트코인에 우회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현재 ARKW는 6740만달러 정도의 GBTC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GBTC는 최근 비트코인 가격 하락과 미국 외 지역에서 출시된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인기에 밀려 순자산가치대비 35%나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이에 코인데스크는 ‘GBTC가 현재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트러스트를 비트코인 ETF로 전환하게 해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해놓고 있는데, 이것이 받아들여지면 GBTC 가격도 급등할 수 있을 것으로 우드 CEO는 보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야신 엘만드라 아크 인베스트 애널리스트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 속에 가상자산시장이 흔들리고 있지만 비트코인 가치에 대한 믿음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비트코인이 2030년까지 100만달러를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10월 전산업 업황 BSI 76…전월보다 2p↓부동산 BSI 전월비 10p 내린 67…1년 4개월만에 최저글로벌 경기둔화 우려에 기업 체감경기 1년 8개월 만에 최악[연합뉴스TV 제공](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1년 8개월 만의 최악 수준으로 악화됐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모든 산업의 업황 BSI(실적)는 76으로, 9월(78)보다 2포인트(p) 내렸다. 지난 2021년 2월(76) 이후 1년 8개월 만에 최저치다. 전산업 BSI는 지난 7월 80에서 8월 81로 올랐지만, 9월(78)과 10월(76) 2개월 연속 하락했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등 영향으로 BSI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이달 조사는 지난 11∼18일 3천255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2천786개 기업(제조업 1천657개·비제조업 1천129개)이 설문에 답했다.기업경기실사지수 추이[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의 업황 BSI는 72로, 전월(74)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2020년 9월(68)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세부 업종별로는 전자·영상·통신장비업이 5포인트 내린 74를 기록해 지난 2020년 6월(69) 이후 2년 4개월 만에 최저치까지 내렸다. 반도체 소비 감소로 재고가 늘고 매출이 줄어든 탓이다. 기타 제조업은 내수 부진에 따라 비필수재 수요가 감소하면서 14포인트 내렸다. 화학물질·제품은 화학제품 스프레드 축소·글로벌 수요 감소로 인해, 고무·플라스틱은 건설 등 전방 산업 업황 둔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에 각각 9포인트씩 하락했다. 제조업 규모와 형태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3포인트, 1포인트 내렸다. 수출기업은 6포인트 내렸으며 내수기업은 전월과 같았다.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의 경우 2포인트 떨어진 79를 기록했다. 지난 2021년 9월(79) 이후 1년 1개월 만에 최저치다. 세부 업종별로 부동산업이 10포인트 내린 67을 기록했다. 지난 2021년 6월(66)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김 팀장은 "주택경기 둔화·신규수주 감소,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채산성이 악화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정보통신업도 계절적 비수기·경쟁 심화가 겹치면서 10포인트 내렸다. 11월 전산업 업황에 대한 전망 BSI는 전월(79)보다 3포인트 내린 76을 기록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은 2포인트, 3포인트씩 내리며 각각 73, 78을 나타냈다. 제조업 중에서는 고무·플라스틱(-13포인트)과 기타 제조업(-12포인트)이, 비제조업 중에서는 부동산업(-13포인트)과 숙박업(-11포인트) 등이 크게 하락했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10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2.5포인트 내린 95.5를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 등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7.7로, 1달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했다.[그래픽]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추이(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ssun@yna.co.kr고인플레·금리인상에 경기둔화 우려경제심리지수도 전월보다 2.5p 하락 경북 포항 형산강에서 바라본 포스코의 포항 제철소. [연합뉴스] 국내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9월에 이어 10월에도 하락했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가 높아진 탓이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체 산업에 대한 B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하락한 76을 기록했다. BSI란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긍정적이라고 답한 업체보다 많으면 100을 밑돈다. 앞서 전산업 업황 BSI는 지난 8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소비심리가 살아나면서 전월보다 1포인트 오른 81을 기록했다. 9월에는 경기둔화 우려에 전월 대비 3포인트 하락한 78을 기록했고, 하락세는 10월까지 이어졌다. 제조업 업황B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하락한 72를 기록했다. 특히 내수 부진에 따른 귀금속·장신구·게임기 등 비필수재 등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기타 제조업이 14포인트 하락했다. 화학물질·제품은 화학제품 스프레드 축소 및 글로벌 수요 감로 9포인트 내렸다. 건설 등 전방산업 업황 둔화 및 원자재 가격 상승 탓에 고무·플라스틱도 9포인트 하락했다. 전자·영상·통신장비도 반도체 소비 감소로 5포인트 하락했다. 기업 규모별·형태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이 3포인트, 중소기업이 1포인트, 수출기업이 6포인트 하락했으며, 내수기업은 전월과 같았다. 9월 비제조업 업황BSI는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한 79를 기록했다. 계절적 비수기 요인 및 경쟁 심화로 매출액 감소한 정보통신업은 10포인트 하락했다. 부동산업 또한 주택경기 둔화 및 신규수주 감소 등으로 10포인트 내렸다. 기업들의 경기 전망 또한 암울했다. 11월 업황전망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한 76을 기록했다. 제조업 업황전망BSI는 2포인트 내린 73을 기록했다. 특히 ▶고무·플라스틱(-13포인트) ▶기타 제조업(-12포인트) ▶화학물질·제품(-10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악화됐다. 비제조업 업황전망BSI는 부동산업(-13포인트)과 숙박업(-11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한 78을 기록했다. 10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에 비해 2.5포인트 하락한 95.5을 기록했다. 경제심리지수가 100을 상회하면 기업과 가계 등 모든 민간 경제주체의 경제 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나아진 것이라는 의미다.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지난해 920억원에 매입한 서초동 빌딩비 측, 빌딩 매매가 1400억원 원해[이데일리 권혜미 기자] 가수 비(본명 정지훈·40)가 지난해 매입한 서울 서초동 빌딩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25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삼영빌딩은 조만간 매각주관사를 선정하고 매각에 착수할 계획이다.해당 건물은 비가 지난해 총 920억원에 매입한 것으로 지분은 비가 10분의 6을, 나머지는 배우자 김태희가 대표로 있는 유한회사가 갖고 있다.가수 비와 배우 김태희.(사진=이데일리DB)이 빌딩은 강남역과 도보 2분 거리인 초역세권이며, 지하 2층에 지상 8층 규모로 대지면적은 147평(486m²), 연면적은 881평(2,904m²)이다.피부과, 치과, 한의원, 카페 등이 입주해 있고 월 임대료는 2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비 측은 매매가로 1400억원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거래가 이뤄진다면 비는 1년 만에 매입가 대비 500억원에 가까운 차익을 남기게 된다.한편 비, 김태희 부부는 연예계에서 부동산 투자로 수백억원의 차익을 얻은 것으로 유명하다.비는 2008년 소속사 사옥으로 알려진 청담동 건물을 168억원에 매입해 지난해 6월 말 459억원에 팔아 약 300억원의 차익을 봤다.김태희는 지난 2014년 강남역에서 도보 2~3분 거리에 위치한 한 건물을 132억원에 매입했고, 이를 올해 203억원에 매각해 7년 만에 71억 원의 시세 차익을 남겼다. 또 두 사람은 2016년 53억원에 산 이태원동 주택을 지난 5월 85억원에 매각해 6년 만에 32억원에 이르는 차익을 얻었다.가수 비(왼쪽)와 배우 김태희 부부. 뉴시스가수 겸 배우 비(본명 정지훈·40)가 지난해 매입한 서울 서초동 소재의 빌딩을 1년 만에 매물로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비 소유의 서초동 삼영빌딩이 최근 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며, 조만간 매각주관사를 선정하고 매각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25일 머니투데이가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해당 빌딩은 강남역과 도보 2분 거리의 ‘초역세권’에 있다. 지하 2층, 지상 8층 규모로 대지면적 486m²(147평), 연면적 2904m²(881평)이다. 피부과, 치과, 한의원, 카페 등이 입주해 있다.비는 지난해 이 빌딩을 총 920억원에 매입했다. 지분은 비가 10분의 6을, 나머지는 부인 김태희가 대표로 있는 유한회사가 갖고 있다고 한다. 비 측은 매매가로 1400억원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가 이뤄질 경우 비는 1년 만에 매입가 대비 500억원에 가까운 차익을 남기게 되는 셈이다.비·김태희 부부는 그동안 부동산 투자로 수백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뒀다. 김태희는 132억원에 매입한 서울 역삼동 빌딩을 지난해 3월 203억원에 매각해 70억원의 차익을 남겼고, 비도 2008년 168억원에 매입해 소속사 사옥으로 사용하던 청담동 건물을 지난해 6월 말 459억원에 팔았다.부회장 직함 10년째...회장 승진 임박했다는 관측 나와 이건희 삼성 회장의 2주기 추모식이 오늘 유족과 삼성 전·현직 사장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경기도 수원 선영에서 열린 추모식에는 유족인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겸 삼성글로벌리서치고문 등이 참석했습니다. 고인과 가까웠던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도 장남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을 비롯한 세 아들과 함께 추모식에 참석해 고인을 추모했습니다. 삼성 측은 오전 6시에 사내 온라인 추모관을 만들어 임직원이 추모글을 남길 수 있게 했습니다. 고 이건희 회장 2주기 참석한 이재용 부회장 ◇ 이재용 부회장, 회장 승진할까 재계에서는 2주기를 맞아 이 부회장이 곧 내놓을 \'뉴삼성\' 메시지와 회장 취임 시기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이 부회장의 회장 승진이 임박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8월 15일에 복권이 된 데다 부회장 직함을 10년째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요 그룹 총수는 대부분 회장직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만 54세인 이 부회장보다 나이가 적은 현대차그룹(정의선 회장), LG그룹(구광모 회장)도 몇 년 새 총수들이 회장으로 승진했습니다. 이 부회장의 승진 시기는 빠르면 27일 삼성전자 이사회에서 결정될 수도 있단 분석이 나옵니다. 그런 다음 삼성전자 창립 기념일인 다음 달 1일이나 고 이건희 회장이 회장으로 승진했던 12월 1일에 공식으로 회장직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일각에선 생각보다 늦어질 수 있단 관측도 있습니다. 이미 지분 승계가 이뤄졌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이 부회장을 총수(동일인)로 지정했기 때문에 서두르지 않을 수 있단 겁니다. 한종희 부회장 등 전·현직 경영진 300여명 참석이재용 부회장, 사장단 60여명과 삼성인력개발원 이동회사 차원 별도 공식 행사 없어…온라인 추모관 운영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고(故) 이건희 회장 유족을 태운 차량들이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에 위치한 선영에 들어서고 있다. [이건엄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고(故) 이건희 회장의 2주기 추도식에 참석했다. 올해 추도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등으로 제한적으로 이뤄졌던 지난해와 달리 전·현직 경영진을 포함해 300여명이 방문하며 눈길을 끌었다. 다만 기대를 모았던 이재용 부회장의 회장 승진을 비롯한 ‘뉴삼성’에 대한 언급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건희 회장의 추도식은 25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에 위치한 선영에서 열렸다. 이재용 부회장은 이날 추도식에서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당초 재계에서는 이날 추도식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복권과 삼성의 조직 개편 임박 등을 이유로 ‘뉴 삼성’에 대한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이날 오전 10시 47분경 검은 색상의 제네시스 G90 차량을 타고 선영에 들어섰다. 뒤이어 모친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유족들도 도착했다. 김재열 국제빙상경기연맹 회장도 함께 자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날 추도식에는 과거 이건희 회장과 막역한 사이로 지냈던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참석하면서 관심을 모았다. 김 회장은 지난 2020년 이건희 회장을 조문한 자리에서 “(오늘은) 가장 슬픈 날”이라며 “친형님 같이 모셨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이건희 회장을 평소 형님이라 부를 정도로 가깝게 지냈던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사장단 참석이 제한됐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에는 전·현직 삼성 경영진들의 방문도 이어졌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 고정석 삼성물산 사장 등 전·현직 사장단 및 부사장 등 경영진 총 300여명이 선영을 찾아 고인을 기렸다. 앞서 1주기인 지난해에는 이건희 회장 유족과 일부 사장단만 참석해 조촐한 추도식을 보냈다. 이재용 부회장을 포함한 유족들은 40분 가량 선영에 머물다 오전 11시 28분쯤 빠져나갔다. 이재용 부회장과 현직 사장단 60여명은 추모식을 마친 뒤 용인시 소재 삼성인력개발원으로 이동해 이건희 회장 2주기 추모 영상을 시청하고 오찬을 함께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인력개발원에는 이건희 회장의 흉상이 설치돼 있다. 삼성은 생전에 \'인재제일\' 철학을 바탕으로 \'창의적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을 써 온 이건희 회장을 추모하기 위해 삼성인력개발원 창조관에 흉상을 설치한 바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연합뉴스] ━ 이재용 회장 취임 두고 다양한 관측 이건희 회장의 2주기 추모식이 별다른 메시지 없이 조용히 지나가면서 이재용 부회장의 취임 시기와 여부를 두고 다양한 예상이 나온다. 오는 27일 삼성전자 3분기 실적 발표에 앞서 열리는 이사회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회장 선임 안건이 다뤄질 것이란 분석이다. 다음달 1일 삼성전자 창립기념일에 맞춰 이재용 부회장이 회장에 취임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다만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이 좋지 않은 점과 대외 불확실성 확대 등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회장 취임을 서두르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책임경영 차원에서 내년 주주총회를 거쳐 등기 임원에 오르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 혐의 재판에 매주 참석하는 등 경영에 온전히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의 조직 개편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재용 부회장의 회장 취임에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현재로선 창립기념일과 연말 조직 개편 이후인 내년 초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건희 회장은 지난 2020년 10월 25일 78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지난 2014년 5월 용산구 이태원동 자택에서 급성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입원 치료를 받은 지 6년 5개월 만이다. 삼성은 1주기 때와 마찬가지로 회사 차원의 공식 추모 행사는 열지 않았다. 대신 임직원이 고인을 기릴 수 있도록 계열사별로 온라인 추모관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태운 차량이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에 위치한 선영을 빠져나가고 있다. [이건엄 기자] 미국 웨스팅하우스는 40조 원 규모의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을 두고 우리와 경쟁하고 있는 원전 기업입니다.웨스팅하우스는 지난 21일 한국형 차세대 원전 설계에 자사 기술이 포함돼 있다며 한수원과 한전을 상대로 지식재산권 소송을 냈습니다.한수원이 원전을 외국에 수출하려면 미국 에너지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입니다.폴란드 원전 수주 경쟁에서 한수원에 밀리지 않기 위해 갑자기 소송을 낸 거란 분석이 많습니다.폴란드 정부가 공고한 원전 6기 수주 경쟁에선 웨스팅하우스가 한발 앞선 국면이고, 민간이 추진하는 원전 2기 사업에선 한수원이 유력한 걸로 알려졌습니다.웨스팅하우스는 지난 2009년 한수원이 아랍에미리트에 원전을 수출할 때도 지식재산권을 문제 삼았고, 당시 한수원은 기술자문료 등을 지급했습니다.업계에선 과거와 달리 한국형 차세대 원전에는 한수원의 독자 기술이 많이 들어가 소송이 불리하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정범진 ㅣ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시장이 우리나라한테 넘어가는 걸 견제하고 잠재적인 고객들한테 우리나라 기술을 폄하하려는 의도가 있지 않느냐…]한수원은 "원전 수출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의 대응책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윤석열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한다는 목표를 세웠고 한미 정상들은 지난 5월 원전 수출 협력을 약속했습니다.미국 정부의 입장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소송이 길어지면 한수원이 웨스팅하우스와 경쟁하는 체코 원전 수주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SBS 제희원입니다.(취재 : 제희원 / 영상취재 : 김학모 / 영상편집 : 이승희 / CG : 김홍식 / 제작 : D뉴스플랫폼부) [앵커] 미국의 원자력발전기업 웨스팅하우스가 우리나라의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전력을 대상으로 수출통제 소송을 냈습니다.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는 한국기업이 다른 나라에 원전 수출을 못하게 해달라는 내용입니다. 당장 폴란드 원전 사업 수주에 차질이 우려됩니다. 워싱턴 김양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국 원자력 기업 웨스팅하우스가 워싱턴 디시 연방지방법원에 한수원과 한전 두 곳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한수원이 폴란드 원전 건설 프로젝트에 입찰한 차세대 가압 경수로 APR 1400이 웨스팅하우스의 기술로 만들어진 만큼 자사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했다는 겁니다. 이어 APR 1400에 포함된 기술은 외국으로의 원전 기술 무단 이전을 금지한 연방법에 해당되는 기술이라며,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는 한국 기업이 외국에 원전 수출을 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2043년까지 6기를 건설하기로 돼 있는 폴란드 원전 사업 수주를 놓고 한미가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웨스팅 하우스가 한수원에 법적 제동을 건 겁니다. 폴란드 뿐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와 체코 등 원전 사업을 발주한 다른 국가들도 거론해 한수원의 독자적 원전 수출을 견제했습니다. 한수원은 이에 대해 2009년 아랍에미리트에 원전 4기를 수출할 당시 웨스팅 하우스의 기술을 사용했고, 이에 상응하는 기술료를 지불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신고리와 한울 원전 건설 과정에서 기술의 국산화를 이뤄 한국형 원전 APR 1400을 만들었다는 설명입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미 대통령은 지난 5월 한미정상회담에서 제 3국에의 원전 수출 등 원자력 동맹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그런 만큼 이번 웨스팅 하우스의 갑작스런 소송 제기에 우리 정부도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양의정/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권나영 김미희 대표 "아이들이 자립했다는 것만으로도 희망을 봤다"두리하나다울은 중증 발달장애인을 고용해 경제적, 사회적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사진은 김미희 두리하나다울 대표. /사진=장동규 기자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사회적기업 \'두리하나다울\'은 장애인도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굽는다. 두리하나다울을 운영하는 김미희 대표(사진·54세)는 중도 자폐성 장애로 보호작업장에서 적응하기 어려운 발달장애인들과 함께 카페와 베이커리를 운영하고 있다. 10년이라는 세월 동안 가게를 경영하며 중증 자폐인도 일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두리하나다울\'만의 독특한 운영 방식━두리하나다울은 특별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두리하나다울에 입사하면 제과제빵 생산, 내포장, 외포장, 임가공, 카페 근무 등 여러 가지 직무를 경험하면서 적성에 맞는 직무를 찾게 된다. 카페에서 손님을 상대하는 게 적성에 맞지 않는다면 생산실, 포장실에서 근무해보는 식이다. 맞는 직무를 찾는 데 2년 정도 걸린다.적합한 직무가 없다면 만들기도 한다. 김 대표는 "처음에 오면 여러 직무를 시켜본 뒤 그래도 맞는 일이 없으면 그 직원에게 맞는 직무를 개발한다"며 "쿠키 포장지에 성분 표시를 인쇄할 수도 있지만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일부러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작업하고 있다"고 했다.특이한 점은 오전에는 일을 하지 않고 치료를 받는다는 것이다. 출근 시간은 9시이지만 오전에는 각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오후부터 근무를 시작한다. 월요일 오전엔 음악치료, 수요일엔 공예치료, 금요일엔 체육 행사를 한다. 화요일과 목요일엔 생두 선별법, 로스팅하는 법, 커피 드립법 등을 가르친다.오전부터 근무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이유는 업무 능률 때문이다. 김 대표는 "직원 다수가 중증 자폐이고 자폐 특성상 뛰는 행동 등이 많아 프로그램을 통해 충분히 활동할 수 있게 해줬다"며 "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해주니 활동 당일에 업무 능률도 훨씬 높았다"고 했다.━"다 함께 사는 우리"… 두리하나다울의 탄생━두리하나다울의 직원들이 쿠키를 제작하고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두리하나다울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살고자 하는 장애인 학부모들의 모임에서 시작됐다. 특수학급에서 만난 학부모들의 바람은 성인이 된 자녀들이 자립해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는 것이었다.문제는 대부분의 중증 발달장애인이 일터가 아닌 주간보호센터, 장애인 학습센터 등으로 가게 된다는 점이다. 김 대표는 "우리 아이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 직업평가에서 주간보호센터에 가야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며 "일할 수 있는 곳과 환경을 만들어준다면 우리 아이도 근무할 수 있다고 생각해 한번 해보자는 뜻으로 시작했다"고 회상했다.제빵을 선택한 이유는 특정 동작을 정확하게 따라 하는 자폐성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사업을 시작하기 전까지 김 대표는 각종 자격증을 취득하며 4년가량을 준비했다.전문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제품 개발에 어려움도 있었다. 쿠키를 먹어본 사람들의 피드백에 따라 설탕량을 줄이거나 색도 바꾸면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고군분투했다.사업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을 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됐다. 두리하나다울은 주문제작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코로나19로 각종 행사가 취소되면서 주문이 급감했다. 운영비를 감당하기 위해 김 대표는 카페로 운영하던 주택을 처분하며 대출을 상환하기도 했다. 그는 "개봉동으로 이전해 오면서 집을 팔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감당이 안됐다"며 "우리 아이들이 자립했다는 것만으로도 희망을 봤다"고 미소 지었다.━\'편견\'은 접고 \'도움\'은 펼치고━김 대표는 발달장애인들도 도움을 통해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앞으로의 목표는 지금 적응한 업무 체계를 유지하면서 직원들이 나이가 들어서도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는 "친구들도 업무에 적응하면 당연히 일터로 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자리를 찾아간다"며 "혼자 살아갈 때도 그게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할 수 없다는 판정을 받은 우리 아이가 만 10년을 이곳에서 근무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다"고 했다.김 대표는 사회가 편견 없이 있는 그대로 장애인을 바라봐주기를 바란다. 이런 이유로 카페에는 두리하나다울을 소개하는 안내문이 없다. 김 대표는 "지금 가게에 사람이 많지만 여기가 이런 곳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며 "손님에게 저 직원이 장애인이라고 말하면 \'장애인이었어요?\'라고 되묻는 경우가 있는데 그게 진짜 장애인 인식개선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김 대표의 뜻을 공감해주는 사람도 늘고 있다. 두리하나다울이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넘어서는 데 일조하고 있다는 게 그의 자부심이다. 김 대표는 "장애인도 도움을 받으면 충분히 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고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고 싶다"며 "발달장애인들을 조금 이해력이 부족하고 성격이 다른 친구라는 걸 받아 들여주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힘줘 말했다.사회·국가차원 동물복지 시스템 필요오보현 인천시수의사회 수의료봉사단 야나 단장 . / 사진=이한듬 기자 반려동물 양육 인구 1500만명 시대. 동물이 단순한 \'애완\'이 아닌 인생을 함께하는 \'반려\'의 존재가 되면서 관련 산업과 문화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동물권 강화에 대한 인식개선은 여전히 더디다. 사각지대에는 여전히 동물을 유기하거나 학대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고 동물복지를 위한 사회·국가차원의 시스템 또한 미비한 상황이다. 인천시수의사회 수의료봉사단 야나(YANA, You Are Not Alone)를 이끌고 있는 오보현 단장(51)은 이처럼 사각지대에서 고통 받는 동물들을 위해 수년째 수의료봉사에 힘을 쏟고 있다. ━동물과 함께 자란 섬 소년, 수의사의 길로━오 단장은 26년째 동물의료 현장을 지키고 있는 베테랑 수의사다. 오 단장에게 \'수의사\'라는 직업은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 그는 "고향 제부도는 저의 어린 시절에는 시골 벽지의 섬이었다"며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이 나고 자란 환경이 중요한데 토끼, 오리, 소 등 집에서 키우는 동물이 많다 보니 친구들보다는 동물들과 교감을 많이 했다"고 회상했다.어린 시절 고향에서 볼 수 있었던 최고의 지식인도 수의사였다고 한다. 가축이 아프면 수의사가 치료를 위해 섬에 오고 동물들을 살리는 모습을 보면서 수의사를 롤 모델로 삼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무엇을 좋아하고 잘할 수 있을까에 대한 해답은 모두 동물에 있었다"며 "고민 없이 수의대에 진학했고 1996년 수의사 면허를 취득했다"고 전했다.이후 오 단장은 수의과학검역원과 유명 사료회사 본부장을 거쳐 2005년부터 인천과 경기 시흥 지역에 동물병원 두 곳을 운영하고 있다. 인천시수의사회 부회장, 인천시 동물복지위원회 위원 등 중책도 맡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오 단장이 본격적으로 수의료봉사에 발을 들인 것은 부채의식 때문이다. 동물을 돌보며 생계를 꾸리는 수의사로서 수의료 사각지대에서 고통받는 동물들을 보며 죄책감을 갖게 된 것. 그 무렵 개인적인 일로 아픔까지 겪으며 방황했는데 수의대에서 동문수학한 친구가 "수의료봉사로 삶을 환기하라"고 제안을 했다. 이를 계기로 오 단장은 수의료봉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게 됐다.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는 "처음엔 솔직히 주말에 나가기 싫었고 왜 오지까지 가야 하나 고민했었다"며 "하지만 수의료봉사가 진행 될수록 가슴 안에서 차오르는 무언가가 있었고 결국 봉사에 중독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물들에게 봉사하면서 \'나는 의미 있는 존재고 살아가야 할 이유가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며 "제가 동물들을 살리는 동시에 동물들도 제 삶을 구원했다"고 말했다.오 단장은 2020년 인천수의사회 회원들로 구성된 수의료봉사단체 \'야나\' 설립을 주도했다. 3년째 단장을 맡아 유기동물 등을 대상으로 응급치료, 예방접종, 중성화 수술 등 다양한 수의료봉사를 진행하고 있다. 고양이 예방접종을 하고 있는 오보현 야나 단장. / 사진=뉴스1 최서윤 기자 ━수의료봉사 목표는 사람과 동물의 공존━야나의 활동은 비정기적이다. 수의사회에 사연이 접수되면 응급성과 진실성을 우선적으로 살펴 봉사활동 대상 지역을 정한다. 오 단장은 "봉사는 순수한 의도를 중요시하지 않으면 탈이 나기 때문에 금전 등의 목적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게 원칙"이라며 "수의료를 악용하지 못하도록 철저한 사전답사와 대상자 인터뷰 등을 거쳐 봉사지역을 선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가장 보람됐던 순간으로 오 단장은 2020년 인천 옹진군 모도리에서 진행한 유기묘 중성화 수술을 꼽았다. 당시 모도리의 한 카페 사장이 유기묘를 하나둘 돌보기 시작했는데 개체 수가 100마리 이상으로 급격하게 늘었다. 섬 주민들과 극한의 갈등이 빚어졌고 결국 야나에 도움을 요청하는 연락이 오게 됐다. 오 단장을 비롯한 야나 회원들은 총 세 차례에 걸쳐 모도리를 방문해 급격하게 번식한 고양이들을 포획, 전 두수에 대한 중성화 수술을 마쳤다. 이후 모도리는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청정섬이 됐다. 오 단장은 동물에 대한 인식개선과 국가 차원의 시스템 개선이 갖춰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국가는 선진국이 됐다고 하는데 건물을 으리으리하게 짓고 잘 사는 게 선진국이 아니라 나약한 존재에 따뜻한 손길을 내밀 수 있는 게 선진국"이라며 "국격에 비해 뒤처진 동물권에 대한 인식, 동물에 대한 오해의 시선을 거둬야 한다"고 지적했다.동물복지 시스템에 대한 국가·지자체 조직이나 행정체계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점도 꼬집었다. 동물복지 예산 확보와 정책 수립,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선 전담 부서나 행정기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동물복지를 언제까지 구호단체나 수의료봉사단체의 선의에만 맡길 것인가"라며 "동물복지 전담 기관을 만들고, 이를 책임질 장을 선임하는 등 확실한 행정체계와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오 단장의 꿈은 수의료봉사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오는 것이다. 그는 "사회적으로 동물복지 시스템이 잘 갖춰져 수의료봉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며 "사람과 동물이 모두 품격 높게 공존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프로필▲강원대 수의과대학 졸업 ▲수의과학검역원 병리진단과 파견근무 ▲대한제당㈜ 사료사업부 본부장 ▲삼산종합동물병원·호수동물병원 원장 ▲현 시흥시수의사회 회원 ▲현 인천시 수의사회 부회장 ▲현 인천시 동물복지위원회 위원 ▲현 인천시수의사회 의료봉사단 야나 단장 파라아이스하키 국가대표, "강팀에 져도 포기는 없다… 좌절 이겨낸 긍정의 힘"파라아이스하키 국가대표인 정승환 선수는 "강팀에 져도 포기는 없다"며 늘 스스로를 채찍질 한다. /사진=세븐헌드레드 쉼 없이 이어지는 몸싸움과 거친 숨소리, 지칠 줄 모르는 체력으로 빙판 위를 휘젓는 열정의 스포츠 아이스하키를 썰매 위에서 타는 이가 있다. 대중들에게는 생소하지만 그는 대한민국 \'파라아이스하키\' 국가대표 간판 정승환 선수다. 평범한 삶을 살던 그가 썰매를 타고 빙판을 누비는 파라아이스하키 국가대표가 되기까지는 수많은 시련이 있었지만 그는 좌절보다 끊임없는 도전을 택했다. 그의 도전 뒤에는 스스로를 믿는 긍정의 힘과 사랑하는 가족이 자리한다.━취미 활동에서 국가대표가 되기까지━정 선수는 2004년 아이스슬레지하키(2017년 파라아이스하키로 명칭 변경)에 처음 발을 들여 이듬해 국가대표로 발탁돼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2006년에는 국내 첫 실업팀 강원도청 창단 멤버로 시작해 현재까지 몸담고 있으며 그동안 4회 연속 동계패럴림픽(벤쿠버·소치·평창·베이징)에도 출전한 파라아이스하키 간판 국가대표다.그는 대학교 때 시작했던 취미 생활이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말했다."대학 시절 이종경·장종호 선수의 권유로 주말 운동으로 시작했는데 그때만 해도 운동할 장소가 여의치 않아 아이스링크를 찾느라 애를 먹었죠."초기에는 클럽팀이 2곳뿐이었지만 현재는 실업팀 1개, 클럽팀은 8개로 늘었다. 평창 동계패럴림픽을 계기로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도 만들어져 마음 놓고 운동할 수 있게 됐다.파라아이스하키 국가대표인 정승환 선수는 \'긍정의 힘\'으로 좌절을 이겨냈다. /사진=세븐헌드레드 그는 "대한장애인체육회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아쉬움 없이 훈련에 임하고 있지만 아직 실업팀이 1곳뿐"이라며 "전력강화 및 젊은 선수가 보강된 세대교체를 위해 추가 실업팀 창단이 절실하다"고 아쉬워했다.파라아이스하키 저변 확대에 대한 아쉬움이 큰 만큼 그는 운동에만 집중한 연습벌레다. 선수로서 잘 해내고 싶은 마음이 앞서다 보니 각종 부상을 입고 제때 치료하지 못해 고생도 많았다. 그는 그럴 때마다 "더 잘할 수 있다"는 주문을 외운다.정 선수는 "운동에 대한 부담이 없다면 거짓말이지만 그 부담감을 최소화해 실전에 강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멘탈 트레이닝을 한다"며 "강팀에 패해도 좌절보다 \'다음에는 더 잘 하자\'라는 긍정 마인드로 후배들에게도 지치지 말자고 독려한다"고 웃음 지었다.━나에게 찾아온 시련, 나에게 힘이 되는 가족━파라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그는 어릴 적 큰 시련을 겪었다. 평범한 삶을 살 줄 알았던 동네 6살 개구쟁이가 견디기 힘든 사고를 당해 충격이 컸다.정 선수는 "어릴 적 사고로 장애인이 된 후 \'왜 나에게 이런 일이 생겼지?\' 라는 부정적인 생각들에 사로잡혀 긴 시간 우울한 삶을 살았다"며 "그런 저에게 파라아이스하키는 \'나도 해낼 수 있다\'는 긍정의 힘을 심어줬고 누구보다 있는 그대로의 삶을 즐기는 행복한 인간으로 거듭나게 했다"고 회상했다.그가 2005년 국가대표로 첫 발탁됐을 때만 해도 열정과 달리 세계 무대의 높은 격차만 실감했다. 2006년 토리노 동계패럴림픽 예선전에서는 3전 전패를 당하는 수모를 참아야 했다.파라아이스하키 국가대표인 정승환 선수는 "부끄럽지 않게! 당당하게! 단단하게!" 라는 다짐을 항상 되새기며 운동에 임한다. /사진=세븐헌드레드 대한민국 파라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국제경기 첫 골을 자신이 기록했다는 뿌듯함도 동시에 맛봤다. 그때의 짜릿함은 그에게 현재까지도 즐거운 자극제다.정 선수는 시련을 딛고 자신을 우뚝 서게 해준 파라아이스하키를 시작한 것에 대해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고 늘 감사한 마음뿐이라고 말한다.그는 "항상 최선을 다하겠다는 마음가짐에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겠다는 다짐을 품고 운동에 임한다"며 "국가대표로서 부끄럽지 않게! 당당하게! 단단하게! 라는 다짐을 항상 되새긴다"고 강조했다.운동에 열중하는 그에게 가족은 고맙고 미안한 존재다. 집에서 먼 강원도에 있다 보니 가족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2014 소치 동계패럴림픽을 준비하던 2013년에는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선수 생활에 집중하느라 자주 찾아뵙지 못했던 그는 무거운 마음에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다.2018년 평창 동계패럴림픽 이후 결혼한 그에겐 그해 태어난 5살짜리 아이가 있다. 그는 아이와 아내를 생각하며 "평범했던 꼬마가 시련을 딛고 국가대표로 성장했고 이제는 한 가정의 가장이 됐다"며 "좋아하는 운동,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내 몸이 허락하는 한 열심히 땀 흘리고 싶다"고 다짐한다. 그리고 "나는 집에서도 빙판에서도 영원한 국가대표 정승환입니다"라고 외친다.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 본부장┃\'원팀\' 무장한 ETF사업본부… 하반기도 순항 전망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 본부장/사진=한화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이 올해 ETF(상장지수펀드) 시장에서 달라진 위상을 자랑하고 있다. 지난해 ETF 조직을 사업본부로 승격한 뒤 신규 상장하는 ETF마다 \'국내 최초\'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10개의 ETF를 쏟아내면서 국내 자산운용사 가운데 상반기 최다 신규 상장 기록을 차지하기도 했다.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 본부장이 ETF사업본부(운용·상품·컨설팅팀) 수장을 맡은 지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이뤄낸 성과다. 삼성 공채(삼성화재해상보험) 출신으로 미래에셋증권, 한화자산운용 퀀트운용팀, 한화자산운용 ETF 전략팀 팀장을 거친 김 본부장은 ETF운용팀이 사업본부로 확대 개편되면서 지난해 9월부터 ETF사업본부를 이끌고 있다.━"똘똘 뭉쳤다"… 운용·상품·컨설팅팀 협업━한화자산운용의 ETF사업본부 내 하위 조직은 운용팀, 상품팀, 컨설팅팀 등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운용팀에서는 안정적인 상품 운용과 지수 개발 등 전문적인 영역을, 컨설팅팀과 상품팀은 각각 영업·마케팅 활동, 상품 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한 조직 내에서 운용, 상품, 마케팅 세 부문이 협업을 이루고 서로 유기적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점이 한화자산운용만의 가장 큰 장점이다.김 본부장은 "매일 아침 세 팀이 모두 모여 어떤 ETF 상품을 시장에 선보일지에 대해 회의를 진행한다"며 "회의를 통해 각각의 상품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상품을 실제로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하는지 또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을 함께 논의한다"고 설명했다. ETF사업본부의 첫 결과물은 올해 1월 선보인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 ETF다. 그 뒤로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 ▲iSelct우주항공&UAM ▲미국대체투자 Top10MV ▲Fn K리츠 ▲미국S&P500(UH) ▲TDF 액티브 ETF 4종 ▲K-유니콘 투자기업액티브 등 다양한 테마의 ETF를 선보였다.김 본부장은 올해 가장 기억에 남는 상품으로 iSelct우주항공&UAM ETF를 꼽았다. 한화 그룹 차원에서 우주항공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는 것은 물론 향후 우리의 생활을 큰 폭으로 바꿀 수 있어 혁신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라는 이유에서다. UAM이란 Urban Air Mobility의 약자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뜻한다. 드론 택시, 로봇 택시, 플라잉카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으며 하늘을 떠다니는 모든 운송 수단들을 의미한다. 김 본부장은 "UAM은 단순히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 하지만 이동이 편해지는 등 우리의 생활을 큰 폭으로 바꿀 수 있는 분야라는 점에서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며 "UAM에 사용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희토류가 필수적이고 수소 연료전지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이는 연초 선보인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 ETF\'와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 ETF\'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말했다.━하반기에도 \'선제적 상품\' 쏟아낸다━\'ETF 전문가\'로 불리는 김 본부장은 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는 ETF에 대해 가장 혁신적인 금융투자상품이라고 평가했다. ETF만큼 투자 수익률, 다양성, 편리함 3박자를 골고루 갖추고 있는 투자 상품은 드물다는 설명이다.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ETF 시장도 꾸준히 성장 중이다. ETF 시장은 지난 2002년 국내시장에 첫발을 뗀 뒤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순자산 총액 74조원대를 기록했다. 순자산 총액은 2018년 41조원대에서 2019년 51조원, 2020년 52조원 2021년 73조원대로 꾸준히 커지고 있다.그는 "자본시장법 개정, 액티브 ETF 도입 등 ETF 시장에 다양한 변곡점들이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코로나19 발생이 개인 투자자들의 문턱을 낮추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며 "코로나 이후로 퇴직연금 투자자들 사이에서 DC(확정기여)형이나 IRP(개인형퇴직연금) 계좌나 연금 저축 계좌에서 ETF를 꾸준히 매수하는 투자 수요가 늘어나면서 ETF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인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대안으로 자리를 잡게 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철저히 고객 중심적인 사고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한화자산운용만의 강점으로 꼽았다. 자산운용사 시점이 아닌 고객 입장에서 선제적이고 차별화된 상품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게 김 본부장의 철칙이다. \'선제적 고객가치 확대\'에 방점을 두고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최초\' 상품을 연이어 선보이게 됐다.김 본부장은 "좋은 상품이란 회사에게 이익이 되는 것보다는 투자자들 입장에서 원하는 투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기존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던 분야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AUM(운용자산)을 얼마까지 늘리겠다 등의 목표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며 ETF 비즈니스를 꾸준히 해 좋은 상품을 계속해서 시장에 공급하겠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김 본부장은 하반기에도 국내 \'최초\' 테마형 ETF를 공격적으로 선보이며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다. 이달 4차 산업을 선도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 산업에 투자하는 글로벌인공지능산업MV 등을 포함해 올해 5개의 ETF를 추가로 시장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그는 "2011년 한화투자신탁운용과 푸르덴셜자산운용이 합병하기 전에 한글로만 쓰던 아리랑을 영어로 바꾸고 BI(브랜드아이덴티티) 제작에도 직접 참여했었다"며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우리 ETF 상품을 알리는 것을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ETF로 키워보자는 뜻을 담았는데 앞으로도 아리랑이란 이름에 걸맞은 비즈니스를 이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사진=기아26일 증권가가 기대치를 밑돈 실적을 기록한 기아를 두고 목표주가를 내렸다.앞서 전일 기아는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5% 증가한 23조2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42.1% 줄어든 7682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장 추정치(컨센서스)를 소폭 밑돈 수준이다. 원재료 부담과 인센티브 감소에 따른 증익 효과가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이날 증권가 애널리스트들은 일제히 목표주가를 기존보다 하향했다. 신영증권은 12만원에서 11만원으로, 신한투자증권은 11만5000원에서 9만5000원으로, 키움증권은 10만원에서 9만원으로 내렸다.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고질적인 일회성 비용 발생과 북미 자동차 금융 사업의 업황 둔화를 감안해 목표 주가수익비율(PER)을 하단으로 조정했다"면서 "연말에는 미국 IRA 대응을 위한 해외투자 계획이나 전동화 관련한 로드맵이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방향성 확인 시 주가 상승의 트리거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했다.문용권 신영증권 연구원은 "품질 비용을 반영해 올해 이익 추정치를 22% 내린다"며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의 신차 수요 불확실성도 존재한다"고 했다.목표주가 11만5000원→9만5000원신한투자증권은 26일 기아에 관해 4분기에도 10%대의 수익성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일회성 비용 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기존 11만5천원에서 9만5천원으로 내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신한투자증권은 기아의 4분기 매출액을 전년 동기 대비 38.7% 증가한 23조8천억원, 영업이익은 105.2% 늘어난 2조4천억원으로 추정했다. 매출과 이익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이다.사진은 기아 오토랜드 광명. [사진=뉴시스]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1천400원을 상회한 상황에서 4분기가 시작했고, 수출 수익성 개선은 명백하다"며 "3분기 말 기준 글로벌 미출고 대수가 120만대를 넘어 고수익성 차종을 중심으로 판촉 없는 판매 상황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기아는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23조2천억원, 7천68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갑작스러운 품질 비용(1조5천400억원) 반영으로 시장 컨센서스(1조9천600억원)를 61% 하회했다. 품질 비용을 제외한 조정 영업이익은 2조3천100억원으로 기존 컨센서스(2조4천억원)를 소폭 하회한 수준이다정 연구원은 "3분기 고질적인 일회성 비용 발생과 북미 자동차 금융 사업의 업황 둔화를 감안해 목표 주가수익비율(PER)을 하단(2023년 목표 PER 5.7배)으로 조정했다"며 "절대적인 저평가 상태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이어 "연말에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을 위한 해외 투자 계획이나 전동화 관련된 로드맵이 확정될 가능성이 크다"며 "방향성 확인 시 주가 상승의 트리거로 작동할 것"이라고 내다봤다.기아 \'The 2023 K9\' 모습[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3분기 양호한 실적을 낸 기아에 대해 증권가는 엇갈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앞서 지난 25일 기아는 3분기 매출이 23조1616억원, 영업이익은 7682억원이라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엔진 관련 품질비용 반영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1% 크게 감소했다.매출액은 시장 컨센서스를 소폭 웃돌았으며 영업이익은 품질 비용이 없었다면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성적이다.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품질비용을 제외한 조정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74% 늘어난 2조3100억원"이라며 "일회성 비용이 없었다면 사상 최고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2분기 영업이익을 넘어섰을 것"이라고 평가했다.다만 기아의 앞날에 대해선 긍정과 부정 전망이 혼재하다.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인한 전방 수요 둔화, 완성차의 가격 결정권 약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펀더멘탈은 여전히 견고하다"며 "환율 조건과 세그멘트 경쟁력, 차량 상품성을 감안할 때 경쟁력은 2023년 돋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반면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기아의 기업가치가 높아지려면 "내년 산업수요가 개선되고 기아의 점유율도 상승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러시아 영업이 정상화돼 1조2000억원 규모의 현지 자산에 대한 손망실 발생 우려가 없어지고 중국 법인의 영업 정상화로 연결 손익 적자 요인이 제거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서울 서초구 양재동 기아자동차 사옥. (기아자동차 제공) 2021.1.14/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현대차증권은 26일 기아 목표주가로 기존보다 9.1% 하향한 10만원을 제시했다.장문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경기침체 기대로 인한 수요 둔화 우려 등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품질 비용과 예상에 못 미친 실적은 주가에 부정 요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기아는 3분기 영업이익이 76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1% 하락했다.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도 60.0% 밑도는 수준이다.장 연구원은 "일회성 품질비용 1조5400억원을 감안하면 최근 시장 기대치인 2조3000억~2조4000억원에 대체로 부합한다"고 분석했다.3분기 매출액은 23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5% 증가했다.현대차증권은 기아가 일회성 비용을 제거할 경우 10%대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장 연구원은 "내년 1분기까지 공급망 회복 지연과 정점 대비 낮은 재고로 수익성 중심의 완성차 실적 개선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또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수혜 조건 완화나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 완화 시 주가 상승 모멘텀이 될 것"이라며 "러시아 법인 상각 진행 여부가 하락 리스크(위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10월 여성복 실적 고공행진 보브(사진=신세계인터내셔날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최근 전국 아침 기온이 5도 안팎으로 떨어지는 등 예년보다 이른 추위가 시작되면서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겨울 아우터 판매가 증가세다.신세계인터내셔날은 자사 대표 여성복 브랜드 보브, 지컷, 스튜디오 톰보이, 델라라나, 일라일의 1일부터 23일까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기간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자사몰 에스아이빌리지(S.I.VILLAGE)의 핫 키워드에는 #재킷, #겨울아우터, #코트, #부츠가 급상승했고, 여성 카테고리 내 인기 제품 순위 상위권은 모두 패딩, 재킷, 코트 등의 아우터가 차지했다.보브는 1일부터 현재까지 월 누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신장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트렌치코트, 경량 패딩 등이 인기를 끌었다면 올해는 본격적인 추위를 대비하는 고객들이 늘며 다운패딩, 구스다운 코트, 무스탕 등의 한겨울용 헤비 아우터 판매가 높았다.스튜디오 톰보이는 같은 기간 매출이 24% 증가했다. 경량다운코트, 재킷, 무스탕 등이 고르게 인기를 끌었다. 일라일의 10월 한 달 누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3.8% 급증했다. 캐시미어 핸드메이드 코트와 니트 코트, 울 가디건, 울 재킷 겨울철 대표 소재인 캐시미어와 울 등을 활용한 아우터가 잘 팔렸다. 이 외에도 같은 기간 델라라나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8.7%, 지컷(g-cut)은 18.2% 증가하는 등 여성복 브랜드 모두 두 자릿수 이상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보브/신세계인터내셔날갑자기 쌀쌀해진 날씨에 겨울 아우터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자사 대표 여성복 브랜드 보브, 지컷, 스튜디오 톰보이, 델라라나, 일라일의 이달(1~23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객단가가 높은 패딩, 코트 등 겨울 아우터가 예년보다 2~3주 이상 빠르게 판매된 덕분이다. 보브 이달 월 누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신장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트렌치코트, 경량 패딩 등이 인기였지만 올해는 다운패딩, 구스다운 코트, 무스탕 등의 한겨울용 두꺼운 아우터 판매가 높았다. \'니트 슬리브 구스다운 퀼팅 재킷\'은 보브의 매출 1위 제품으로 최근 유행하는 짤막한 기장의 다운 패딩이다. 니트 후드는 탈부착 가능하고 소매에 레터링 디자인을 넣었다. 블랙과 크림 두 가지 색상으로 출시했는데 올 겨울 크림, 베이지 등의 따뜻한 색상의 아우터가 인기를 끌며 크림 색상의 물량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출시 한 달여 만에 1차 리오더에 들어간 상태다.톰보이도 동기간 매출이 24% 증가했다. 경량다운코트, 재킷, 무스탕 등이 고르게 인기다. 복고 열풍에 맞춰 토글 단추(떡볶이 단추) 디테일의 무스탕, 숏 더플코트, 롱 퀼팅 코트 등과 톰보이 특유의 오버사이즈 코트와 재킷도 판매 호조를 보였다.니트웨어를 주력으로 선보이는 일라일은 매출이 두배 이상 급증했다. 캐시미어 핸드메이드 코트와 니트 코트, 울 가디건, 울 재킷 겨울철 대표 소재인 캐시미어와 울 등을 활용한 아우터가 잘 팔렸다. 니트 소재의 \'라쿤 니티드 오픈 아우터\'는 포근한 소재감과 색상 조합, 세련된 실루엣으로 출시 초반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이 외에도 델라라나는 매출이 28.7%, 지컷은 18.2% 증가하는 등 여성복 브랜드 모두가 두 자릿수 이상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 여성복 관계자는 "10월 말부터 겨울 성수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만큼 매출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급변하는 날씨와 트렌드에 맞춘 제품 기획과 재고 관리, 발 빠른 고객 프로모션으로 매출을 더욱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톰보이 겨울 코트. /신세계인터내셔날 쌀쌀해진 날씨에 겨울 외투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신세계인터내셔날은 자체 여성복 브랜드 보브, 지컷, 스튜디오 톰보이, 델라라나, 일라일의 이달(1~23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객단가가 높은 패딩, 코트 등 겨울 외투가 예년보다 2~3주 앞서 판매되기 시작한 덕분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보브는 이달 월 누계 매출이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트렌치코트, 경량 패딩 등이 인기였지만, 올해는 다운패딩, 구스다운 코트, 무스탕 등의 한겨울용 외투가 잘 팔렸다.가장 판매가 많이 된 제품은 짧은 기장의 ‘니트 슬리브 구스다운 퀼팅 재킷’이다. 블랙과 크림 두 가지 색상이 출시됐는데 크림 색상의 물량이 빠르게 소진되면서 출시 한 달여 만에 1차 재생산에 들어갔다.톰보이도 같은 기간 매출이 24% 증가했다. 복고 열풍에 맞춰 토글 단추(떡볶이 단추)가 들어간 무스탕 재킷, 짧은 더플코트, 롱 퀼팅 코트 등 오버사이즈 코트와 재킷이 판매 호조를 보였다.니트를 주력으로 선보이는 일라일은 매출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캐시미어 핸드메이드 코트와 니트 코트, 울 카디건과 재킷 등의 판매가 돋보였다.이 외에도 델라라나는 매출이 29%, 지컷은 18% 증가하는 등 여성복 브랜드 모두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신장률을 보였다.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10월 말부터 겨울 성수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만큼 매출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급변하는 날씨와 트렌드에 맞춘 제품 기획과 재고 관리, 발 빠른 고객 프로모션으로 매출을 더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했다.스튜디오 톰보이.ⓒ신세계인터내셔날[데일리안 = 이나영 기자] 최근 전국 아침 기온이 5도 안팎으로 뚝 떨어지는 등 예년보다 이른 추위가 시작되면서 겨울 아우터 판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신세계인터내셔날은 자사 대표 여성복 브랜드 보브, 지컷, 스튜디오 톰보이, 델라라나, 일라일의 지난 1일부터 23일까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객단가가 높은 패딩, 코트 등 겨울 아우터가 예년보다 2~3주 이상 빠르게 판매되며 여성복 전체 매출을 견인했다.보브는 10월1일부터 현재까지 월 누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신장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트렌치코트, 경량 패딩 등이 인기를 끌었다면 올해는 본격적인 추위를 대비하는 고객들이 늘며 다운패딩, 구스다운 코트, 무스탕 등의 한겨울용 헤비 아우터 판매가 높았다.스튜디오 톰보이는 동기간 매출이 24% 증가했다. 아우터 맛집이라는 애칭에 걸맞게 경량다운코트, 재킷, 무스탕 등이 고르게 인기를 끌었다. 복고 열풍에 맞춰 2000년대 초반으로 돌아간 듯 한 토글 단추(떡볶이 단추) 디테일의 무스탕, 숏 더플코트, 롱 퀼팅 코트 등이 눈에 띄며, 톰보이 특유의 오버사이즈 코트와 재킷도 판매 호조를 보였다.니트웨어를 주력으로 선보이는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일라일은 10월 한달 누계 매출이 전년비 103.8% 급증하며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이 기간 캐시미어 핸드메이드 코트와 니트 코트, 울 가디건, 울 재킷 겨울철 대표 소재인 캐시미어와 울 등을 활용한 아우터가 잘 팔렸다.이 외에도 10월 1~23일 동안 델라라나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8.7%, 지컷은 18.2% 증가하는 등 여성복 브랜드 모두가 두 자릿수 이상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신세계인터내셔날 여성복 관계자는 “10월 말부터 겨울 성수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만큼 매출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급변하는 날씨와 트렌드에 맞춘 제품 기획과 재고 관리, 발 빠른 고객 프로모션으로 매출을 더욱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아시아나항공은 중국 항저우 노선 재운항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중국행 노선 확대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아시아나항공은 항저우 노선을 다음달 2일부터 주 1회, 선전 노선은 오는 29일부로 주 1회 운항 재개한다. 기존 주 1회 운항하던 창춘 노선은 오는 27일부터 주 2회로 증편한다. 항저우, 선전 노선은 2020년 3월 중단 이후 2년 7개월 만에 재운항이다.항저우 노선은 인천에서 오전 9시45분에 출발해 11시 도착한다. 항저우에서 오후 1시55분 출발해 오후 5시5분 인천에 도착하는 스케줄로 A330 기종(298석)으로 운항한다. 선전 노선은 인천에서 오후 12시25분 출발해 오후 3시30분 도착한다. 선전에서 오후 5시30분 출발해 오후 9시45분 인천에 도착하며 A321NEO 기종(180석)으로 운영된다.창춘 노선은 인천에서 오전 8시45분 출발해 9시55분에 도착하게 된다. 또 창춘에서 오전 11시55분에 출발해 오후 3시 인천에 도착하는 스케줄이다. 화요일에는 B747 기종(398석)이 투입된다. 목요일에는 A330(298석) 항공기로 운항한다.현재 아시아나항공은 중국에 베이징, 난징, 창춘, 하얼빈 등 4개 노선을 취항하고 있다. 이번 재운항으로 6개 노선으로 늘어났다. 이번 항저우, 선전 운항 재개 외에도 추가 노선 취항을 위해 중국 당국과 지속 협력할 계획이다.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은 1994년 중국 베이징 노선 운항을 시작으로 양국 교류에 큰 역할을 해왔다” 며 “이번 추가 노선 운항을 시작으로 다시 중국노선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한편, 아시아나항공은 코로나19로 중국이 하늘길을 닫기 전, 중국에서만 28개 노선, 주 220회 운항했다.국내 항공사들이 코로나19로 운항이 중단됐던 중국과 일본 노선 재취항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항공사 매출 비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노선 취항이 재개되면 자금난에 시달리는 항공사들의 실적 개선도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아시아나항공은 중국 항저우 노선을 내달 2일부터 주 1회, 선전 노선은 같은 달 29일부터 주 1회 운항을 재개한다고 26일 발표했다. 2020년 3월 중단 이후 2년 7개월 만이다. 현지시간 기준으로 항저우 노선은 오전 9시45분 인천 출발~오전 11시 항저우 도착, 오후 1시55분 항저우 출발~오후 5시5분 인천 도착 일정이다. 기종은 A330(298석)이다.선전 노선은 낮 12시25분 인천 출발~오후 3시30분 선전 도착, 오후 5시30분 선전 출발~오후 9시45분 인천 도착이며 A321NEO(180석)로 운항한다. 주 1회 운항하던 창춘 노선은 이달 27일부터 주 2회(화·목)로 증편한다. 오전 8시45분 인천 출발~오전 9시55분 창춘 도착, 오전 11시55분 창춘 출발~오후 3시 인천 도착 일정으로 운영된다. 화요일에는 B747(398석), 목요일에는 A330(298석)이 투입된다.아시아나항공 중국 노선은 기존 베이징·난징·창춘·하얼빈에 이어 항저우·선전이 추가돼 6개로 늘었다. 추가 노선 취항을 위해 중국 당국과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이전 아시아나항공은 28개 중국 노선을 주간 220회 운항했다.대한항공은 이달 말 기준으로 인천~톈진·광저우·선양·다롄 등 4개 노선을 운항할 계획이다. 이달 말 선양과 텐진 노선을 주 1회에서 주 2회로 증편하고 28일엔 다롄 운항을 재개한다. 대한항공의 중국 노선 운항은 주 3회에서 주 6회로 늘어날 예정이지만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대한항공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2월 기준으로 홍콩을 제외한 32개 중국 노선을 주 236회 운영했다. 진에어와 제주항공, 티웨이항공과 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아직까지 중국 노선 증편 계획을 확정짓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노선 항공여객 수는 5만289명에 불과했다. 지난 8월(4만3787명)에 비하면 소폭 늘었지만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3% 수준에 불과하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9월엔 중국 노선 여객 수는 159만9061명에 달했다.다른 국가들이 방역을 완화하면서 일찌감치 국경을 연 것과 달리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하늘길이 열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항공업계는 중국 당국이 당분간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하면서 서서히 하늘길을 열 것으로 보고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중국 노선이 본격 재개되는 시점은 빨라야 내년 초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국내 항공사들은 최근 무비자 관광 입국이 허용돼 여행 수요가 급증하는 일본 노선 증편에 주력할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 계열 LCC인 에어부산은 부산∼나리타, 삿포로 노선 운항을 재개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일본의 대표 겨울 여행지로 꼽히는 삿포로 노선은 다음달 30일부터 매일 왕복 1회 운항한다.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됐던 한국인의 무비자(사증 면제) 일본 관광이 재개된 지난 11일 오전 김포국제공항 아시아나항공 국제선 카운터에서 탑승객들이 김포~하네다 항공편 탑승수속을 위해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현재 운항 중인 일본 노선 운항 횟수도 대폭 확대한다. 매일 왕복 2회 운항 중인 부산∼후쿠오카 노선은 이달 30일부터 매일 3회로, 오는 12월 8일부터는 매일 4회 운항으로 늘린다. 인천에서 출발하는 일본 노선도 증편해 오는 30일부터 인천∼나리타, 인천∼오사카 노선은 매일 2회 운항하며, 인천∼후쿠오카 노선은 매일 왕복 1회 운항한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올 겨울 일본 여행 관광객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대대적인 증편과 운항 재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국내 최대 LCC인 제주항공은 기존 일본 노선 최강자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이다. 오는 12월까지 일본 노선 운항횟수를 지금보다 3배 가까이 많은 주 168회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일본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 삿포로, 오키나와, 마쓰야마, 가고시마, 시즈오카 등 9개 도시에 20여개의 정기노선을 운항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당시 제주항공은 일본 노선에서 291만여명의 여객을 수송해 17.1%의 점유율로, 국적 LCC 중 1위를 차지했다.강경민 기자에어부산 A321neo 항공기.에어부산이 오는 30일부터 적용되는 동계 운항 스케줄에 맞춰 부산-나리타(도쿄), 삿포로 노선 재운항과 일부 노선 증편 등 대대적인 노선 스케줄 강화에 나선다.코로나19 이후 운항이 중단됐던 에어부산의 부산-삿포로 노선과 부산-나리타 노선이 운항을 재개한다.일본 대표 겨울 여행지로 손꼽히는 삿포로 노선은 오는 11월 30일부터 매일 왕복 1회 운항한다. 노선은 김해국제공항에서 오전 8시 35분 출발, 삿포로 치토세 공항에 오전 11시 도착이며 귀국편은 현지 공항에서 오전 11시 55분 출발, 김해공항에 오후 2시 40분 도착이다.2020년 4월부터 중단됐던 부산-나리타 노선은 오는 12월 9일부터 매일 왕복 1회로 재운항한다. 노선은 김해국제공항에서 오전 8시 5분 출발, 나리타 국제공항에 오전 10시 10분에 도착이며 귀국편은 현지 공항에서 오전 11시 5분 출발, 오후 1시 30분 김해공항 도착이다.삿포로와 나리타 노선 운항 재개뿐 아니라 현재 운항 중인 일본 노선 운항 횟수도 대폭 확대한다. 현재 매일 왕복 2회 운항 중인 부산-후쿠오카 노선은 오는 30일부터 매일 3회로, 오는 12월 8일부터는 매일 4회 운항으로 늘린다. 인천 출발 일본 노선도 대폭 확대해 오는 30일부터 현재 매일 왕복 1회 운항 중인 인천-나리타, 인천-오사카 노선은 매일 2회 운항, 주 3회 운항 중인 인천-후쿠오카 노선은 매일 왕복 1회로 증편 운항한다.이 외에 동남아 노선도 운항을 확대한다. 부산-다낭, 부산-방콕 노선과 인천-방콕 노선은 최대 매일 왕복 1회까지 증편하며 부산-세부 노선은 주 4회로 증편 운항한다. 부산-코타키나발루 노선은 오는 12월 21일부터 주 4회로 재운항에 나선다.에어부산은 오는 30일부터 내년 3월 25일까지 적용되는 동계 운항 스케줄 기간 김해국제공항에서 13개, 인천국제공항에서 7개의 국제선 노선을 운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에어부산 관계자는 “겨울 여행지인 삿포로와 동계 시즌 일본 관광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대대적인 증편과 운항 재개를 결정했다”며 “일본 노선 강화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영업, 마케팅, 안전 운항 등 전 분야의 경쟁력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에어부산 2022년 동계 기간 일본 노선 운항 계획표.핵심요약부산-삿포로·나리타(도쿄) 운항 재개 다낭·방콕·세부 등 동남아 노선도 증편에어부산 제공에어부산이 오는 30일부터 적용되는 동계 운항 스케줄에 맞춰 부산-나리타(도쿄)·삿포로 노선 재운항과 일부 노선 증편 등 대대적인 일본 노선 스케줄 강화에 나선다. \xa0에어부산은 코로나19 이후 운항을 중단했던 부산-삿포로 노선과 나리타 노선 운항을 재개한다고 26일 밝혔다. \xa0일본 대표 겨울 여행지로 손꼽히는 삿포로 노선은 다음 달 30일부터 매일 왕복 1회 운항하며 부산-나리타 노선은 12월 9일부터 매일 왕복 1회 재운항한다.현재 매일 왕복 2회 오가는 부산-후쿠오카 노선은 오는 30일부터 매일 3회로, 오는 12월 8일부터는 매일 4회로 늘린다.인천 출발 일본 노선도 대폭 확대해 오는 30일부터 매일 왕복 1회 운항 중인 인천-나리타·오사카 노선은 매일 2회로 늘린다. 주 3회인 인천-후쿠오카 노선은 매일 왕복 1회로 증편한다.부산 출발 다낭, 방콕 노선과 인천 출발 방콕 노선은 최대 매일 왕복 1회까지 증편하며, 부산-세부 노선은 주 4회로 증편 운항한다. 부산-코타키나발루 노선은 12월 21일부터 주 4회로 재운항에 나선다.\xa0에어부산 동계 기간 일본 노선 운항 계획. 에어부산 제공에어부산은 오는 30일부터 내년 3월 25일까지 적용되는 동계 운항 스케줄 기간 김해국제공항에서 13개, 인천국제공항에서 7개 국제선 노선을 운항할 계획이다.에어부산 관계자는 "일본 관광객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해 선제적으로 대대적인 증편과 운항 재개를 결정했다"며 "일본 노선 강화가 괄목할 만한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영업, 마케팅, 안전 운항 등 전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여가겠다"고 전했다.※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이메일 : jebo@cbs.co.kr카카오톡 : @노컷뉴스사이트 : https://url.kr/b71afn2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이문석 우리은행 부행장(왼쪽에서 두 번째), 최광진 중소기업은행 부행장(왼쪽 첫 번째), 허태준 ㈜케이티 본부장(오른쪽에서 두 번째), 김장섭 농협생명보험㈜ 부사장(오른쪽 첫 번째)이 차기 국방광대역통합망 구축 금융 약정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우리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우리은행은 첨단 과학기술발전과 미래전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부가 추진하는 차기 국방광대역통합망 구축사업의 금융주선과 PF 약정 체결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PF 사업 규모는 6000억원으로 25일 금융약정 체결을 완료했다. 우리은행이 대표주선사, NH농협생명·IBK기업은행이 공동주선사, ㈜케이티가 건설출자자, 템플턴하나자산운용이 재무출자자로 참여했다. 한국비티엘인프라투융자회사, IBK연금보험, DGB생명보험, 하나손해보험, NH농협손해보험이 대주단으로 참여했다.우리은행은 지난해 8월 KT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국 2322개의 부대에 네트워크 인프라 설치하고 전송망·교환망 설치와 통합망관리센터 등의 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의 금융주선권을 획득했다.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으로 국방부는 전·평시에 안정적인 통신지원과 초고속·초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반 통신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우리은행 관계자는 "급격한 금리상승과 위축된 시장 분위기 등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축적된 주선 노하우와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대규모의 금융주선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이번 사업은 한국기업평가로부터 최고등급(S1)의 ESG등급 인증을 받은 사회적금융으로 앞으로도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민간투자사업 금융주선과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우리은행 제공)(서울=뉴스1) 한유주 기자 = 우리은행이 국방부의 차기 국방광대역통합망 구축PF에 대표주선사로 참여한다고 26일 밝혔다.이번 PF 사업 규모는 6000억원으로 지난 25일 금융약정 체결을 완료했다. 우리은행이 대표주선사, NH농협생명·IBK기업은행이 공동주선사, 주식회사 케이티가 건설출자자, 템플턴하나자산운용이 재무출자자로 참여했다. 한국비티엘인프라투융자회사·IBK연금보험·DGB생명·하나손보·NH농협손보는 대주단으로 참여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8월 KT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국 부대 2322곳에 네트워크 인프라를 설치하고 전송망·교환망, 통합망관리센터 등을 구축하는 사업의 금융주선권을 획득했다. 이번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으로 국방부는 전·평시 안정적인 통신 지원을 위한 핵심 기반 통신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우리은행 관계자는 "급격한 금리상승과 위축된 시장분위기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축적된 주선 노하우와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대규모의 금융주선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이번 사업은 한국기업평가로부터 최고등급(S1)의 ESG등급 인증을 받은 사회적금융으로 앞으로도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민간투자사업 금융주선과 투자를 확대해가겠다"고 말했다.경남 창원에 자립준비청년 운영 샐러드 카페 열어현대위아가 26일 자립준비청년의 경제적?정서적 자립을 돕기 위해 만든 ‘현대위아 청년일터’에서 직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위아[서울경제] 현대위아(011210)가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의 홀로서기 지원에 나섰다.현대위아는 경상남도 창원특례시 성산구에 위치한 샐러드 카페 ‘아메리칸 트레이’에서 ‘현대위아 청년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청년일터는 자립준비청년들이 사회에 나가기 전 경제적?정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곳으로 8명이 근무하게 된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 등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 이후 홀로서기에 나서는 이들을 말한다.현대위아는 창원특례시, 창원지역자활센터, 초록우산어린이재단과 함께 청년일터를 만들었다. 자립준비청년들은 청년 일터에서 직접 고객을 응대하고, 음식을 만들고 매장을 관리하며 사회 생활에 필요한 부분을 익힐 수 있다. 현대위아는 자립준비청년들의 주도적 자립능력을 키우기 위해 기획단계에서부터 함께 참여하도록 했다. 이들이 직접 자신이 일할 공간과 업종을 선택하도록 했다. 현대위아는 청년들에게 필요한 자격증 취득과 취업 지원 등도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현대위아는 오는 31일 오전 9시 국내 주요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올해 3분기 경영실적과 주요 경영현황을 설명하는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한다고 26일 공시했다.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이 25일 오전 경기도 수원 선영에서 치러진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2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모습.연합뉴스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2주기 추모식이 25일 유족과 삼성 전·현직 사장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이날 오전 경기도 수원 선영에서 열린 추모식에는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겸 삼성글로벌리서치 고문, 김재열 국제빙상경기연맹 회장 등 유족이 참석했다.유족들은 오전 10시 50분께 선영에 도착해 30여 분간 머무르며 고인을 추모했다.또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과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 고정석 삼성물산 사장 등 전·현직 사장단과 부사장 등 경영진 300여 명도 순차적으로 선영을 찾아 고인을 기렸다.이 부회장과 현직 사장단 60여 명은 추모식을 마친 뒤 용인에 있는 삼성인력개발원으로 이동해 이건희 회장 2주기 추모 영상을 시청하고 오찬을 함께 했다.삼성 측은 별도의 공식 추모 행사를 열지 않고 사내에 온라인 추모관을 개설해 임직원이 방명록에 댓글 형식으로 추모글을 남길 수 있도록 했다.‘오늘 우리는 회장님을 다시 만납니다’라는 제목의 온라인 추모관에는 “당신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새로운 내일을 향해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내용이 담겼다.사내 온라인망에는 고인을 기리는 5분 43초 분량 추모 영상도 게시됐다. 또 신경영 강연과 연설문 등 고인의 육성을 방영했으며, 그를 회상하는 여러 원로 경영인과 외부 인사의 목소리도 전했다.고 이건희 회장은 지난 2014년 5월 서울 용산구 자택에서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뒤 6년 5개월여간 투병하다 2020년 10월 25일 새벽 향년 78세를 일기로 별세했다.한편 재계에서는 2주기를 맞아 이 부회장이 내놓을 메시지와 회장 취임 시기 등에 관심이 쏠려 있다.일각에서는 오는 27일 삼성전자 3분기 실적 발표에 앞서 열리는 이사회에서 이 부회장의 회장 선임 안건도 다뤄지지 않겠느냐는 추측이 나온다. 삼성전자 창립기념일(11월 1일)을 회장 취임 ‘디데이’로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전·현직 사장단 총출동“앞으로 언제까지 변할 거냐? 영원히 변해간다. 내가 죽어도 이렇게 변해가야 되는 거야.”25일 삼성 사내 사이트에는 고(故) 이건희 회장 2주기를 맞아 1993년 이 회장의 신경영 특강 육성이 담긴 5분여짜리 동영상이 올라왔다. “이건희 회장과의 대화는 온통 미래에 관한 내용뿐이었다”는 후쿠다 다미오 전 삼성전자 고문 등 외부 인사들의 회고도 담겼다.2020년 별세한 이건희 회장의 2주기 추모식이 이날 경기도 수원시 삼성가(家) 선영에서 열렸다. 오전 9시 20분쯤 현직 삼성 사장단 60여 명이 먼저 수원 선영을 찾아 참배했다. 이어 이재용 부회장과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김재열 국제빙상경기연맹 회장 등 가족이 참석해 고인을 추모했다.25일 경기도 수원 선영에서 열린 고(故) 이건희 회장 2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김승연(가운데) 한화그룹 회장과 홍라희(오른쪽)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뉴스1재계 인사 중에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부사장,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전무 등 세 아들과 함께 참석했다. 김 회장은 2020년 이 회장 별세 때도 아들과 함께 조문한 뒤 기자들에게 “오늘은 가장 슬픈 날, 친형님같이 모시던 분”이라고 말했다.이 부회장은 참배 뒤 경기도 용인의 인력개발원에서 사장단과 오찬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후에는 이학수 전 부회장, 최지성 전 삼성 미래전략실장을 비롯해 권오현·윤부근·신종균 고문 등 전직 삼성 사장단도 선영을 찾아 300여 명이 참배한 것으로 전해졌다.이건희 회장 사후, 유족들은 한국 미술계 발전을 위해 이 회장이 평생 모은 문화재·미술품 2만3000여 점을 국가 기관 등에 기증했다. 현재까지 이어지는 ‘이건희 특별전’은 매회 매진을 기록하며 72만여 명이 관람했다. 또 유족들은 감염병 확산 방지와 소아암·희소질환 치료를 위해 1조원을 기부하는 등 유산의 60%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금액을 사회에 환원했다. 12조원 넘는 상속세에 대해서도 유족 측은 “국민의 당연한 의무로 마땅히 해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28일부터 11월 6일까지60만병 물량 90% 할인희귀 와인도 특가로 마련[서울경제] 신세계(004170)백화점이 연말을 앞두고 대대적인 와인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신세계백화점은 10개 수입사가 참여하는 하반기 와인 창고대전을 오는 28일부터 11월 6일까지 한다고 26일 밝혔다. 총 60만병 물량을 최대 9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신세계백화점은 다가오는 연말 파티 수요를 겨냥해 돈 멜초, 키슬러 등 평소 쉽게 접할 수 없는 와인은 물론 세계적인 와인 유투버 ‘와인킹’이 추천하는 가성비 와인까지 다양하게 준비했다. 실제 국내 와인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올해 1~9월 신세계백화점 와인 장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4% 신장했다. 그 중 30만원 이상 프리미엄 와인 역시 21.7% 매출이 늘었다.이번 하반기 와인창고전에서는 프리미엄 와인을 지난해보다 20.3% 늘려 판매한다. 특히 칠레 대표 프리미엄 와인 ‘돈 멜초’의 신규 빈티지를 업계 최다 물량을 확보해 단독 특가로 선보일 예정이다. 신세계는 ‘돈 멜초 2020 빈지티’가 생산되기 전부터 칠레의 유명 와이너리 ‘콘 차이 토로’와 협업했다. 돈 멜초는 와인 평론 잡지 와인스펙데이터로부터 세계 TOP 100 와인 리스트에 9개 빈티지가 선정되었으며 이 중 3개 빈티지는 TOP 10 에 이름을 올리면서 칠레 대표 와인으로 자리매김했다.희귀 와인도 한정 수량으로 판매한다. 와이너리 자체 회원들에게만 판매하는 ‘키슬러 옥시덴탈 보데가 헤드랜즈 뀌베 엘리자베스 피노 누아 19’를 비롯해 ‘아르망 드 브리냑 브륏 골드’, ‘샤또 무똥 로칠드 18’, ‘샤또 오 브리옹 17’ 등 평소 만나기 어려웠던 와인들을 대거 준비했다.세계적인 와인 유투버 ‘와인킹’이 추천한 와인의 특가 행사도 진행한다. 오는 27일 오전 11시에는 강남점을 방문해 가성비 와인을 소개하며 고객과 직접 만나는 시간을 가진다. 와인킹이 방문하는 기간동안 추천한 와인에 한해 10% 추가 할인한다. SSG닷컴 신세계백화점몰 와인하우스에서는 이달 24일부터 11월 11일까지 역대급 물량인 780개 품목을 최대 83% 할인해 판매한다. SSG머니 결제 시 일부 품목에 한하여 10% 추가 할인도 가능하다.최원준 신세계백화점 식품담당은 "올해 신세계가 마지막으로 선보이는 와인 창고전에서는 프리미엄 와인, 가성비 와인 등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이 보장된 제품을 다양하게 선보인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소비 트렌드에 맞춘 상품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9월 기준 와인 수입액 6260억…전년比 6.7%↑·수입량 7.7%↓와인 음용 경험 늘며 품종·스타일 등 따져 마시는 소비취향 고급화높아지는 눈높이에 업계는 프리미엄 확보에도 열 올려시장 성장세에 나라셀라 등 자본조달 위한 IPO 움직임도국내 와인시장이 고급화와 함께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다. 올해 와인 수입액이 지난해에 이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수입량은 감소했는데, 국내 소비자들도 단순히 저가의 가성비 와인을 맛보던 ‘와알못’의 단계를 넘어 품종과 산지를 따져가며 향과 풍미를 즐기는 ‘와잘알’로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6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보르도와 부르고뉴 그랑 크뤼 와인 등 고급와인 산지인 프랑스 와인 수입액은 1억5196만 달러(약 219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억2857만 달러)보다 1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역시 고급산지인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 중심의 미국 와인 수입액도 7806만 달러(약 1127억원)으로 전년 동기(6720만 달러) 대비 16.2% 늘었다.1년 새 수입액이 크게 증가한 두 나라지만 수입량은 오히려 줄거나 크게 늘지 않았다. 이 기간 미국 와인의 수입량은 5533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202t)보다 10.8%(669t) 줄었고, 프랑스 와인의 수입량도 9227t에서 9410t으로 2.0%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산지인 칠레의 경우 올해 수입량이 1만690t로 수입국 가운데 많았지만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5520만 달러)보다 11.5% 감소한 4885만 달러(약 700억원)로 프랑스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국내 와인 소비의 고급화 추세는 전체 수입액과 수입량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9월 말 기준 국내 와인 수입액은 4억3668만 달러(약 6260억원)로 1년 전 같은 기간(4억937만 달러)과 비교해 6.7% 증가했다. 최근 몇 년간 소폭 증가세를 이어오던 국내 와인 수입액은 지난해 3분기 기준 직전 해(2억2052만 달러) 대비 두 배 가까이 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도 지난해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세를 이어가며 최고치를 경신했다.반면 같은 기간 수입액과 함께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려가던 수입량은 올 들어 증가세가 꺾였다. 올해 와인 수입량은 5만2855t으로 전년 동기(5만7265t) 대비 7.7% 감소했다. 수입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입량은 줄어든 셈인데, 와인의 접근성이 좋아지고 음용 경험이 늘어나면서 단순히 가성비 와인을 마시는 것을 넘어 다양한 생산지와 품종으로 소비 취향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업계 관계자는 “와인 음용 경험이 해를 거듭할수록 빠르게 늘어나고 있고, 와인이란 술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며 “와인이란 술은 품종과 스타일이 굉장히 다양하기 때문에 음용 경험이 늘어날수록 더 다양하고 더 고품질의 제품을 자연스럽게 찾아가게 되는데 한국시장도 그런 단계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대형마트 장터 등의 할인행사에서 대표 와인으로 선보이고 있는 수백만원대 고급와인들도 일명 ‘줄서기 와인’으로 불리며 내놓기 무섭게 팔려나가고 있다.국내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희소성 있는 프리미엄 와인을 확보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신세계는 지난 2월 고품질 컬트와인으로 유명한 나파밸리의 와이너리 ‘쉐이퍼빈야드’를 인수한 데 이어 8월에는 스택스 립 지구의 포도밭을 추가로 매입하며 직접 생산에 나섰다. 현대백화점도 수입·유통사 비노에이치를 설립하고, 대량 수입 가능한 중저가 와인보다는 유기농 프리미엄 와인을 발굴해 국내 시장에 독점 수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현재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와이너리 10곳의 와인 100여 종을 들여왔고, 향후 수입 품목을 300여 종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와인 고급화 흐름에 따라 가전업계도 프리미엄 와인 셀러 등을 앞세워 소비자 공략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휴대전화로 와인 라벨을 촬영하는 것만으로도 체계적 관리를 지원하는 ‘소믈리에 앳 홈’ 기능을 비스포크 냉장고에서도 쓸 수 있도록 개선했고, LG전자도 스마트폰의 LG 씽큐 앱을 연동한 뒤 와인 라벨을 찍으면 이름·종류·생산지·가격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와인셀러’를 출시했다.이밖에 캐리어냉장은 지난달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프리미엄 와인셀러 브랜드 ‘유로까브’ 단독 매장을 열었다. 유로까브는 1976년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 와인셀러 브랜드로 프랑스 정부가 기술력과 전통, 장인 정신을 바탕으로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기업들에게 제공하는 ‘현존하는 문화유산(EPV)’에 등재된 와인셀러이기도 하다.국내 와인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면서 자금 조달 등을 위한 관련 기업들의 자본시장 내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와인 수입·유통사 나라셀라는 지난 14일 코스닥시장본부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총 상장 예정 주식 수는 647만8038주이며, 이 중 공모 물량은 150만주다. 상장 예비심사 기간 등을 고려하면 내년 1분기께 공모가 진행될 전망이다. 나라셀라 외에도 금양인터내셔날도 내년 상장을 목표로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신세계L&B, 아영FBC등도 잠재적인 상장예비기업으로 꼽힌다.누적 당기순이익 4조279억원누적 순이자이익 전년 대비 19% 증가KB국민카드·증권은 순이익 감소KB국민은행 신관 전경.[KB국민은행 제공][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KB금융그룹은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3조7724억원) 대비 6.8%(2555억원) 증가한 4조279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KB금융그룹은 “주식시장 침체 및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여신 성장과 순이자마진(NIM) 확대에 힘입은 견조한 순이자이익 증가와 비용관리의 결실”이라고 설명했다.3분기 누적 순이자이익은 8조3392억원으로 전년 동기(7조89억원) 대비 19.0% 증가했다. 순이자이익은 2조8974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7% 상승했다.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98%로 전분기 대비 0.02%포인트(2bp) 올랐다.누적 순수수료이익은 2조603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1% 감소했다. 3분기 순수수료이익도 813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7.0% 줄었다. KB금융그룹은 “주식시장 불황으로 인해 주식거래규모가 축소되어 증권 수탁수수료가 전년동기 대비 약 41.6% 감소했다”며 “은행 신탁과 펀드 상품 판매 실적도 위축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3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2713억원으로 전분기(1조3035억원) 대비 2.5% 감소했다. 이에 KB금융그룹은 “2분기의 일회성 이익인 손해보험 부동산 매각이익(세후 약 1230억원)의 기저효과로, 이를 제외한 경우 전분기 대비 7.7% 가량 증가했다”고 말했다.자산건전성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9월말 기준 KB금융그룹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32% 수준이었으며 부실채권 커버리지비율은 219.7%를 기록했다.BIS자기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5.42%, 12.60%를 기록했다. 위험가중자산 증가와 금리상승, 주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6월말 대비 각각 0.21%포인트와 0.33%포인트 하락한 수치다.주요 계열사별로는, KB국민은행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2조5506억원을 달성하며 전년동기 대비 15.9% 증가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10% 증가했다. 이자이익 증가와 NIM 확대 등에 힘입은 결과라는 것이 KB국민은행의 설명이다.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76%로 전분기 대비 0.03%포인트 개선됐다.이외에 KB증권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03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4.1% 감소했다. 감소 추세는 주식시장 침체와 시장금리 상승,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기인했다.KB손해보험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5207억원으로 손해율 개선과 일회성 이익(부동산 매각이익 약 1570억원)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93.4% 상승했다. 일회성이익을 제외한 기준으로도 약 21.3% 증가했다.이외에 KB국민카드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3523억원, 푸르덴셜생명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2077억원으로 집계돼 전년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KB금융그룹 관계자는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그룹의 견고한 펀더멘탈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고 말했다.한편, 이날 KB금융그룹 이사회는 주당 500원의 분기배당을 결의해, 올해 누적 분기 배당금이 주당 1500원으로 집계됐다.기사내용 요약신한은행 서울시금고 유치와 증권사옥 매각 영향KB금융, 국민은행 선방에도 증권·카드 시장 여파서울 여의도 국민은행(왼쪽)과 중구 신한은행 본사 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올해 들어 신한금융지주의 영업실적이 KB금융지주를 추월했다. 연말까지 수익 차이를 벌리면서 3년 만에 \'리딩뱅크\' 자리에 오를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은 3분기 누적 연결기준 4조315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21.2% 급증한 규모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 분기 대비 20.8% 증가한 1조5946억원을 올렸다. 회사는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와 증권 사옥 매각 등으로 시장 변동성에도 견조한 경상이익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증권 사옥 매각이익은 세전 4438억원으로 이를 제외하면 3분기 순이익 1조2728억원을 시현했다.이 같은 실적은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신한은행이 견인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조5925억원을 올렸다. 지난해 동기보다 21.7% 증가한 규모다. 이자이익은 기업 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순이자마진(NIM)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6%(1조1887억원) 늘었다.그룹과 은행의 3분기 NIM은 각각 2.00%, 1.68%를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각각 2bp(1bp=0.01%포인트), 5bp 개선됐다. 3분기 누적 NIM은 그룹과 은행이 각각 1.96%, 1.61%를 나타내면서 개선세를 지속 중이다. 앞서 48조원 규모의 서울시금고 유치와 사옥 매각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KB금융그룹의 경우 3분기 누적 순이익이 4조27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한 규모지만 신한금융(21.2%)에 크게 못 미치는 인상폭이다.3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2713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2.5% 줄었다. 이는 2분기 일회성이익인 손해보험 부동산 매각이익(세후 약 1230억원) 기저효과가 반영됐다.주요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조5506억원을 시현했다. 여신성장과 NIM 확대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에 전년 동기 대비 15.9% 증가했다.3분기 당기순이익은 8242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0.0% 증가했다. 이자이익이 증가하고 전 분기 미래경기전망 관련 추가충당금 적립 영향이 소멸된 데 주로 기인한 것이라는 설명이다.3분기 그룹과 은행의 NIM은 각각 1.98%, 1.76%를 나타냈다. 전 분기 대비 각각 2bp, 3bp 개선됐다. 3분기 누적 NIM은 그룹과 은행이 각각 1.95%, 1.72%로 개선되고 있다.하지만 다른 주요 계열사인 KB증권과 KB국민카드는 주식시장 침체와 조달비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수익이 줄어드는 모습이다. KB증권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30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1% 감소했다. 이는 주식시장 침체와 시장금리 상승,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기인한다.국민카드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3523억원으로 15.9% 줄었다. 마케팅 강화로 지급수수료가 증가하고 금리상승에 따라 조달비용이 늘어난 영향이다.이 같은 1회성 요인과 주요 계열사 실적 영향으로 신한금융은 KB금융을 앞서게 됐다.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875억원 차이다. 은행만 비교하면 419억원 차이가 난다. 업계에서는 4분기 차이가 좀 더 벌어지면서 신한금융이 3년 만에 리딩뱅크 자리에 오를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추정한 신한지주의 올해 연간 실적 전망치는 매출 17조2127억원, 영업이익 6조8044억원, 순이익 5조1516억원 규모다. KB금융은 매출이 18조3471억원으로 앞서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6조4676억원, 4조8937억원으로 소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됐다.30년 전 제주공항 활주로 이탈 사고 필리핀 사고와 닮은꼴 소방구조대 24시간 비상 대기 "항공기 화재는 우리가 전문가" 편집자 주 = \'공항\'은 여행에 대한 설렘과 기대로 충만한 공간입니다. 그중에서도 제주공항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그 의미가 각별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지나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으로 이어지는 이 시대에도 \'쉼\'과 \'재충전\'을 위해 누구나 찾고 싶어하는 제주의 관문이기 때문입니다. 연간 약 3천만 명이 이용하는 제주공항. 그곳에는 공항 이용객들의 안전과 만족, 행복을 위해 제 일을 묵묵히 수행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비록 눈에 잘 띄진 않지만, 소금과 같은 역할을 하며 제주공항을 움직이는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 이야기와 공항 이야기를 2주에 한 차례씩 연재합니다.필리핀 세부 공항 활주로 밖에 처박힌 대한항공 여객기(세부 AP=연합뉴스) 24일 필리핀 세부 막탄공항에서 활주로를 이탈한 뒤 멈춘 대한항공 여객기가 바닥에 처박혀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며칠 전 필리핀 세부 막탄 공항에서 승객 162명을 태운 대한항공 여객기가 착륙 도중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가 났다. 뉴스를 접한 사람들과 가족들은 과거 항공기 사고를 떠올리며 몸서리를 쳤겠지만,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위기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처한 승무원들과 사고 현장에 신속히 출동해 탑승객들을 구조하고 화재를 진압한 숨은 영웅들 덕분이다. 이착륙 과정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항공기 사고의 특성상 공항에는 소방구조대원들이 24시간 비상대기한다. 26일 과거 발생한 항공기 사고 사례와 함께 공항 소방구조대원들의 역할을 알아본다. 끊이지 않는 항공기 사고 1994년 8월 10일 오전 11시 20분께 서울발 대한항공 2033편(A300-600기)이 제주공항에 착륙하려는 순간 강한 돌풍이 몰아쳤다. 대형 태풍 \'더그\'(DOUG)가 제주를 스쳐 지난 뒤였지만 상공에는 여전히 강한 바람이 불고 있었다. 승객과 승무원 160명을 태운 항공기는 돌풍에 중심을 잃고 굉음을 내며 활주로에 미끄러졌다.제주공항서 발생한 대한항공 여객기 사고(제주=연합뉴스) 1994년 8월 10일 서울발 대한항공 2033편이 제주공항 착륙 도중 활주로 밖으로 벗어나는 사고가 발생, 소방구조대가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2022.10.26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기장이 착륙 당시 돌풍을 이기기 위해 정상속도(시속 약 270㎞)를 벗어난 시속 약 340㎞의 빠른 속도로 비행하며 무리하게 착륙을 시도한 탓에 사달이 난 것이다. 3천m가량인 제주공항 활주로의 중간을 넘어선 1천773m 지점에 바퀴가 지면에 닿았고, 비행속도를 고려했을 때 남은 활주로 길이는 턱없이 부족했다. 항공기는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활주로를 벗어나 바깥담벼락을 들이받고 곤두박질쳤다. 일촉즉발의 상황이었지만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152명의 승객은 승무원들의 침착한 대처에 따라 질서정연하고도 신속하게 대피했다. 즉시 투입된 경찰과 소방구조대원 등이 승객들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켰고, 탑승자들이 모두 대피한 뒤 2∼3분 만에 비행기가 폭발했다. 연료탱크에서 새어 나온 항공유에 불이 붙으면서 폭발로 이어진 것이다. 비행기는 화재로 전소됐지만, 160명의 승객과 승무원 중 9명 만이 가벼운 상처를 입었을 뿐 사망자는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대피가 조금만 늦어졌어도 대형참사가 났을 뻔한 아찔한 순간이었다. 최근 발생한 필리핀 공항에서의 사고와 비슷하다.제주공항서 발생한 대한항공 여객기 사고(제주=연합뉴스) 1994년 8월 10일 서울발 대한항공 2033편이 제주공항에 착륙 도중 활주로 밖으로 벗어나는 사고가 발생 소방구조대가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2022.10.26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인명피해가 없었음에도 제주공항에서 발생한 가장 큰 항공기 사고 중 하나로, 3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이 사고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항공기 사고에서 이렇듯 인명피해가 없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제주공항 사고가 나기 불과 1년 전에는 다수의 목숨을 앗아간 대형 사고가 나기도 했다. 1993년 7월 26일 110명의 승객과 승무원을 태우고 서울에서 목포로 향하던 아시아나항공 B737-500 여객기가 전남 해남군 화원면 마천리 뒷산에 추락했다.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 66명이 숨지고, 44명이 다쳤다. B737기가 목포공항에 착륙하기 전 정상궤도를 이탈, 비행기 꼬리 부분이 산 능선에 부딪쳐 추락한 것이다. 사고 원인은 악천후 속에서 규정을 무시한 무리한 착륙강행과 관제사의 관제 미흡 등으로 최종 결론이 났다. 이외에도 크고 작은 항공기 사고는 연이어 발생했다. 국내 항공기 사고 기록을 보면 1980년 11월 대한항공 B747 김포공항 동체 착륙(15명 사망), 1981년 9월 대한항공 B747 필리핀 마닐라 공항에 이륙 중 철책 충돌(24명 부상), 1997년 8월 대한항공 B747-300 미국 괌공항 착륙 중 야산 추락(225명 사망, 29명 부상), 2013년 7월 아시아나항공 B777-200 미국 샌프란시스코공항 충돌(2명 사망, 수십명 부상) 등이다. 대부분 공항 내 이착륙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였다.탈출하는 승객들(서울=연합뉴스) 2013년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아시아나항공 OZ 214편 여객기의 사고 현장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 "3분 안에 현장 도착 인명구조" "항공기 사고가 나면 3분 안에 현장에 도착해 사람을 구조하고 불을 끕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 소방구조대 대원들은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당연하다는 듯 힘줘 말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공항시설법은 공항 인근 8㎞ 이내의 항공기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공항 내 각종 소방장비와 소방대원, 구조인력을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공항공사에서 운영하는 14개 공항 중 공사가 소방대를 직접 운영 중인 곳은 8개 공항이다. 김포공항(10등급), 제주·김해·무안공항(9등급), 청주공항(8등급), 여수·양양·울산공항(7등급) 등이다. 나머지 대구·광주·사천·포항·군산·원주공항은 군에서 소방대를 운영하고 있다. 소방등급이 높을수록 크기가 큰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공항이며, 소방등급에 맞는 소방인력과 장비 등이 갖춰져야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하다. 항공기 사고가 발생했을 때 최초 소방차량 도착시간은 3분을 넘어선 안 된다. 많은 사람을 태우고 운항하는 항공기의 특성상 사고가 발생했을 때 짧은 시간 내에 수많은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주공항 소방구조대 대원들(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지난 7일 촬영한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 소방구조대대원들의 모습. 2022.10.26양은호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 에어사이드운영팀 차장은 "항공기 사고의 90% 가량이 이착륙 과정에서 발생하고 공중에 있을 때 사고는 10%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착륙 5분 사이 공항 내 또는 공항 근처에서 사고가 날 확률이 매우 높아 공항에 소방대가 위치하면서 사고가 날 때 3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도록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고가 나면 일단 공항은 올스톱된다. 추가 사고를 막기 위해 착륙 예정인 항공기는 다른 주변 공항으로 이동하게 하고, 출발 예정인 항공기는 사고지점에서 최대한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킨다. 공항 소방대는 관제탑의 지시에 따라 전 인력과 모든 장비를 동원해 인명구조에 나선다. 제주공항 구조소방센터에는 총 60명이 4조 2교대로 24시간 근무하고 있다. 평일 주간에는 21∼22명이 근무하며 야간과 주말에는 일일 필수근무인원인 13명이 상시 근무한다. 제주국제공항에는 항공용구조소방차 4대, 물탱크소방차 1대, 구급차 1대, 지휘차 1대를 포함해 총 7대를 운영하고 있다. 소방대원들은 공항 내 항공기 사고 시 신속한 인명구조와 화재진압을 위해 비상출동훈련(일1회), 항공기사고처리훈련(연4회), 건물화재훈련(연4회), 공항 관숙훈련(주1회), 소방관서 합동화재진압훈련(연2회), 종합훈련(연1회), 실제화재훈련(연1회) 등을 실시해 비상상황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소방대원들은 "119소방대가 평소 화재가 발생할 때마다 자주 출동하며 고생하고 있어 그들의 실력이 월등하리라 생각한다"면서도 "항공기 사고 화재에 있어서는 공항소방구조대인 우리가 전문가"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근무하는 제주공항 소방구조대원들(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지난 7일 촬영한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 소방구조대대원들이 근무하는 모습. 2022.10.26 bjc@yna.co.kr [앵커]대한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로 필리핀 세부에 발이 묶였던 승객들이 잠시 뒤 귀국합니다.인천공항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봅니다. 계현우 기자! 승객들은 몇시 쯤 들어옵니까? [기자] 잠시 뒤인 10시쯤 들어올 예정입니다. 사고 여객기 등으로 돌아오려던 승객 114명, 사고 여객기 승객 가운데 귀국을 희망한 11명 등 125명입니다. 어제(24일) 예정대로 귀국하지 못한 승객 260여 명을 태운 진에어, 에어부산 대체편도 각각 인천과 김해 공항에 곧 도착할 예정입니다. 어제까지 폐쇄됐던 세부 막탄 공항은 오늘(25일)부터 오전 5시부터 오후 5시까지 낮 동안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틈을 이용해 대한항공 등의 대체 항공기가 투입됐고, 곧 돌아오는 겁니다. 밤에는 비행이 금지된 만큼 세부를 오가는 여객기 운항은 당분간 차질이 불가피합니다. 당장 오늘 저녁 진에어 김해 출발편이 결항됐고, 인천 출발편은 밤 시간을 피하기 위해 내일(26일) 새벽 출발로 운항 일정이 바뀌었습니다.[앵커] 사고 여객기 수습은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 [기자] 네, 오늘 새벽부터 대한항공 정비 인력 등의 노력에도 사고 기체는 아직 활주로 끝에 그대로 있습니다. 혹시 모를 폭발 등에 대비해 연료는 모두 빼냈지만, 기체를 옮길 대형 크레인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기내에 실린 8톤가량의 수화물도 무게를 줄이기 위해선 모두 내려야 하는데, 기체가 기울어져 있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국토부는 현지에서 필리핀 당국과 사고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2차 착륙 시도 때 승객들이 쿵 하는 소리를 들은 만큼 이때 기체 바퀴가 파손된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고, 착륙을 돕는 공항의 계기 착륙 시설이 작동하지 않은 점, 기상 상황이 아주 나빴던 점 등을 함께 살펴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천공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김대범한은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10월 전산업 업황 BSI 76 기록, 작년 2월 수준으로 하락제조업BSI, 비제조업BSI 모두 전월대비 2포인트씩 내려11월 기업경기도 고환율·고금리·고물가 여파 하락 예상[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고환율·고금리·고물가의 삼중고 여파에 국내 기업경기가 다섯달 연속 하락하면서 코로나19 영향이 심했던 작년 2월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제조업, 비제조업 경기 모두 두달 연속 하락하면서 전산업 경기가 악화됐다.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전세계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긴축 기조가 강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확대된 영향이다. (사진=연합뉴스)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번달 전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한 76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 2월(76) 수준이다. 전산업 업황 BSI는 지난 5월 86을 유지하다 이후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 연속 하락했다. BSI는 현재 기업 경영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조사해 지수화 한 수치로 기업의 체감경기를 알 수 있는 지표다. 지수가 100이 넘으면 업황이 좋다고 응답한 기업이, 100보다 작으면 업황이 나쁘다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나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전산업 BSI가 100을 넘은 적은 없다. 이번달은 제조업과 비제조업 경기 모두 두 달 연속 나빠졌다.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한 72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발생 첫해인 2020년 9월(68) 이후 최저 수준이다. 제조업 업황BSI는 내수 부진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 게임기 등 비필수재 등에 대한 수요 감소하면서 기타 제조업이 14포인트 하락했고, 화학제품 스프레드 축소 및 글로벌 수요 감소하면서 화학물질·제품이 9포인트 하락하는 등의 영향을 받았다. 이외에도 건설 등 전방산업 업황 둔화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고무·플라스틱이 9포인트, 반도체 소비 감소로 인한 재고 증가 및 매출액 감소로 전자·영상·통신장비가 5포인트 내렸다. 제조업 내에서 기업규모, 형태별 구분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전월 대비 3포인트, 1포인트 하락한 75, 68을 기록해 각각 두달, 석달 연속 내렸다. 이는 각각 2020년 9월 75, 58 이후 최저치다. 수출기업도 71을 기록해 6포인트 하락했고, 내수기업은 전월과 비슷한 72를 나타냈다. 이 역시 같은해 7월, 9월 기록한 64, 63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번달 제조업 경기 중 매출액BSI는 89로 전월에 비해 6포인트 하락했다. 채산성BSI, 자금사정BSI도 모두 2포인트씩 하락한 72, 79를 기록했다.11월 제조업 경기 전망 역시 나쁘다. 다음달 제조업 업황전망BSI는 고무·플라스틱(-13포인트), 기타 제조업(-12포인트), 화학물질·제품(-10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2포인트 하락한 73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달 비제조업 업황BSI는 정보통신업이 계절적 비수기 요인 및 경쟁 심화로 매출액이 감소하면서 전월 대비 10포인트 내리고, 부동산업도 주택경기 둔화 및 신규수주 감소,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 등에 10포인트 하락하면서 전체 전월 대비 2포인트 내린 79를 기록했다. 비제조업 10월 매출액BSI, 채산성BSI, 자금사정BSI 모두 각각 4포인트, 1포인트, 2포인트씩 빠졌다. 11월 비제조업 업황 전망BSI도 부동산업(-13포인트), 숙박업(-11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3포인트 하락한 78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2.5포인트 하락한 95.5를 기록했다. 두달 연속 하락한 것으로 2021년 1월(92.7) 이후 최저치다. ESI 순환변동치는 97.7로 전월 대비 1포인트 내렸다. 2021년 2월(96.2) 이후 최저 수준이다.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1년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 BSI 조사 결과를 보면 이번 달 모든 산업의 업황 BSI는 76으로, 9월보다 2포인트 하락했습니다.BSI는 지난 7월 80에서 8월에 81로 올랐지만, 9월에 78, 10월에 76을 기록해 2개월 연속 하락했습니다.한국은행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하는 가운데 주요국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BSI가 하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돌게 됩니다.이번 조사는 지난 11일부터 8일간 3천255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2천786개 기업이 설문에 답했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전화] 02-398-8585[메일] social@ytn.co.kr서울시,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 등 건축계획안 통과"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지는 스카이라인 구현…서울역 주변 랜드마크"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조감도.(제공=서울시)ⓒ 뉴스1(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서울역 북부에 최고 38층 높이 복합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25일 제20차 건축위원회를 열고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과 \'홍제3 주택재건축사업\' 건축계획안\'을 통과시켰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역 북부 신축사업은 서울 중구 봉래동2가 122번지 일원에 지하 6층~지상 최고 38층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2027년 준공 예정이다. 복합단지는 총 5개 동으로 구성된다. 업무시설 2개동(38층·32층), 오피스텔 1개동(37층), 호텔과 오피스텔로 구성된 2개동(29층·23층)이다. 오피스텔은 총 414실이 공급된다.서울시는 서울역광장부터 공공보행통로를 조성해 철도로 단절된 동·서 구간을 연결하고, 녹지와 휴식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건물이 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지도록 타워부에서부터 차츰 낮아지는 새로운 건축물 조형과 리듬감 있는 스카이라인을 구현할 예정"이라며 "모든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동선 유도로 서울역 주변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 인근에도 23층 높이 아파트가 들어선다. 아파트는 내년 상반기 사업시행계획(변경) 인가를 거쳐 2023년 착공할 예정이다. 홍제3주택재건축사업은 지하 6층~지상 23층 아파트 634가구 규모(공공주택 78가구)다. 시는 1~2인 가구에 적합한 전용 49㎡(26가구) 공공주택뿐 아니라 3인 이상 가구에게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할 59㎡(52가구)를 확보했다면서 세대 배치 시 임대와 분양을 동시에 공급해 적극적인 소셜믹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서울 시내 원활한 주택 공급뿐 아니라 서울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창의적인 건축계획이 이뤄질 수 있도록 건축위원회를 앞으로도 착실히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 위치도 /사진=서울시서울역 인근에 사무실과 오피스텔, 호텔 등이 들어서는 복합단지가 최고 38층 규모로 조성된다.서울시는 제20차 건축위원회를 열고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역 북부 특계 신축사업\' 건축계획안을 통과시켰다고 26일 밝혔다. 이 사업은 중구 봉래동2가 122번지 일대 서울역 북부 34만126.86㎡에 최고 38층 규모의 복합단지를 짓는 내용이다.심의를 통해 지하 6층~지상 38층, 사무실·오피스텔 414실과 관광숙박(호텔), 판매, 문화·집회시설 등 복합건축물이 계획됐다. 업무시설 2개동, 오피스텔 1개동, 호텔과 오피스텔로 구성된 2개동 등 모두 5개동으로 구성된다. 내년 상반기 건축허가를 거쳐 2027년 준공 예정이다.서울역광장에서 이어지는 입체적 공공보행통로를 만들어 도시철도로 단절된 동서 구간을 연결한다. 공개공지를 조성하고 서소문 역사공원까지 연결해 자연 친화적이고 공공성을 강화한 열린 공간을 계획했다. 광장과 공공보행로 주변은 녹지공간과 휴식 공간으로 꾸며진다. 지하 1층~지상 3층은 내·외부가 연계된 복합 소매점(리테일) 공간으로 제공한다.건물 높이는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도록 최고층에서 차츰 낮아지는 스카이라인을 구현할 예정이다. 모든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동선을 유도해 서울역 주변의 상징물이 될 수 있도록 했다.홍제3 주택재건축사업 조감도 /사진=서울시이와 함께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 인근 홍제동 104-41번지 일대에 지상 23층 규모의 아파트가 지어진다. 서울시 심의를 통과한 \'홍제3 주택재건축사업\'은 연면적 11만148.53㎡에 지하 6층~지상 23층, 11개동, 총 634가구와 부대 복리시설, 근린생활시설을 건축하는 내용이다. 전용 49·51·59·84·114㎡ 등 5가지 평형으로 구성된다. 공공주택은 78가구로 1~2인가구에 적합한 49㎡형(26가구)와 3인 이상 가구에게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하는 59㎡형(52가구)를 확보했다. 세대 배치 시 임대·분양 동시 추첨을 통해 소셜믹스를 구현할 방침이다.이곳은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과 홍제역 사이에 위치해 도심 접근이 유리하고, 서울역과 지하철 5·1호선·경의중앙선도 이용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다. 22m 높이 차이가 있는 구릉지 부지 특성을 최대한 활용해 주변 지형에 순응하는 공동주택 단지로 계획했다. 지형을 활용한 \'슬로프 가든\'과 통일로~인왕산 방향에 폭 22m의 통경축을 확보했다. 건물 저층부에는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해 가로 활성화를 유도한다.세대 내부에는 테라스형, 개방향 발코니가 조성된다. 주동 옥상에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친환경 녹색 단지로 운영한다. 홍제3 재건축은 내년 상반기 사업시행계획(변경) 인가를 거쳐 2023년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원활한 주택 공급뿐 아니라 서울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창의적인 건축계획이 이뤄질 수 있도록 건축위원회를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서울 중구 명동 음식점 거리에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지난 3분기 외식업계의 식재료 원가가 역대 최고치를 다시 썼다.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2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외식산업 식재료 원가지수는 145.89로 전 분기보다 0.71포인트 올랐다.해당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식재료의 원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100을 넘으면 원가가 올랐다는 의미다. 지난해 1분기부터 7분기 연속 상승하며 매 분기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업종별로는 한식 음식점업이 148.41로 가장 높았다. 그 외 외국식 음식점업(147.59), 기관 구내식당업(146.61), 기타 간이음식점업(146.47), 주점업(144.4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외식업체의 식재료 가격 상승은 제품 가격 상승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 정보 종합포털에서 지난달 서울 기준 자장면 가격은 평균 6300원으로 전년 대비 14% 올랐다.aT 측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돼 국제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고 환율도 크게 올라 수입 식자재 의존도가 높은 외식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식재료가 상승에 제품가 상승…소비자 부담 가중 불가피aT,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 보고서…"물가·환율 상승, 부정적 영향"외식물가 상승 (PG)[백수진 제작] 일러스트(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올해 3분기 외식업 경기가 추석 명절 등의 영향으로 개선돼 4분기 연속 회복세가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식업계의 식재료 원가 수준이 또 역대 최고치를 경신해 외식업체 부담이 커졌다. 식재료 가격 상승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결국에는 소비자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다. 실제로 서울 지역 자장면 가격은 1년 전 대비 14% 가까이 올랐고 칼국수와 김밥 등도 10% 넘게 상승했다. 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2 3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는 89.84로 전 분기보다 4.28포인트(p) 올랐다. 이로써 지난해 4분기부터 4분기 연속 상승세가 이어졌다. 이 수치는 올해 1분기 70.84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분기 85.56으로 껑충 뛰었고 3분기 소폭 더 올랐다. 업종별로는 출장 음식 서비스업이 104.21로 가장 높고 이어 기관 구내식당업(97.96), 주점업(95.08), 비알코올 음료점업(90.13), 한식 음식점업(89.80), 외국식 음식점업(87.86), 기타 간이 음식점업(85.23) 등의 순이었다.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최근 3개월간 외식업계의 매출과 경기 체감 현황을 조사해 지수화한 것으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경기 호전을 전망하는 업체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외식물가 상승에 대형마트 \'가성비 초밥\' 찾는다(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외식물가 상승률이 3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소비자들이 배달도 끊고 대형마트에서 초밥과 양장피 등 외식 메뉴를 찾고 있다. 사진은 9일 오후 서울 한 대형마트의 초밥 판매대. 2022.10.9 pdj6635@yna.co.kr하지만 외식 경기 회복세에도 외식업계 식재료 원가 수준은 3분기에 또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워 외식업체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3분기 외식산업 식재료 원가지수는 145.89로 전 분기보다 0.71p 올랐다. 지난해 1분기부터 7분기 연속 상승하고 있고 매 분기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업종별로는 한식 음식점업이 148.41로 가장 높고 이어 외국식 음식점업(147.59), 기관 구내식당업(146.61), 기타 간이 음식점업(146.47), 주점업(144.42), 출장 음식 서비스업(142.04), 비알코올 음료점업(137.21) 등 순이었다. 이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식재료의 원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100을 넘으면 원가가 올랐다는 뜻이다. aT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돼 국제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고 있고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2분기 이후 환율 또한 크게 높아지고 있는 점은 수입 식자재 의존도가 높은 외식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외식업체의 식재료 가격 상승은 향후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소비자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한국소비자원 가격 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을 보면 지난달 서울 기준 자장면 가격은 평균 6천300원으로 1년 전보다 13.8%나 올랐다. 또 칼국수 가격은 8천423원으로 12.9%, 김밥은 3천46원으로 11.5% 상승했다. 삼겹살은 1만8천851원(200g 기준)으로 9.7% 올랐고 냉면 가격은 1만500원으로 9.6%, 삼계탕은 1만5천462원으로 9.2% 각각 상승했다.[그래픽] 외식산업 경기지수 추이(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kaka@yna.co.kr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은퇴 후 생활비 체크포인트 \'주거비용\'"주거이전, 주택연금 활용방법 등 검토해야"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은퇴 후 노후생활비는 일반적으로 은퇴 전 생활비의 70% 수준이 적당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평소 생활비에 별 관심을 두지 않았다면 구체적으로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되고 있는지, 그리고 해당 지출이 은퇴 후에 얼마나 부담이 되는지 막연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은퇴 시점이 다가오면 얼마나 노후생활비가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따져보는 것이 좋습니다. 은퇴 후 소득이 단절되거나 감소하면 보유 자산에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으니 불필요한 항목에 대한 지출을 방지하는 노후생활비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에 총 5번에 걸쳐 은퇴 후 생활비 체크포인트를 점검해보고자 합니다. 첫 번째는 \'주거비용\'입니다.우리가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비용은 의식주 관련 비용입니다. 이 3가지 항목 중 입는 옷과 먹는 음식 문제는 비교적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지출하시면 됩니다. 보통 나이 들면 자연스럽게 줄어들기도 합니다.그런데 사는 집은 문제가 좀 다릅니다. 연령대별 가계지출 비중을 살펴보면 60대에 10% 정도였던 주거 관련 비용이 80대에는 15% 수준까지 올라갑니다. 주거 비용은 고정비용 성격이 강해 일단 정해지면 일정 기간 지속될 수밖에 없고 줄이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2020년 노인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들이 부담을 느끼는 지출 항목은 식비(46.6%)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월세를 포함한 주거관리비(24.5%)로 나타났습니다.따라서 전체 생활비에서 주거 관련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면 다른 일상생활에 여유를 갖기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사전에 정기적으로 지출되는 주거 관련 비용이 얼마나 들어가는지, 나에게 적정한 수준인지 확인해보고 부담된다면 은퇴를 기점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해봐야 합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주거 관련 비용은 기본적으로 월세 및 수도·전기료 등을 포함한 관리비와 난방비가 대표적인데 보통 집의 크기와 비례합니다. 월세가 아닌 자가나 전세인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관련 담보대출이 있다면 주거 관련 비용이 더 커지고, 더 넓게 보면 주택 보유에 대한 세금도 포함됩니다.최근 금리 상승기를 맞이하면서 집을 보유하고 있지만 무리한 대출로 인한 이자 부담 때문에 빈곤하게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하우스 푸어\'가 회자되고 있습니다. 은퇴를 앞두고 있다면 정말 하우스 푸어가 되어서는 안 되겠지요.이처럼 사는 집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요소가 적지 않으니 주거 관련 비용을 적정하게 가져가는 것이 효율적인 노후생활비 관리의 지름길입니다. 자녀 출가 등으로 가구 인원이 줄었다면 적정한 규모로 집을 줄이거나 줄일 여지가 없다면 사는 지역을 이전하는 방법을 고민해봐야 합니다.이외에도 일반적인 주택연금을 통해 추가적인 현금 흐름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 상환용 주택연금을 통해 이자 비용 부담을 줄이는 방법도 있으니 보유주택으로 주택연금을 활용하는 방법도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NH WM마스터즈 김진웅 수석전문위원(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장)"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아들에게 부동산 증여하면서 증여세까지 내줬다면?사진=게티이미지뱅크성공한 CEO인 나성실씨는 요즘 큰 고민에 빠졌습니다. 아들이 서른이 넘도록 취직도 안하고 용돈만 받아서 하루하루 살고 있는 것입니다. 나성실씨는 고심 끝에 아들에게 상가를 하나 사 주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월세라도 꼬박꼬박 받으면 앞으로 살아가는데 큰 지장이 없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몇 달뒤 나성실씨는 서울 강북에 10억원 상당의 상가를 아들 이름으로 구입해 줬습니다. 그리고 아들이 납부해야 할 증여세 2억2500만 원도 대신 내줬습니다. 6개월 뒤 세무서에서 증여세를 무슨 돈으로 냈는지 소명하라는 연락이 왔습니다. 나성실씨는 세무서에 자신이 납부했다고 당당하게 얘기했습니다.얼마뒤 세무서로부터 증여세 8500만 원을 추가로 내라는 고지서를 발급받았습니다. 증여세는 이미 냈는데 추가로 또 내라니 이 무슨 날벼락 같은 이야기일까요?[그림 - 이영욱]납부한 증여세도 자금출처 조사대상우리나라는 고액자산, 특히 부동산을 취득할 때 취득자의 직업, 연령, 소득상태 등을 고려해서 해당 부동산을 스스로 취득할 능력이 없다고 추정될 경우 취득자금에 대한 출처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정한 소득이나 재산이 없는 상태에서 증여세를 납부했다면, 부동산 취득자금 뿐만 아니라 납부한 증여세 또한 자금출처 조사의 대상이 됩니다. 납부한 증여세의 자금출처를 제대로 소명하지 못하면 이 또한 증여로 보고 있습니다.상속세및증여세법 제45조【재산 취득자금 등의 증여 추정】① 재산 취득자의 직업, 연령, 소득 및 재산 상태 등으로 볼 때 재산을 자력으로 취득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 재산을 취득한 때에 그 재산의 취득자금을 그 재산 취득자가 증여받은 것으로 추정하여 이를 그 재산 취득자의 증여재산가액으로 한다.나성실씨는 아들에게 건물을 사주고 증여세도 대신 납부했습니다. 나씨의 아들은 일정한 직업도 없으며 재산도 없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납부한 증여세 2억2500만 원도 아버지로부터 증여받아 납부한 것으로 추정해 증여받은 2억2500만 원에 대한 증여세가 추가로 추징된 것입니다.그런데 자세히 보면 세율이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10억원 상당의 부동산에 대한 증여세는 2억2500만 원으로 약 22.5%의 세율인데 반해, 대납한 세금 2억2500만 원에 대한 증여세는 8500만 원으로 세율이 약 37.8%에 달합니다.이는 누진세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증여세는 동일인으로부터 10년 간의 증여재산을 합산해 계산합니다. 합산된 증여재산가액이 커질수록 증여세율이 높아지는 누진세 구조입니다. 아들이 납부해야할 증여세를 아버지 나성실씨가 대납했을 경우, 아들이 추가로 납부해야하는 증여세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나성실씨의 아들이 추가로 납부해야 할 증여세는 8500만 원입니다. 만약 이 세금도 나성실씨가 대신 납부한다면 또다시 자금출처 조사를 받게될 수 있습니다. 아들에게 부동산을 증여하려다 세금폭탄을 맞을 수 있는 최악의 경우입니다.증여 대신 \'부담부증여\' 활용해야 절세 가능 그렇다면 증여세를 최소화하면서 자녀에게 부동산을 증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자녀가 부채를 상환할 수 있다는 능력이 있다는 전제하에서, 나성실씨가 먼저 기준시가가 8억 원이고 시가가 10억 원인 건물을 취득해 그 건물을 담보로 대출 또는 보증금을 발생시켜 건물에 대한 부채 8억 원을 발생시킵니다. 이렇게하면 일정기간(최소 3개월 이상) 후 자녀에게 건물을 증여하면서 부채도 같이 부담하게 합니다. 이것이 \'부담부증여\'인데 증여등기를 하기 때문에 자금출처 조사를 받지 않으며, 증여세도 \'0\'이 됩니다. 취득세를 2회 내야 하지만 세율이 4%대입니다. 증여세 한계세율 40%에 비해 큰 금액은 아닙니다.부담부증여의 경우 증여자가 이전한 채무액 만큼을 대가로 재산을 판 것으로 보고 취득가액보다 양도금액(채무액)이 클 경우 양도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 양도금액은 8억 원, 취득금액은 10억 원으로 과세표준이 (–)2억 원이 되어 양도소득세의 부담도 없습니다.이렇게 부담부증여를 활용하면 취득세는 추가로 발생할 수 있지만 3억1000만 원의 증여세가 완전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물론 부채를 8억 원이나 일으켜야 된다는 극단적인 가정과 그만큼의 이자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하지만 절세를 위해 충분히 고려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부담부증여가 항상 증여보다 유리한 것도 아니고, 배우자나 직계비속에 대한 채무이전이 무조건 인정되는 것도 아닙니다. 부담부증여는 증여세 뿐만 아니라 양도소득세와 취득세가 발생합니다. 때문에 양도소득세 중과세율이 적용되거나 취득세 중과세율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부담부증여를 선택했을 때 오히려 세부담이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부담부증여로 이전된 채무에 대해서는 국세청이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으므로 부담부증여 후 채무를 대신 변제해 주는 것도 조심해야 합니다.<한경닷컴 The Moneyist> 한서회계법인 도정환 세무사, 회계사"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우재현 세무사(스타트업 컨설팅 전문)사진=게티이미지뱅크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2021년도 대한민국 전체창업은 141만7973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전체 창업 수는 전년 대비 4.5%(6만6694개) 감소하였지만 39세 이하 청년층의 창업은 오히려 전년 대비 4.3%(2만875개) 증가했습니다. 우아한형제들, 컬리, 직방, 무신사, 크래프톤 등 다양한 스타트업의 성공사례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창업 독려와 맞물려 점점 더 많은 청년들을 창업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좋은 사업 아이디어가 있어도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합니다. 정부 지원금을 활용해서 창업하는 방법도 있지만, 여유가 된다면 부모님의 도움 등을 통해서 시드머니를 마련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다양한 절세 방법을 활용해서 창업자금을 배가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①가족으로부터 창업자금 대여 ; 증여세 납부 없이 2.1억원 무이자대여정부지원금을 활용해 사업화를 해볼 수 있으면 좋겠지만 사업아이디어가 지원금을 받을 수 없는 형태일 수도 있고 시기적으로 맞지 않아 활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때에는 가장 가까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족들에게 먼저 시선이 가게 될 텐데요. 자금을 융통하기 다소 용이한 부모님께 먼저 다가갈 가능성이 높습니다.자립심이 강한 청년분들은 부모님께 좋은 사업아이디어가 있으니 사업화를 위해 자금을 대여해 주십사 부탁하게 됩니다. 물론, 다시 돌려드릴 것이라는 약속과 함께요. 부모 자식간이니 사업자금을 융통해 주면서 아무런 증빙서류를 남기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일 텐데 후에 이것이 문제돼 증여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부모자식간이라도 반드시 차용증을 작성해야 합니다. 대여금의 규모, 이자의 유무, 상환기일 등을 작성해 두어야 합니다. 세법에서는 부모와 자식 간에도 일정한 이자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현재 기준 4.6%를 이자율로 하고 있습니다.하지만, 4.6%의 이자율로 계산했을 때 연간 1000만원 이내의 이자는 받지 않아도 증여로 보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역산하면 약 2억1000만원의 대여금까지는 무이자로 대여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초기창업 자금으로 이 정도 규모면 부족하지 않기 때문에 이자 부담 없이 마련해 볼 수 있겠습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②가족으로부터 창업자금 증여 ; 증여세 납부 없이 5000만원까지 증여부모님께서 경제적으로 넉넉하다면 대여보다는 마음 편히 사용할 수 있도록 증여하여 창업자금을 확보하는 것도 방법이 됩니다. 성인인 자녀와 부모 간에는 10년간 5000만원(미성년자는 2000만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해 1억원의 창업자금을 증여한다면 500만원의 세금을 납부하고 9500만원은 온전히 자녀의 창업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율은 1억까지 10%이므로 낮은 세율구간에서 최대한 사업자금을 마련해 주고자 한다면 1억5000만원을 증여하여 1000만원의 세금을 납부하고 1억4000만원을 창업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대여금 형태와 결합해 5000만원은 증여를, 2억은 무이자 금전대차로 구성해 세금 부담 없이 2억5000만원의 창업자금을 마련해 볼 수 있습니다.10년 후에는 다시 5000만원을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활용하면 최소한의 세금으로 자녀의 사업자금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③ \'창업자금 증여세 과세특례 제도\' 활용 ; 증여세 납부 없이 5억원 사전증여구상하는 사업 규모와 계획이 큰 예비창업가도 있습니다. 이 경우 부모님이 사업자금을 지원해주기 위해 5억을 단순 증여하게 되면 증여공제(5000만원)를 받고서도 7760만원을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창업자금의 상당 부분을 세금으로 납부하고 시작하게 되므로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이 경우에는 \'창업자금 증여세 과세특례 제도\'를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나중에 자녀가 부모로부터 상속받을 금액을 먼저 증여받아 활용하는 개념입니다. 창업을 위해 증여받는 시점에 증여세를 감면받거나 낮은 세율로 부담하고 추후 상속 시 미리 증여받은 금액을 합산하여 상속세를 계산하게 합니다.만 18세 이상 자녀가 만 60세 이상 부모에게 중소기업 창업을 목적으로 증여받는 경우 5억원까지는 과세하지 않고 5억을 초과하는 30억까지는 10%의 낮은 세율로 증여세를 납부하게 합니다. 따라서 5억 정도의 창업자금은 아무런 증여세 없이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다만, 특례 혜택의 절세효과가 큰 만큼 사후관리 요건은 매우 엄격한 편입니다. 증여받은 날로부터 2년 내 창업해야 하고 4년 이내에 창업자금을 모두 해당 목적에 사용해야 합니다. 창업 업종에 대한 제한도 있습니다. 특례를 통해 증여받은 자금은 기계장치 등 사업용 자산 취득과 사업장 보증금, 임차료의 용도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후관리 요건을 지키지 못한다면 본래 납부했어야 할 증여세에 가산세를 추가로 납부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사후관리 요건이 까다롭다는 점에서는 부담될 수 있으나 창업에 대한 계획이 뚜렷하고 규모가 있다면 이와 같은 특례를 잘 활용하는 것이 절세와 사업 성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④예비창업자 정부지원금 활용 ; 최대 1억· 평균 5000만원마지막으로 절세 부분은 아니지만, 창업 자금 관련한 정보를 추가해 봤습니다. 절세를 통해서 충분한 자금이 모이지 않았다면 정부 지원금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정부는 혁신적인 기술창업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창업자들이 새로운 사업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창업사업화에 소요되는 자금을 \'예비창업패키지\'라는 사업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업화에 지원되는 자금은 최대 1억원이며 평균적으로 5000만원 정도가 지원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정부지원사업에서는 정부출연금에 대응되는 자부담금(창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자금)을 설정하기 마련인데 예비창업패키지 사업은 창업자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부담금이 없습니다.창업자금 지원 외에도 창업교육과 사업화를 위한 멘토링을 지원받을 수 있기에 처음 사업을 해보는 청년 창업가는 많은 것을 도움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예비창업패키지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나면 후속지원으로 \'초기창업패키지\'라는 형태로 추가지원금을 연계하여 확보할 수도 있으니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주의할 점은 아직 사업자를 내지 않은 예비창업가만 이 지원제도를 활용할 수 있고 매년 상반기(2~3월)에만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시기적으로 잘 준비하셔야 한다는 점입니다.취업보다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업을 시도하는 청년 창업가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청년 창업가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기반이 될 창업자금을 원활하게 마련하여 성공적인 스타트업이 대한민국에 계속해서 늘어나길 기대합니다.<한경닷컴 The Moneyist> 세무법인 혜움 우재현 세무사(스타트업 컨설팅 전문)"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윤석열 정부도 "집값 떨어진다" 공포 마케팅착공 감소, 부동산 PF 중단 등으로 공급감소 우려사진=게티이미지뱅크현재 부동산 시장에서 잘 읽히는 기사는 ‘어느 단지 어떤 아파트가 얼마나 떨어졌느냐’ 입니다. 정부도 여기에 가세합니다. 국토부장관과 서울시장은 기자회견장에서 빼놓지 않고 현재의 집값은 높기 때문에 하향 안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지금까지 집값 고점과 하락의 가능성을 경고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문재인 정부의 경우 국토부장관 심지어 대통령까지 나서서 집값이 너무 높다는 등 가격에 개입하는 의견을 말한 경우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았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잡히지 않는 것은 만성적인 공급부족과 규제로 인한 매물 잠김 등 최악의 부동산정책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뢰는 바닥 수준이었습니다.윤석열 정부 또한 집값 하락 시즌2를 펼치고 있습니다. 선진외국 어느 나라에서도 주택정책을 담당하는 장관이 집값을 떨어지게 하겠다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를 본적이 없습니다. 이렇게 가격에 개입하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위험하기도 하지만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겁니다. 가격보다는 주택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맞추는 정책을 펼친다면 자연스럽게 가격이 안정화될 겁니다.공포마케팅은 가장 효과적이며 강력한 마케팅의 한 수단입니다. 인간은 결핍과 불안을 자극하면 움직입니다. 모델하우스를 방문했을 때 딱 한 채 남았다는 말을 들으면 매입 의사가 없는 분들도 불안해하면서 사야하는 게 아닌가 초조합니다. 일반 마케터(marketer)들의 이야기에도 사람의 심리가 움직이는데 언론과 방송 심지어 국토부장관, 서울시장까지 나서서 집값에 대한 이야기를 강조하면 시장은 더 크게 반응할 겁니다. 그래서 이분들은 언행을 조심해야 합니다.특히나 현재 부동산시장을 정상적으로 생각하면서 하는 이런 발언들은 왜곡된 정보를 전달하는 위험도 있습니다. 간헐적으로 거래되는 급매로 인한 가격의 상승과 하락은 정상적인 부동산시장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상승기에도 그렇지만 하락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주택가격이 조정을 받는 가장 큰 원인은 누적된 규제 때문입니다. 집을 사야하는 사람이 사지 못하게 만든 다양한 규제 때문입니다. 취득세와 대출규제가 대표적일 겁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그나마 살수 있는 사람은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들입니다. 이분들에 대한 규제는 현재 대폭 완화되어 있습니다. LTV를 무려 80%나 적용해줍니다. 15억원으로 설정된 대출상한도 없습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경제위기 상황에서는 이분들이 집을 살수가 없습니다. 기존에 집을 가진 분들도 경기침체로 인해 갈아타기를 주저하는데 전재산에 가까운 자금이 들어가는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들은 거의 없을 겁니다. 현재 거래절벽과 가격조정은 어떻게 보면 너무나도 당연한 결과입니다. 집을 사고 싶은 사람을 못 사게 만들고 있는데 어떻게 거래가 되고 가격이 오를 수가 있겠습니까?서울의 주택거래량은 월 1만건 내외가 정상입니다. 1000건도 안되는 현재 주택거래는 특수한 거래 상황입니다. 거래되는 주택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증여성직거래를 제외하면 대부분 일시적2주택자의 비과세 급매물입니다. 세금을 내지 않는 만큼 가격을 조정해줄 수 있기 때문에 시세보다 월등히 떨어진 가격에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이런 특수한 상황에 있는 거래들을 가지고 만든 집값 통계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부동산 거래 현장에 나와있는 매물들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급매를 찾아보기 쉽지 않습니다.전문가들은 집값이 오른다 거나 떨어진다는 이야기는 잘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집값의 동향을 맞추는 것은 신의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그냥 여러 부동산 지표를 들면서 상승의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를 하는 정도이지요. 왜냐하면 실수를 하게 되면 신뢰가 추락하고 한번 추락한 신뢰를 회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책임 있는 정부관계자가 이야기하는 집값에 대한 평가는 문제가 큽니다다. 거듭되는 국토부장관을 비롯한 정책 수장들의 집값에 개입하는 듯한 발언은 정책의 신뢰성을 떨어뜨립니다. 270만호 주택공급계획을 발표한 현 정부 또한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주택수요자들은 부동산정책에 있어서는 문재인 정부에 대해 실망이 큽니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느꼈던 희망이 절망으로 바뀌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현재는 집값이 하향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주택공급의 여건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습니다. 금리폭탄에 주택착공은 25% 급감했습니다. 부동산PF가 거의 중단되면서 주택사업자들은 주택사업을 포기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상황은 미래 주택공급이 부족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집값을 평가하는 여유시간에 공급상황을 다시 점검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할 듯합니다.<한경닷컴 The Moneyist>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
In [ ]:
import nltk
from konlpy.tag import Okt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okt = Okt()
tokens_ko = okt.nouns(articles) #전체 기사에서 명사 추출
tokens_ko
In [ ]:
count = Counter(tokens_ko)
word_count = dict()
for tag, counts in count.most_common(80):
if(len(str(tag)) > 1): #글자 길이가 1보다 큰길이만
word_count[tag] = counts
print(f'{tag}:{counts}')
In [55]:
from wordcloud import WordClou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wc = WordCloud('NanumBarunGothic', background_color = 'ivory', width = 600, height = 600)
cloud = wc.generate_from_frequencies(word_count)
plt.figure(figsize =(5,5))
plt.imshow(cloud)
plt.axis('off')
plt.show()